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심조룡과 모시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모시서(毛詩序)
1) 毛詩序의 발생과 개요
(1) 毛詩序 발생의 역사적 배경
(2) 毛詩序 해설
2) 毛詩序의 내용
(1)‘詩言志’
(2) 형식적 분류와 표현방법 ‘六儀’
(3) 毛詩의 특색
(4) 毛詩序상의 작품해석
3) 毛詩序에 대한 비판과 그 비판이 지닌 한계점
(1) 비판
(2) 비판이 지닌 한계점
2.유협(劉勰)의 시론(詩論)
1) 위진남북조(魏晉南北朝) 문학개관
2) 유협과 문심조룡(文心雕龍)
(1) 유협
(2) 문심조룡
(3) 문심조룡의 구성
3) 마음의 機能과 창작(創作)
4) 풍격론(風格論)
5) 정지(情志)와 수사(修辭)
6) 운률론(韻律論)
7) 환경(環境)과 문학(文學)
(1) 사회 환경과 문학
(2) 자연 환경과 문학

Ⅲ. 결론

본문내용

창작(創作)에 있어서 마음이 붓과 모의(謀議)해야 하는데, 재기(才氣)와 학문(學問)이 서로 힘이 합쳐지면 좋은 작품이 나온다.
유협은 정지(情志)와 수사(修辭)을 나란히 관련시켜 논했다. 전자는 이른바 질(質)이고 후자는 文이다.
정지(情志)는 문학의 바탕이므로 정지(情志)가 주가 되어서 바로잡혀져 있어야 修辭가 제구실을 다하게 된다. 그런데 더 중요한 것은 문(文)과 질(質)이 성정(性情)의 자연성(自然性)에 부합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시경》시대에는 정지(情志)를 나타내기 위해 글을 썼고, 그 이후 子와 수부가(修賦家)들은 그와 반대로 글을 쓰기 위해 성지(情志)을 조작(造作)했는데 글은 간결하나 진정(眞情)이 나타나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글은 음려(淫麗)하나 성정(性情)의 진위를 분간할 수 없게 되었다. 그런데 후세의 작가들은 수부(修賦)를 모범으로 받들어 외화(外華)만을 추구하여 문학의 정도에서 벗어나는 결과를 초래했다는 것이다.
6) 운률론(韻律論)
음률은 사람의 소리에서 시작되었고 사람의 소리로 이루어지는 언어는 문장 구성의 관건이며 정서와 사상을 전달하는 구조적 장치인데 언어의 율려(律呂)는 결국 사람의 발음기관을 통해서 생기는 것이다. 그런데 사람의 소리는 마음속에서 싹터 오므로 잘 읽을 수 없으므로 마음에서 우러나오는 율려(律呂)를 알아내려면 일정한 운율의 법칙을 따라야 한다.
운율의 기본 법칙은 음두(音頭)의 자음인 성(聲)과 모음과 음미(音尾)의 자음인 운(韻)을 이용한 쌍성(雙聲)과 첩운(疊韻)의 조절이다.
이를 통해 글이 막히지 않고 절주(節奏)있게 부드럽게 굴러 나가는 자연적인 음조(音調)를 살리고자 하는 것이다.
시가(詩歌)에서 운율의 미(美)를 강구하는데 시가(詩歌)의 맛은 자구(字句)에서 시작되는데 자구(字句)에서 운율의 미(美)를 나타내는 힘은 “화(和)”와 “운(韻)”에 달려 있다고 보았다.
“화(和)”는 서로 다른 음이 조절되어 억양(抑揚)을 이루는 것으로, 변화가 많아서 비교적 쓰기 쉬운 산문(散文)에도 “화(和)”를 구하기 힘들고 “운(韻)”은 일정하므로 시(詩)에 “운(韻)”을 달기는 쉬움을 지적했다.
유협은 운율의 특색을 관악기와 현악기 두 가지의 음악에 견주었는데 전자는 전체에 걸친 5음의 조화에 후자는 젖히고 돌고 하는 변화를 보여주면서 조화를 잃지 않는 것에 견주었다.
7) 환경(環境)과 문학(文學)
(1) 사회 환경과 문학
유협은 문학의 기풍이 여러 가지로 변천하는 중요한 원인을 각 시대의 사회 환경에서 찾았는데 특히, 정치와 집권자의 영향에 가장 많이 주의를 기울였다.
그는 상고시대부터 남조에 이르는 동안의 문학을 시대적으로 구분해서 각 시대의 문학이 그 시대의 여러 가지 사회 환경의 지배를 받고 있음을 예를 들어 설명했다.
<時序篇>에서 한말(漢末)의 문학을 논한 부분을 예로 보자.
自漢獻帝播遷, 文學蓬轉. 建安之末, 區宇方輯, 魏式以相王之尊, 雅愛詩章; 文帝以副君之 重, 妙善辭賦; 陳思以公子之豪, 下筆琳瑯; 體貌英逸, 故俊才雲蒸.
여기서는 학술, 사상, 종교, 풍속 등이 문학에 미치는 힘에 대해서 각별히 유의했음을 알 수 있고 문학을 보는 시야가 확대된 것이라 볼 수 있다.
(2) 자연 환경과 문학
유협은 자연환경과 문학에 미치는 영향도 중요하게 다루었다.
사계절 변천에 따른 정지(情志)의 감흥과 문학과의 관계를 설명하였다.
<物色篇>을 예로 보자.
獻歲發春, 悅豫之情暢; 滔滔孟夏, 鬱陶之心凝; 天高氣淸, 陰沈之志遠; 霰雪無垠, 矜肅之 慮深.
歲有其物, 物有其容; 情以物遷, 辭以情發. 一葉且或迎意, 蟲聲有足人心. 況淸風與明月同 夜, 白日與春林共朝哉!
중국에서는 계절이나 기후에 따른 자연환경과 그것에서 나오는 정지(情志)의 묘사에 힘써왔다.
《시경》단계에서는 정지(情志)면에 중심이 두어져 환경묘사가 간략하고 아름다우면서도 법도 있었고 사부(辭賦)단계에 와서는 환경의 모습의 묘사에 집중하여 글이 늘어져서 아름답기는 했으나 도가 지나쳤다.
남조에 들어와서는 시에 자연 경물의 현실 그대로 묘사를 숭상하는 기풍이 대단히 성행했다.
유협은 기교와 사세(事勢)를 적절히 조절이 잘 되면 옛날에 다루어오던 소재로도 새로운 경지를 개척할 수 있게 된다고 하였다.
적절한 조절이란 계절이 계속 변하여도 그것을 감흥 속에 반영시킬 때는 우아하게 다루고 경물이 많지만 그것을 묘사하는 데는 간결하게 해서 글이 맛이 가볍고 정지(情志)가 한층 새롭고 빛나게 만드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 환경과 자연환경은 작가의 창작 의욕 내지 방향과 밀접한 관계가 있고 동시에 작가의 개성과 작품의 풍격을 형성시키는 큰 힘을 갖는다.
Ⅲ. 결론
지금까지 시경의 해설서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모시서와 위진남북조시대의 대표적 문학비평서인 유협의 문심조룡에 대해 알아보았다.
모시는 서한초 모형이 해설한 시경으로, 경문은 고문이었던 것으로 전한다. 모시는 대서와 소서로 나뉘는데 대서는 시와 시경에 대해 개설한 부분이고 소서는 매편의 시 내용을 요약했다. 대서에서의 시는 뜻이 말로 나타난 것이고 서정성이 있다. 시의 음곡과 연결시킨 상태에서의 정교와의 관계는 공문시학의 정교면에서의 공능을 말한 것을 확대시키고 시의 실용적 가치를 극도로 높인 것이다. 소서에서는 시를 요약하고 찬미와 풍자의 수법을 사용했다.
문심조룡은 당조 이후의 작가와 비평가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다. 진자앙(陳子昻)이 풍골(風骨), 흥기(興奇)를 내세웠다든가 두보, 백거이가 시론에서 비흥(比興)을 중시했다든가 한유가 복고를 주장한 것은 모두 유협과 그의 문심조룡의 이론면에서의 영향이다. 그리고 송, 명, 청 시기의 내려오면서도 많은 작가와 비평가들에게 영향을 주었다.
[참고문헌]
겨울 학술특강자료(제2강 동양미학) 경희대 대학원 2002
김학주 『중국문학사론』 서울대 출판부 2002
김원중『중국문학이론의 세계』 을유문학사 2002
車柱環『中國文學의 饗宴』서울대학교 출판부 1996
김영덕 편저『中國歷史와 文學 上』 학문사 1996
차주환 『중국시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1989
지세화 홈페이지 http://www.ptuniv.ac.kr/~chee/
네이버 백과사전
엠파스 백과사전

키워드

문심조룡,   중국,   시가,   모시
  • 가격2,0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2.09
  • 저작시기200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34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