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을사의병과 정미의병 항쟁의 역사적 의의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일제침략과 항일의병

2. 의병항쟁

3. 의병이란
1) 전통사적 배경
2) 위정척사사상

4. 강화지역 의병운동
1) 강화지역 의병운동의 배경
2) 강화 지역 의병운동의 전개

5. 강화 의병운동의 역사적 성격
1) 제1기 의병 - 을미의병
2) 제2기 의병 - 을사의병
3) 제3기 의병 - 정미의병

6. 역사적 의의

본문내용

락(金河洛), 춘천(春川)의 이소응(李昭應), 강릉(江陵)의 민용호(閔龍鎬), 제천(堤川)의 유인석(柳麟錫)·이춘영(李春永), 홍주(洪州)의 김복한(金福漢)·이설, 문경(聞慶)의 이강년, 안동(安東)의 권세연(權世淵)·김도화(金道和), 진주(晉州)의 노응규(盧應奎), 김천(金泉)과 성주(星州)의 허위(許蔿), 장성(長城)의 기우만(奇宇萬) 등이다. 그 지방의 저명한 유학자를 의병장으로 하여 구성된 의병들은 친일부역자를 응징·처단하고 진압에 나선 관군이나 일본군에 대항하였으며, 일본군의 군용시설과 주둔지를 공격하기도 했다. 특히 이들 의병의 공격목표가 서울·부산·원산 등 일본인이 많이 진출한 도시였다는 사실은 을미의병이 단순히 단발령에 반대하여 일어난 운동이 아님을 보여주는 것이다. 한편, 친일정부는 서울의 수비부대를 출동시켜 전국에서 봉기한 의병들을 진압, 해산시키려 하였다. 이러한 상황을 이용한 친러파는 아관파천(俄館播遷)을 단행, 친러내각을 수립하였는데, 새 내각은 단발령의 철폐, 적체된 각종 공세(貢稅)의 탕감 등조처를 시행하여 의병 봉기의 명분을 없애고 의병의 해산을 회유하였다. 그 결과 96년 3월 이후 의병활동은 점차 쇠퇴하였다. 을미의병은 유교적 세계관에 바탕을 둔 척화론(斥邪衛正論)과 존왕양이론(尊王攘夷論)에 입각하여 일정한 한계성을 지녔으나, 조선말 일본에 대항하여 싸운 최초의 본격적 항일의병운동이었다는 데 의의가 있다.
2) 제2기 의병 - 을사의병
1905년 을사조약 강제체결을 계기로 구국항일무력전이 일어났는데, 1906년에 그 활동이 활발하였던 까닭에 병오의병(丙午義兵)이라고도 한다. 가장 먼저 봉기한 지역은 원주·제천·단양 등 중부 일대였다. 1905년 9월 원용팔(元容八) 등이 원주에서 의병진을 편성하였으나 활동개시 전 원주진위대(原州鎭衛隊)와 일진회(一進會)의 급습으로 해체되고 말았으며, 이어 정운경(鄭雲慶)이 제천·단양 등지의 의병을 규합하였으나 역시 원주진위대에 의하여 해산당하였다. 한편 안병찬(安炳瓚)·박창로(朴昌魯) 등이 중심이 된 홍주의병(洪州義兵)은 홍주성을 공략, 실패하였으나 그 뒤 민종식(閔宗植) 등이 재차 의진을 조직, 홍주성을 점령하는 전과를 올렸다. 한편 배일운동의 정신적 지도자였던 최익현(崔益鉉)의 의병진은 활동은 적었으나 의병항쟁에 큰 영향을 미쳤다. 영남 일대에서 두드러진 활약을 한 을사의병으로 신돌석(申乭石)의 의병진과 정환직(鄭煥直)·용기(鏞基) 부자의 산남의진(山南義陣)이 있었으며, 이 밖에도 죽산(竹山)·안성(安城)의 박석여(朴昔汝), 여주(驪州)·양평(楊平)의 이범주(李範疇), 양구(楊口)의 최도환(崔道煥), 홍천(洪川)의 박장호(朴長浩), 예안(禮安)의 김도현(金道鉉), 경주(慶州)의 유시연(柳時淵) 등이 이끄는 의병진의 활약이 두드러졌다. 을사의병은 을미의병이 해산된 뒤 은거중이던 의병장들이 전국 각지에서 의병들을 다시 규합한 것으로, 무기와 편제가 조잡하고 훈련이 부족하여 신무기와 조직적인 훈련으로 무장한 일본군을 당해내지 못했으나, 점차 확대·발전되어 정미의병(丁未義兵)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3) 제3기 의병 - 정미의병
고종의 강제퇴위, 정미칠조약체결, 군대해산을 계기로 거국적인 구국항일무력전이 일어났는데, 이를 정미의병이라고 한다. 1907∼1910년 사이에 계속되었으며, 1908년 최고조에 달하였다. 정미의병은 한국군대의 강제해산이 도화선이 되어 각 지방에서 해산군인들이 봉기함으로써 촉발되었고, 전국적으로 확대·발전하였는데, 어느 정도의 조직과 무기를 갖추고 대규모적인 항전을 계속하였다. 그리고 마침내 전국의 의병을 규합, 13도창의군을 결성하고 서울진공작전을 시도하였으나, 동대문외곽전투에서 일본군에게 패한 뒤 대규모 의병활동이 불가능하게 되자 소규모 유격활동으로 전환하였다. 그러다가 1909년 일제의 <남한대토벌작전>으로 점차 그 기세가 꺾이고 국내활동이 어렵게 되자, 만주로 근거지를 옮긴 의병과 합세, 항일독립군의 모체가 되었다. 정미의병은 참여계층의 다양화로 전면항일전의 성격을 띠었고, 무기와 편제가 정예화하여 전력이 크게 향상되었으며, 의병진이 점차 소규모화, 다원화되어 산간지대를 근거로 효과적인 유격전술을 벌일 수 있었다.
6. 역사적 의의
의병 활동은 열악한 무기체계와 집권층의 분열과 국권상실등의 이유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지는 못했지만, 집권층의 부패와 무능, 그리고 외세의 침략으로 국가와 민족이 위기에 처해 있을 때 일어난 구국 운동의 대표적인 형태였고, 민족의 강인한 저항 정신을 표출시켰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의병 활동은 멀리는 왜란, 호란 때의 반일, 반청의병에서부터 시작하여 개항전후시기에는 위정척사운동으로 이어져 왔으며, 그것이 명성황후 시해사건을 계기로 다시금 반일의병으로 나타나고, 을사조역과 군대해산을 거치면서 한층 대규모 항일전쟁으로 발전해 온 것이다. 그 과정에서 참가 주도층도 양반, 유학자에서 점차 평민출신으로 바뀌어 갔으며, 유교적 충효사상에서 근대국가의 주권옹호를 위한 독립전쟁의 형태로 변화되어 갔던 것이다. 그리고 이 흐름이 일제시대의 항일무장투쟁으로 이어지면서 가장 적극적인 항일운동을 이끌어가게 되었다.
또한, 20세기 초 제국주의 열강의 약소국 침략이 극심하던 시기에 일제의 침략에 대항하여 무장 투쟁을 전개하였다는 점에서, 세계 약소 민족의 독립 운동사에서도 커다란 의의를 가지는 것이다.
참고문헌
민족문화와 의병사상(1997) / 도서출판 박이정 / 박찬익
국사편찬위원회, 고등학교 국사(하), 교육부, 2000,
역사신문편찬위원회, 『역사신문』5 사계절, 1996
민족문화와 의병사상(1997) / 도서출판 박이정 / 박찬익 저
한국사특강(1990) / 한국사특강편찬위원회 편찬 / 김종운 저
한국사 12 / 한길사(1994) / 강만길 외 11명 저
한국역사연구회, {한국역사입문③}, 풀빛, 1996.
{민족전란사① -의병항쟁사}, 국방부전사편찬위원회, 1984.
{독립운동총서① - 의병들의 항쟁}, 민문고, 1995
한국민족운동사연구회, {한국민족운동사연구 2 -1910年 前後 江華地域 義兵運動의 性格}, 지식 산업사, 1988.
  • 가격2,6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2.20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55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