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예절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현대적 계승방안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문제제기
1) 우리나라 고대의 예학
2) 삼국시대와 고려의 예학
3) 고려말기와 조선시대의 예학
4) 현재 우리예학의 실태

2. 전통예절의 본질과 의미
1) 전통예절의 참뜻
2) 현대 생활속의 전통예절
3) 전통예절의 필요성

3. 전통예절의 원리

4. 관혼상제의 현대적 계승방안

5. 구사, 구용과 사행의 현대적 계승

6. 마치며

본문내용

기거동작의 범절 등을 저절로 익히게 될 뿐 아니라 한국의 차 정신인 주일무적(主一無適), 중정(中正)까지 체득할 수 있다. 각 가정에서부터 생활차를 부활시키는 일이 급선무라고 본다.
5. 구사, 구용과 사행의 현대적 계승
현대예절의 기본이 이미지메이킹이다. 이미지메이킹이란 좋은 인상 만들기라고 할 수 있는데, 표정, 복장, 자세, 인사, 말씨를 가리킨다. 한국인들은 신언서판(身言書判) 순으로 사람의 이미지를 판단하였다. 여기서 신(身)과 언(言)이 이미지메이킹에 해당한다.
좋은 신언서판을 만들기 위해 구용과 구사, 사행을 강조하였다. 구용, 구사, 사행은 조선시대 이미지메이킹 교육의 표준 지침서라고 할 수 있다. 구용과 구사는 마음가짐과 몸가짐의 기본 지침이었으며, 사행은 여성 규범교육의 필수였다.
九容
足容重:발은 무겁게 가진다.
手容恭:손은 두 손을 모아 공손하게 공수한다.
目容端:눈은 단정하고 곱게 떠서 정면을 향한다.
口容止:입은 조용히 다문다.
聲容靜:말소리는 항상 나직하고 조용히 한다.
頭容直:머리는 곧고 바르게 가져 의젓한 자세를 가진다.
氣容肅:호흡은 단정히 하고 안색을 평안히 해서 기상을 엄숙히 한다.
立容德:서있는 모습은 그윽하고 덕성이 있어야 한다.
色容莊:얼굴은 항상 명랑하고 생기있게 한다.
九思
視思明:눈으로 볼 때는 반드시 밝고 바르고 옳게 볼 것을 생각함.
廳思聰:들을 때는 그 말의 참뜻을 밝게 들을 것을 생각함.
色思溫:얼굴빛은 온화하게 할 것을 생각함.
貌思恭:용모는 공손하게 할 것을 생각함.
言思忠:말을 할 때는 반드시 성실하게 할 것을 생각함.
事思敬:어른을 섬길 때는 공경하는 마음으로 할 것을 생각함.
疑思問:의심나는 것이 있으면 물어서 배우겠다고 생각함.
忿思難:분이 날 때는 나중에 벌어질 우환을 생각함.
見得思義:얻는 것을 보면 의로운 것인지를 생각함.
여유사행은 부녀자가 갖추어야 부덕(婦德), 부언(婦言), 부용(婦容), 부공(婦功)을 말한다. 부덕은 뜻은 한 가지이며 마음은 청렴하고 지조는 깨끗하여, 백 가지 행실이 예절에 벗어나지 않는 것을 말하며, 부언은 말솜씨가 좋은 것이 아니라, 말을 가려서 하고 사나운 말을 하지 않고, 때에 알맞는 말을 하며 사람들이 싫어하는 바를 잘 살펴가며 말을 하는 것이다. 부용은 고운 얼굴을 말함이 아니라, 몸과 의복은 바르고 깨끗하며 장신구는 조찰하게 하고, 단정한 모습과 부드럽고 온순한 태도를 가지는 것을 말한다. 부공이라 하는 것은 손솜씨가 뛰어난 것을 말함이 아니라, 바느질과 길쌈에 마음을 온전히 다하여 때를 맞추어 의복을 지어 식구들의 어려움이 없도록 하고, 술과 음식을 깨끗하고 조촐히 장만하여 손님을 정성껏 대접하는 것을 말한다.
신언서판, 구용과 구사, 사행을 보면, 우리 선조들은 마음과 몸을 따로 떼어서 생각한 것이 아니라 형이상학적인 것과 형이하학적인 개념을 하나로 통합하여 총체적으로 보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마음 공부를 기본적으로 철저하게 했으므로 아름다운 예법이 오랫동안 전승되었으리라 본다.
구사, 구용, 사행에서는 한국적인 이미지를 찾아낼 수 있다. 이를테면, 치아를 드러내는 환한 미소보다는 치아가 드러나지 않는 온화한 미소가 더 한국적이다. '솔' 음의 "안녕하십니까?"를 먼저 하고 난 다음에 허리를 숙이는 인사보다는, 먼저 허리를 숙이고 난 다음에 따뜻한 음성으로 "안녕하십니까?"라고 인사말을 하는 것이 한국인의 정서에 더 맞다. "고객님, 무엇을 도와드릴까요?"라고 말을 붙이면서 따라다니는 것보다는, '그림자처럼' 고객 가까이서 대기하고 있다가, 도움이 필요할 때면, "네, 고객님" 하고 '메아리처럼' 대답하는 것이 한국적인 고객응대법이다. 아울러 남녀노소는 구별하되 빈부귀천은 구별하지 않는 것이 전통적인 고객접대법이다.
) 內訓 接賓客章.
이상과 같이, 구체적인 실례를 하나 하나씩 정리해 가다보면, 한국적인 서비스 예절모형이 나올 것이다. 그러나 이런 작업은 전통예절 전공자만이 하기에는 벅찬 일이 아닐 수 없다. 현대 서비스예절 전공자와 함께 학제간 연구를 한다면 설득력이 있는 결과물이 나오리라고 본다.
6. 마치며
전통예절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현대화에 대한 준거 및 계승 방향을 논하기 위해 전통예절의 본질과 원리를 먼저 고찰하였다.
그 결과, 전통예절에 내재된 원리를 음양오행, 남동여서, 주동객서, 생사유별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기본 원리를 지키면서, 상황에 따른 복식을 갖추어 입고, 의미에 맞는 음식을 대접하며, 정성스런 마음을 가지고서, 행동을 절도있게 할 때마다 자기를 겸손히 낮추어 허리 굽혀 절을 하는 것이 바로 한국의 전통예법으로 보았다.
전통의 현대화란 과거의 전통을 오늘의 현실에 맞게 수용하고 변용하여 재창조하면서 적극적으로 계승해야 한다고 보고, 고정적 계승, 긍정적 계승, 가변적 계승, 부정적 계승의 준거를 가지고 대표적인 통과의례인 관혼상제례와 다례의 현대적 계승을 검토하였다. 궁중 다례, 종묘제례 같이 문화재로 지정된 예절은 고정적 계승을 해야하므로 논외로 하였다.
관혼상제례를 검토해 본 결과, 시대가 바뀐 만큼 전통예절의 절차나 관행은 바뀌어야 마땅하나, 한국적이면서도 문화적 의의가 지대한 것은 오늘날에도 적극적으로 계승해야 한다고 결론짓고, 계승해야할 것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조선시대 규범 교육의 표준 지침서라고 할 수 있는 구용과 구사, 사행을 검토해 보고 한국적 서비스 예절의 실체를 논하였다.
이상과 같은 논의에도 불구하고 본 논문은 관혼상제례를 한꺼번에 다룬 관계로 미시적인 연구에 있어서 부족한 감이 없지 않아 있다. 이는 후속 논문으로 미룬다. 아울러 현대화에 대한 논의는 현대 서비스 예절 전공자와 함께 공동 연구를 함으로써 설득력을 확보할 것이다. 이것 역시 다음기회로 미룬다.
예절을 비롯한 전통문화의 현대화는 앞으로도 계속 논의되어야 한다. 21세기는 문화의 세기이며, '오래된 미래' 라는 말처럼 전통문화야말로 과거와 현재를 거쳐 미래에도 지속될 문화이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이정우 외 『현대생활매너』, 숙명여자대학교 출판국
이정우 외 『생활예론』, 숙명여자대학출판부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2.08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31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