타일러의 ‘계속성 및 계열성’교수원리에 근거한 움직임교수활동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검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타일러의 ‘계속성 및 계열성’교수원리에 근거한 움직임교수활동 프로그램의 구성 및 효과검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Ⅱ.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측정도구
3. 측정절차
4. 자료분석
Ⅲ. 결과
1. 타일러의 ‘계속성 및 계열성’원리에 근거한 움직임교수활동이 지각운동능력에 미치는 영향
2. 타일러의 ‘계속성 및 계열성’원리에 근거한 움직임교수활동이 기초체력에 미치는 영향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영심.(2002). 유아 기본동작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탐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영희, 김경화.(2000). 전문대학 비서관련과의 교과과정 개선을 위한 연구-타일러의 교육과정 이론을 중심으로-. 비서학논총, 9(1), pp.81-98.
이향자.(1998). 유아의 창의력 증진을 위한 창작무용 학습지도 연구.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이현균.(2003). 운동도구를 활용한 체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기본동작능력과 지각운동능력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이현자.(2001). 유치원 체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임숙희.(2003). 대근육활동이 유아의 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전인옥, 이영.(2005). 유아동작교육. 한국방송대학교출판부.
정봉채.(1997). 계획된 체육수업 프로그램이 유치원 유아 체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국민대 학교 석사학위논문.
정세호, 엄정애.(2002). 통합적 동작활동이 종일제 유아의 기본운동능력 및 신체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3(5), pp.153-166.
조영태.(1987). 한국의 교육과정 개발의 전통. 교육과정연구, 6권, pp.223-262.
주정호.(2003). 유아체육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최정인.(2004). 유아의 창의력 향상을 위한 무용 프로그램 개발.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최종상.(1983). 유아체육교육의 중요성과 지도형태에 관한 연구: 미취학 아동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하상훈.(2003). 유아기의 체육프로그램 참여가 체격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현일환.(1997). 유치원 운영실태에서 본 유아체육에 대한 조사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황규호 (1999). 초중등 교육과정의 연계성 증진을 위한 검토 과제. 교육과정연구 논총, pp.167-189.
황순각.(2000). 유아 신체활동프로그램 구성 및 효과.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Bucek, L.(1992). Construction a child-centered dance curriculum.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63(9), 154-176.
Cratty, B. J.(1979). Perceptual and motor development in infants and children.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Foster, J.(1977). The influence of Rudolph Laban. London: Lepus Books.
Gabbard, C., LeBlance, E., & Lowy, S.(1987). Physical education for children: Building the foundation, Englewood Cliffs, N. J.: Prentice-Hall Inc.
Gallahue, D. L.(1976). Motor development and movement experience for young children, N. Y.: John Wiley & Sons.
Gallahue, D. L.(1993). Motor development and movement skill acquisi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B. Spodek(Ed.), Handbook of research on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N. Y.: Macmillan.
Goodway, J. D., & Rudisill, M. E.(1996). Influence of a motor skill intervention program on perceived competence of at-risk African American preschools. Adapted Physical Activity Quarterly, 13(3), 288-300.
Hurlock, E. B.(1972). Child Growth and Development. New York: McGraw-Hill.
Kephart, N. C.(1971). The slow learner in the classroom. Charles E. Merrill Publishing Company.
Kirchner, G., Warrell, E., & Cunningham, J. (1993). 움직임교육 입문. (최예종 역). 서울: 태근문화사.
Krough, S.(1990). The Integrated Early Childhood Curriculum. NY:McGraw-Hill Publishing Co.
Mayesky, M.(1995). Creative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Albany, N. Y.: Delmar Publishers Inc.
Ritson, R, J.(1986). Creative dance; A Systematic Approach to teaching children Journal Of Physical Education, Recreation and Dance, 57(3), 67-72.
Slater, W.(1993). Dance and movement in the primary school: A cross-curricula approach to lessen planning, U. K.: Northcote house.
Spodek, B.(1985). Teaching in the Early Years, 3rd. Englewood Cliffs, N. Y.: Prentice-Hall, Inc.
Tyler, R. W. (1949). Basic Principles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Williams, J. F. (1983). The physical and motor development. Prentice-Hall, Inc.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2.02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189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