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계소설의 특징, 연암 박지원에 대해 알아본 후 『호질』과 『허생전』의 분석을 통해 그의 풍자성과 실학사상에 대해 알아보시오.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전계 소설의 특징
2. 연암 박지원과 그의 소설에 나타나는 특징
1. 박지원의 생애
2. 시대배경과 현실인식
3. 실학사상과 문학관
4. 박지원 문학의 특징
가. 사실 주의
나. 독창성, 자주성
다. 풍자성, 골계성
3. <허생전>의 특징
1.창작배경
1) <허생전> 창작 당시의 사회적 배경
2) <허생전> 창작의 시대적 배경
2.줄거리
3.작품 속 인물
4. 내용 분석
5.주제의식
4. <호질>의 특징
1. 줄거리
2. 작품분석
3. 호질의 풍자의 구조

(3). 결론

본문내용

생은 어진 분이라 그럴리가 없겠고, 내 들으니 정나라 성문이 헐어서 여우굴이 생겼다는데 ,여우가 천년을 묵으면 능히 사람으로 둔갑한다고 하니 , 그여우가 북곽선생으로 둔갑한 것이 아닌지 모르겠구먼 "하고 다섯 아들들이 다시 의논하기를 "여우의 신을 얻으면 대낮에도 형체를 감출수 있고, 여우의 꼬리를 얻으면 아양을 잘 떨어서 남을 즐겁게 한다고 하니, 우리가 저 여우를 죽이고 나누어 가지자"하고 다섯 아들들은 방을 에워 싸고 들이쳤다. 이에 북곽선생은 크게 당황하여 달아나는데 남이 자기를 알아 볼까 한쪽 팔을 비틀어 목에 얹고 , 귀신처럼 춤을 추고 귀신처럼 웃으면서 문을 뛰쳐 나왔다. 그렇게 허둥지둥 달아나다가 똥통에 빠지고 말았다. 간신히 똥 통에서 기어 올라 오니 뜻밖에도 호랑이와 마주치고 만다. 호랑이가 얼굴을 찡그리고 고개를 돌리며 "선비란 참으로 구린 것이로군" 한다. 북곽선생은 머리를 조아리고 아첨을 한다. 그러자 범이 크게 꾸짖기를 "가까이 오지 말아라. 내가 전에 들으니 유는 유(아첨하다)라고 하더니 ,과연 그렇구나 너는 평소에 천하의 악명이란 악명은 다모아 망년 되게 내게 가하더니 ,이제 다급해지니까 면전에서 내게 아첨하니, 누가 네 말을 곧이 듣는단 말이냐?"하면서 호랑이는 선비들의 잘못된 논리 형식, 인의 없고 잔혹한 인간의 소행등을 장황하게 꾸짖는다. 북곽선생은 꿇어 앉아 오래도록 빌고 있다가 머리를 들어 보고 범이 사라진것을 알게 된다. 그 때에 마침 새벽에 일을 나가는 농부를 만나게 된다. 농부가 무슨일로 일찍이 나와 들에 절을 하냐고 묻자, 북곽선생은 "내 들으니 하늘이 높지마는 감히 머리를 숙이지 않을 수 없고, 땅이 두껍지마는 감히 무릎을 꿇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기에 그러는 걸세" 라고 하며 근엄한척 하는 위선적인 행동을 하면서 끝내 위선자의 탈을 벗지 못한다.
2. 작품분석
<호질>은 크게 세 장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첫째는 범과 창귀와의 의논장면이다. 그리고 두 번째는 북곽선생과 동리자의 밀회와 동리자의 다섯아들에게 쫓겨 도망하는 장면이며 세 번째는 북곽이 똥구덩이에서 나온 뒤 범을 만나서 혼나는 장면이다. 이 세장면을 통해서 연암은 당시의 위선적인 인간을 풍자한다.
첫 번째 장면에서는 인간의 가치를 범의 먹거리로서 평가하고 있다. 창귀들과의 대화에서 사람의 상투를 짐승의 꼬리와 동일시함으로써 인간을 조롱의 대상으로 삼는다. 의사(醫)나 무당(巫)이나 선비는 모두 혹세무민을 일삼는 자들이기 때문에 맛이 없다고 하면서 범은 그들을 먹이의 대상에서 제외시킴으로써 그들의 존재가치를 부정한다.
두 번째 장면은 북곽선생과 동리자의 밀회부터 북곽선생이 동리자의 다섯아들에게 쫓겨 도망하다가 똥구덩이에 빠진 것 까지다.
‘동리자는 이렇게 수절 잘하는 과부였으나 아들 다섯을 두었는데 각기 다른 성(姓)을 지녔다.’
열녀표창까지 받은 동리자라는 과부의 진실을 보여줄수 있는 단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북곽선생의 시를 가장한 음담패설, 동리자의 다섯아들이 동리자의 방안에 있는 자가 북곽선생일 것이라는 가능성은 배제시킴으로써 조선사회의 집권층인 소위 양반계층의 이중성, 허위성이 폭로 된 것이다. 뿐만 아니라 북곽선생이 똥구덩이에 빠진 것으로 북곽선생과 똥을 동일시함으로써 선비의 실상을 파헤치면서도 해학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세 번째 장면은 범과 북곽선생의 대면이다. 여기에서는 범을 통해서 직접적으로 선비를 비판하고 있다. 이 작품의 범은 단순히 의인화된 동물이 아니라, 인격화되고 성화된 존재이다. 범은 선비로 대표되는 인간을 비판하고 풍자하는 주동적 인물이며, 세 번째 장면에 등장하여 인간을 직접 질타함으로써 작품의 유기적 구성에도 이바지하고 있다. 또한 범은 한국인들의 의식 속에 자리잡고 있는 영적 동물로서 연암을 대변하는 주인공의 기능을 한다고 할 수 있다.
북곽선생의 아첨부터 시작해서 범은 자신들의 세계와 대비해서 선비의 위선과 허위, 나아가서는 잔인하고 부도덕한 인간 전체의 모습을 비판하면서 그 범위를 넓혀나간다. 날이 밝고 북곽선생을 본 농부는 그런 북곽선생의 이중적인 모습을 알지못한다. 이것은 그 당시의 무지한 대중들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다.
연암은 결국 한 선각적인 지식인으로서 자기 갈등 속에서 사회비판의 문예형태를 창조하였다. 임형택, 『한국문학사의 시각』,「朴燕巖의 倫理意識과 友情論의 성격」, 창작과비평사, 1999, p170.
그는 그러한 시대적 상황을 그의 문학을 통해서 신랄하게 풍자하고자 했던 것이다.
3. 호질의 풍자의 구조
가) 범과 창귀가 인육의 맛을 의논함으로써 인간사회에 대한 불신이 깔려있다.
나) 동음자를 통한 풍자의 표현기법 확대.
다) 선비들이 주장하는 음양의 도, 오행, 육기 등은 망령스런 위학에 지나지 않음.
라) 북곽선생의 저급한 시로 위학을 강조.
마) 가장된 동리자의 정절로 허명위절 행세를 고발.
바) 여우와 북곽선생의 동일시 즉 여우는 간교교활함을 나타냄
사) 농부 앞에서 위선의 가면을 다시 씀. 안말숙, 「燕巖小說의 諷刺的 樣相」, 수련어문논집, 1984
(3). 결론
지금까지 전계소설의 특징과 더불어 연암의 생애, 문학관을 바탕으로『호질』과 『허생전』을 분석해 보았다. 연암 박지원은 봉건 사회가 서서히 해체되면서 근대사회로의 이행이 진행되고 있던 전환기의 조선후기를 살다 간 선각적 지식인이며 탁월한 문인이었다. 그는 새로운 자연과학적 지식을 바탕으로 상대주의적 인식태도를 확립함으로써, 화이론적 명분주의를 비판하고 주체적 실리주의를 주창했으며, 관념적 학문을 버리고 실용적 학문을 할 것을 주장했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문학에도 반영되었으며, 지금까지도 손꼽히는 위대한 작품으로 남아있다. 짧은 시간이었지만 연암의 생애를 살펴보고 그의 작품을 감상, 분석해 볼 수 있었던 좋은 기회였다.
<참고문헌>
김지용, 『박지원의 문학과 사상』, 한양대학교 출판원, 1994.
임형택 『박지원의 실학사상과 문학』『계간 사상 제4권 제4호』(1992)
이욱『허생전과 조선후기 상업의 발달』『역사비평 통권57호』(2001년 겨울)
황패강 외, 『한국문학연구입문』, 지식산업사, 1993.
  • 가격2,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2.03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195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