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의 정의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교의 정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유교의 정의
1. 유교란?
2. 유교의 이념
3. 유교의 경전
1) 우주론
2) 인생론
3) 정치론
4) 교육론
5) 역사론
4. 유교의 진리
5. 유교인의 행실

Ⅱ. 유교의 역사
1. 한대
2. 신유교
3. 몰락
4. 한국
1) 상고시대
2. 삼국시대(고구려)
3. 고려시대
4. 조선시대(전기)

Ⅲ. 유교의 성인들
1. 공자 [ 孔子 , BC 552~BC 479 ]
★ 논어(論語)
2. 맹자 [ 孟子 , BC 372 ?~BC 289 ? ]
3. 순자 [ 荀子 , BC 298?~BC 238? ]
4. 주자 [ 朱子 , 1130~1200 ]

Ⅵ. 성리학

Ⅴ. 관혼상제
1. 관례
2. 혼례
3. 상례
4. 제례
Ⅵ. 유교의 인간관을 윤리․도덕적 인간관이라고 하는 이유 문제제기

Ⅶ. 도교에서 주장하는 덕과 유교에서 주장하는 덕의 차이점 문제제기

본문내용

이라는 엄숙한 사태에 직면하여 그 사자를 정중히 모시는 절차인 만큼 가장 중요한 예법으로 되어 있으며, 이는 세계의 공통적인 현상이다.한국은 신라시대부터 고려시대에 걸쳐 불교와 유교의 양식이 혼합된 상례가 행하여졌으나 고려 말 중국으로부터 《주자가례(朱子家禮)》가 들어오고 조선 전기에는 배불숭유(排佛崇儒)를 강행한 영향 등으로 불교의식은 사라지고 유교의식만이 행하여졌다.《주자가례》는 중국의 풍습을 주로 한 것이어서 한국 실정에 맞지 않는 대목이 많아 학자들 사이에는 논란이 거듭되었고 한국에 맞는 예문(禮文)도 많이 나오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숙종 때 이재(李縡)가 엮은 《사례편람(四禮便覽)》은 상례를 알맞게 만들어 많은 사람이 이에 따랐다. 그렇지만 이러한 상례는 오랜 세월이 흐르는 사이 조금씩 변하기도 하고 지방마다 풍습을 달리하게 되었다. 현대에는 불교그리스도교 등의 종교의식에 의한 상례가 혼입되고 매사에 간략화를 추구하는 현대풍조로 인하여 상례도 많이 변모하였다.
4. 제례: 원시시대 사람들은 자연 현상과 천재지변의 발생을 경이와 공포의 눈으로 보았으며 4계절의 운행에 따른 만물의 생성화육(生成化育)으로 인간이 생존할 수 있음을 감사하였다. 동시에 천(天)지일월성신(星辰)산천(川)에는 모두 신령이 깃들여 있다고 생각하여 신(神)의 가호로 재앙이 없는 안락한 생활을 기원하였는데, 이것이 제사의 기원이다. 제사는 인문(人文)의 발달에 따라 일정한 격식을 갖추었으며 이것이 곧 제례이다. 중국에서는 이미 요(堯)순(舜) 시대에 천신(天神)지기(地祇)5악(嶽)4독(瀆)을 제사한 기록이 《서경(書經)》 《사기(史記)》 등에 실려 있다. 특히 동양에서는 윤리 도덕 관념의 앙양과 함께 조상숭배가 크게 성행하여 조상에 대한 제례가 하(夏)은(殷) 시대를 거쳐 주대(周代)에 확고하게 갖추어졌다. 한국에서 제례의 시초는 부여(夫餘)에서 영고(迎鼓)라 하여 12월에 하늘에 제사하였고, 고구려에서는 동맹(東盟)이라 하여 10월에 하늘에 제사지냈으며, 동예(東濊)에서는 무천(舞天)이라 하여 10월에 하늘에 제사지낸 기록이 있다. 마한(馬韓)에는 소도(蘇塗)라는 신역(神域)이 있어 솟대를 세우고 북과 방울을 달아 천군(天君)이 신을 제사지냈다. 신라에서는 남해왕(南解王) 때에 혁거세묘(赫居世廟)를 세우고 혜공왕(惠恭王) 때에 5묘(廟)의 제도를 정했으며 산천도 제사지냈다.백제에는 동명묘(東明廟)가 있었다. 고려시대에 중국의 제도를 본떠 원구(丘:천신을 제사지내는 원형의 단)방택(方澤:지기를 제사지내는 사각형의 단)사직(社稷)종묘(宗廟)능침(陵寢)선농단(先農壇)선잠단(先蠶壇)문선왕묘(文宣王廟:공자의 사당)마조단(馬祖壇)사한단(司寒壇:氷神을 모신 단) 등을 설치하고 예절을 갖추어 제사지냈다. 그리고 명산대천우사(雨師)운사(雲師)뇌사(雷師) 등도 제사지냈다. 조선시대에도 원구와 방택만을 제외하고 고려의 제도를 그대로 따랐다. 사가(私家)의 제례는, 고려시대에는 대부(大夫) 이상은 증조까지 3대, 6품(品) 이상의 벼슬아치는 할아버지까지 2대, 7품 이하의 벼슬아치와 평민은 부모만을 가묘(家廟)를 세워 제사지내게 했으나, 조선시대에 이르러 《주자가례(朱子家禮)》에 근거를 두어 신분을 가리지 않고 고조까지 4대를 봉사(奉祀)하게 했다. 오늘날에는 전주 이씨(全州李氏)의 종약원(宗約院)이 거행하는 종묘의 제향, 서울의 성균관과 지방의 향교에서 유림(儒林)이 거행하는 문묘(文廟)의 제향, 유림이 거행하는 각 서원의 제향, 사가의 조상 제사 이외의 다른 것은 찾아볼 수 없다.
Ⅵ. 유교의 인간관을 윤리도덕적 인간관이라고 하는 이유 문제제기
유교는 하늘과 만물 곧 우주의 모든 존재를 인간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하려는 입장으로, 하늘로 부터 부여받은 성품은 순수한 선이요 보편적인 이치이며, 욕망과 연결되어 있는 육신은 선의 기준 으로부터 이탈하기 쉬운 충동적가멸적 존재라 하였다. 유교는 이러한 우주적 자연관 속에서 인간이 인간답게 행동하고 살아가는 도리를 근본 문제로 삼고 있다. 그러나 사욕이 본성을 가려 그 유혹에 넘어가는 수도 있지만, 결국에는 극기 복례하려고 애쓰는 것이 인간이다. 이와 같이 악에 빠졌더라도 언제든지 다시 선에로 돌아올 수 있음을 굳게 믿고 있다.선에의 자각은 수기(修己)로 이어지고 수기를 하고 나면 필연적으로 안인(安人)으로 이어진다. 이와 같이 인간은 도덕의 주체이다. 《논어》에서도 사람이 도를 넓히는 것이지, 도가 사람을 넓히는 것이 아니다〔人能弘道 非道弘人〕.라고 단언했다. 인간은 극기 복례를 통하여 천인합일의 경지를 개척하지만, 그것이 중단되는 순간에 생생 화육(生生化育)의 질서에 순응할 수 없게 된다. 이런 측면에서 유교의 인간관을 윤리도덕적 인간관이라 할 수 있다.
Ⅶ. 도교에서 주장하는 덕과 유교에서 주장하는 덕의 차이점 문제제기
유교에서는 인간과 인간이 아닌 것을 구별하여 인간만이 가지고 있는 어떤 것을 인간의 본성으로 보았다. 특히, 맹자는 인간과 가장 가까운 짐승과 인간이 다른 점을 찾아내어 거기에서 인간다움 을 발견하려 하였다. 그러나 도교에서는 인간과 인간 아닌 것의 다른 점으로부터 인간의 본성을 찾으려고 하지 않는다. 오히려 인간과 천지 만물이 서로 통할 수 있으며, 같이 가지고 있는 어떤 것을 인간의 본성이라고 보았다.인간의 본성인 덕(德)은 자연계와 인간계의 밑바닥에 있는 보편적인 원리인 도(道)로부터 얻어진다. 이러한 덕은 성현이나 군자뿐만 아니라 어린아이도 온전히 가지고 있다. 그래서 장자는 덕을 많이 가진 사람일수록 어린아이 같다고 하였다. 결국 도교에서 주장하는 덕이란 지식정감뿐만 아니라, 인의예지(仁義禮智)의 도덕과도 관계없다. 맹자에게는 인의(仁義)가 인간만이 가진 것이라고 하지만, 도교는 이러한 주장에 반대한다.
Ⅷ. 인용문헌
금장태. 1994. 유교사상과 종교문화. 서울대학교출판부
네이버 백과사전(www. naver. com)
가지신행. 1996. 유교란 무엇인가. 지영사
가지신행. 2002. (침묵의 종교) 유교. 출판사 경당
유학주임교수실. 2000. 유교 인간학. 성균관대학교출판부
정진일. 1997. 유교의 이해. 혈설출판사

키워드

유교,   유교의 정의,   공자,   논어,   맹자,   순자,   주자,   성리학
  • 가격1,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2.07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29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