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소설의 작가와 작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소설의 작가와 작품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금오신화》의 작가 김시습
2. 한문소설 작가 임제
3. 최초의 국문소설 <홍길동전>의 작가 허균
4. <구운몽>의 작가 김만중
5. 실학 사상가이며 사실주의 작가 박지원
6. 판소리 이론가 신재효

Ⅲ. 결 론

본문내용

화를 총체적으로 아우르며 판소리 사설을 합리적, 사실적으로 고치는 과정에서, 당대 하층민이 이룩한 발랄한 현실인식이 보수적 지향이 강한 유가적(儒家的) 합리주의에 의해 상당 부분 거세되었다는 한계를 함께 지닌다. 판소리 개작 외에도 <치산가>, <오섬가>, <방아타령>, <갈처사십보가> 등을 비롯해 <허두가> 30여 편을 지었다. 이들은 서울대학교 도서관에 소장되어 있는 <신오위장본>에 개작한 판소리 6마당과 함께 실려 있다. 전라북도 고창근 고창읍 하거리에 그를 기리는 유애비(遺愛碑)가 남아 있으며, 묘소는 고창읍 성두리에 있다.
동리 신재효는 판소리사설 6마당 외에도 20여편이 넘는 단잡가(단가잡가가사 등) 작품을 남겨 놓았다. 신재효가 정리창작한 단잡가는 <허두가>, <성조가>, <어부사>, <호남가>, <광대가>, <고사-명당축원>, <단잡가>, <치산가>, <십보가>, <권유가>, <오섬가>, <방아타령>, <도리화가>, <구구가> 등이 있다.
<허두가> 안에도 <대관강산>, <역대가>, <궁장가>, <역려가>, <소상팔경>, <고고천변>, <새타령>, <달거리>, <금화사가>, <숭유가>, <태령가>, <효도가>, <북정가> 등 13편의 독립작품이 수록되어 있다. 신재효는 기존에 불려지던 단가를 개작정리하여 <허두가>라는 제목으로 제목없이 묶어놓은 것이다. 이 작품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2) 대표작품 <허두가>
<허두가> 안에는 13편의 기존의 단가들이 개작정리되어 있다. 이들 단가의 대충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 1편 <대관강산>: 4구 46행의 분량이며 등용되지 못함을 함하며 강산을 둘러보고자 하나, 그도 또한 쉽지 않음을 탄식하는 내용이다.
제 2편 <역대가>: 역대의 치란 흥망과 제왕이나 성현의 사적을 노래했다. 중국 상고시대부터 청나라까지의 사적을 읊는 것이 보통이고 우리나라의 역대사를 붙이기도 한다.
제 3편 <궁장가>: 일종의 도덕가이다. 공부자(孔夫子)의 집을 구경가자고 한 뒤 유교가 성립된 내력을 주나라 주공에서부터 시작하여 공문의 70제자까지 소개하고 있다.
제 4편 <역려가>: 역대 영웅 명기의 덧없음으로 시작하여 중국의 인물과 고적을 장황하게 읊고, 우리나라의 명산과 그곳의 역사적 사실을 나열하고 있다.
제 5편 <소상팔경>: 이것은 작가연대미상의 가사 <소상팔경가>가 단가로 불린 것이며, 현존 작품과도 동일하다. 19세기 명창 정춘풍의 더늠으로 알려져 있다.
제 6편<고고천변>: 이것은 고종 대 명창인 송만갑이 잘 부른 단가이다. 이 작품은 원래 판소리 <수궁가>의 일부였으나, 신재효가 개작한 <토별가>는 상이한 내용을 담고 있다. 즉 이 부분에 <고고천변> 대신 명산과 그에 얽힌 고사를 나열한 것이다. 별주부가 수국풍경은 조석으로 보았기 때문에 산중을 찾아가 천봉만학을 편답한다고 설명하고는 역산(歷山)도산(塗山)태악(泰嶽)이구산(尼丘山) 등 무려 35개의 산과 고사를 열거하였는데, 구절이 <천봉만학가>와 비슷하다.
제 7편 <새타령>: 이것은 신재효가 개작정리한 다른 단가들과 마찬가지로 서사-본사-결사의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신재효는 원래 결사가 없는 기존의 <새타령>에 결사를 첨가했다. 서사에서는 간단히 뭇 새들이 짝 지어 날아든다고 하고는 바로 시들을 열거하는 본사로 들어간다. 총23마리의 새들을 4구식 맞추어 노래했다.
제 8편 <달거리>: 이것은 월령체를 취하여 그 달의 풍속과 사친의 정을 노래하여, <사친가>로도 불린다. 1월에서 7월까지는 비교적 상세하나 8월부터는 1행으로 간단히 나열했다. 그리고 12월령 뒷부분은 고적을 따라가며 고사를 노래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제 9편 <금화사가>: 이것은 다른 본에 전해지는 것과 비슷하며, 금화사를 찾아가는 내용과 금화사 안에 안치된 영웅과 미인들, 그리고 인생의 허망함으로 끝맺고 있다.
제 10편 <숭유가>: 이것도 현존하는 것과 대동소이하다. 꽃구경을 가자고 한 뒤, 유가 즉 공부자의 꽃이 아름다움을 노래하고 창기를 꽃이라 하는 경박자들을 경계하는 내용으로 구성된다.
제 11편 <태평가>: 중국의 천지 창조부터 대명이 일어낫다가 胡人(청나라)이 끊어 놓은 것까지를 말하고 뒤이어 우리나라의 역대사를 읊은 후, 성군의 태평성대를 기원하는 것으로 결사를 삼았다.
제 12편 <효도가>: 초당에 누워 평생을 돌아보다가 자신의 불초함을 깨닫는다는 것으로 시작하여 젊은날 불효했던 것을 일일이 들어가며 후회한다. 결사에서는 다른 사람의 효성스러움을 칭송하고 자손들에게 효도하기를 당부한다.
제 13편 <북정가>: 만고영웅을 데리고 북정 가자는 내용이 서사를 이룬다. 본사는 중국의 영웅 장수로 군대를 구성하고 뒤이어 우리 장수 6인을 세웠다. 또한 중국 사적에 나온 장수들의 전법을 활용하여 호쾌하게 전투하는 모습을 그렸다. 결사는 태평했던 옛 시절 다시 보기를 원하는 것으로 맺고 있다.
Ⅲ. 결 론
지금까지 조선시대의 고전소설의 대표적인 작가들과 그 작품들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우리는 문학작품의 연구에만 치중하여 작가의 문제를 외면해 온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서론에서도 언급했듯이 문학작품에 대한 참다운 이해란 그것의 역사성 추구를 포기하는 것이라기보다 도리어 그것의 심도있는 추구를 요구한다. 따라서 작가에 대한 문제는 표면적 사실에서보다 내면적 동기에서 본질적으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본다. 그럼으로써 어떤 작가의 작품을 작품 본래의 의미에서 읽을 수 있음과 동시에 작자의 의도와 창작되던 당대의 의미도 읽을 수 있어야 하며 이러한 것들의 통합에서 작품의 참다운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 참고자료 *
한국고소설 연구회. 한국고소설론. 아세아문화사
황패강 外. 한국문학작가론. 형설출판사
정병헌, 이지영. 고전문학의 향기를 찾아서. 돌베개
http://mahan.wonkwang.ac.kr/culture/2002-4/p10.htm
http://osj1952.com.ne.kr/auther/mod.htm
http://whole.mytripod.co.kr/park/yr/whbo/rlatltmq.htm
http://yoontacki.hihome.com/page-98.html

키워드

김시습,   임제,   허균,   김만중,   박지원,   신재효
  • 가격2,0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2.04
  • 저작시기200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22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