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간 대중문화의 수용과 일본내 한류열풍을 통해 본 한일관계의 변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한일관계는 중요한가?
1. 한일관계의 조건
2. 한일관계의 일반론
3. 한일관계의 특수론

Ⅱ. 한일간 대중문화의 수용원인 분석
1. 일본문화의 국내유입 역사와 그 의미
1) 일본문화의 국내 유입의 역사
2) 국내 유입의 결과
2. 일본 내 한류열풍의 원인 분석
1) 한류의 정의
2) 한류열풍의 역사
3) 한류열풍의 원인분석
3. 문화적.오락적 독창성을 지닌 한국문화의 경쟁력
4. 일본문화에 대한 전면적 제5차 개방에 대한 시각

Ⅲ. 문화의 문화적 효과와 비문화적 파급효과
1. 문화적 효과
2. 경제 및 사회 그리고 정치적 효과

Ⅳ. 문화를 통한 한일관계의 전망

본문내용

간의 역사에 대해 관심을 확장하고 시민단체와의 연대도 의식한다면 한일관계에 직간접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소수의 작은 목소리라 할지라도 그들의 한일관계에 대한 발언이 간접적으로 일본의 정치가들에게 영향을 미칠 것이다. 직접적으로는 정치적 시위 등을 통해 일본 정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제3시나리오:
장기적으로 한류의 팬들이 문화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한국에 대한 문화이해를 심화하지만 그러한 문화이해가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일시적이고 특수한 문화적 경험으로 한정될 경우, 후세대에게 전승되지 않아 한일관계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는다.
제4시나리오:
장기적으로 한류의 팬들이 문화 네트워크 활동을 통해 한국에 대한 문화이해를 심화시키고, 그러한 문화이해가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칠 경우, 자녀교육을 전담하는 일본 여성들의 입지를 고려할 때, 한국에 대한 우호적인 이해가 전승될 수 있다. 그러한 영향을 입은 10대-20대들이 10-20년 후 정계나 한일관계와 관련이 있는 업무를 담당하게 될 때 한일관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한일관계의 변화를 전망할 때 놓치기 쉬운 점은 현재 한일관계가 긍정적이지 않기 때문에 변화한다면 긍정적으로 변화할 것을 기대하게 된다는 점이다. 위의 시나리오도 변화하지 않는 경우 현재와 같은 수준의 관계는 유지될 것이고, 변화하면 긍정적으로 변화할 것이라고 전제하고 있다. 그러나 사실은 부정적으로 변화할 가능성에 대해서도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지금 일본 정치지도부는 헌법을 개정하고 자위대가 아닌 명실상부한 군대를 지닌 보통국가가 되겠다는 정치적 의지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한일관계가 독도문제 등으로 악화될 경우 군사분쟁의 갈등 상황으로 변모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본 원고는 한일 양국의 대중문화를 즐기는 문화애호가들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변화가능성을 전망하는 것이 목표였기 때문에 그러한 극단적 관계는 가정하지 않았다.
문화애호가로서의 대중도 대중으로서의 성격은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 성격의 변화무쌍함도 놓쳐서는 안될 것이다. 매니아층을 제외한 10대, 20대의 선호는 수시로 바뀌어서 수요파악이 어렵다는 것이 대중문화산업계의 정설이다. 또한 시대적으로 다원적 민주주의가 성숙해갈 수록 정치무관심층은 증대하는 것이 일반적 현상이기 때문에 대중의 정치의식이나 역사의식을 계몽할 계기가 주어지지 않는다면 대중이 정치적으로 한일관계에 구체적인 영향력 을 미칠 것을 기대할 수 없다.
그렇지만 실마리 같은 희망도 놓아버릴 수는 없다. 현재 한일 양국의 정치체제는 약간의 제도적 차이와 정치문화적 차이는 있지만 기본적으로 민주주의체제이다. 민주주의 체제의 주인은 불특정 대중이고 불특정 국민이다. 주인이 체제 이념을 지배할 수 있는 근거는 충분하다. 또한 그 불특정 대중이 정치의식이나 역사의식을 갖는 시민으로 변화할 가능성도 전혀 배제할 수 없다. 역사는 무지한 것으로 보였던 많은 대중들이 지도자와 일체가 되어 변혁을 도모하는 사례를 수없이 보여주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김현미, 「한국문화인류학」 36집 1호, 2003(일어판 日式韓流(Mouri Yoshitaka ed. せりか書房, 2004), 「한류 춘천포럼-춘천과 한·일 문화교류논문집」, 2005.
문화관광부, 「문화정책백서」, 2003.
박재영, 「국제기구정치론」, 법문사, 2004.
외교통상부, 「2004 외교백서」, 2004.
이규재,「학력획득에 대한 가정배경의 영향에서 가정내 사회적 자본의영향과 역할」, http://www.kli.re.kr/klips/21_learn_q/down/05_26.pdf
이동연, "동아시아 문화교류를 위한 이론적 모색", 「동아시아에서 문화교류 연구, 어떻게 할 것인가」,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정례학술대회, 2004.
이종호,「文化的 趣向에 影響을 비치는 社會經濟的 要因들에 관한 硏究: 부르디외(P.Bourdieu)의 文化資本論을 中心으로」, 1998, 성균관대학교 사회학과 석사논문, http://www.was.pe.kr/Bourdieu.htm
정일준, "왜 부르디외인가?: 문제는 '상징권력'이다," Bourdieu, P, 정일준 역, 「상징폭력과 문화재생산」, 새물결, 1995.
조윤영, "문화적 접근을 통한 국제관계 연구: 갈등해소와 협상에 있어서 문화의 역할 분석", 「국제정치논총」 제44집 1호, 한국국제정치학회, 2004.
조현성,「일본대중문화 개방영향분석 및 대응방안」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03. http://kctpi.re.kr/munhwa_sangse.htm?num=1379
경향신문 2005/07/21일자 기사
edaily 2005/05.03일자 기사
James G. March and Herbert A. Simon, Organizations, New York: Wiley, 1958.
Kenneth J. Benson, "The Interorganizational Network as a Political Economy,"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20, no.2, June 1975, pp.233-234.
R. Cohen, Negotiating Across Cultures, Washington, DC: U.S. Institute of Peace Press, 1999. Robert J. Janosik, "Rethinking the Culture-Negotiation Link," in J. William Breslin and Jeffrey Z. Rubin(eds.), Negotiation Theory and Practice, Cambridge, MA: The Program on Negotiation at Harvard Law School, 1999, pp.235-245.
Sol Levine and Paul E. White, "Exchange as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Study of Interorganizational Relationship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5, no.4,1961, pp.583-601.
  • 가격2,9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2.17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2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