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 새마을운동의 발전과 지역가꾸기사례 및 새마을운동의 접목방안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새마을운동의 발전단계
1. 기반조성단계(1971 - 1973)
2. 자조발전단계(1974 - 1976)
3. 자립구축단계(1977 - 1980)
4. 복지정착단계(1980년 이후)

Ⅲ. 새마을운동의 의미와 성과
1. 농촌 새마을운동
2. 도시,공장,직장새마을운동
3. 새마을운동의 역사적 평가

Ⅳ. 삼척시.군 지역의 새마을운동 사례
1. 삼척시 새마을운동의 실적과 성과
2. 삼척군 새마을운동의 실적과 성과

Ⅴ. 지역가꾸기 운동의 개관
1. 지역가꾸기 운동의 개념과 용어의 정리
2. 지역가꾸기 운동의 필요성
3. 일본지역활성화운동의 시사점
4. 지역가꾸기새마을운동의 방향 모색
가. 지역가꾸기를 위한 새마을운동 역할분석
나. 새마을 지역가꾸기운동의 그간의 실적

Ⅵ. 결 론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역을 집중 관리하였다.
3) 활력 있는 내고장가꾸기(1991년부터)
경제적으로 풍요롭고 심신이 건강하며 협동·화합이 잘되고 생활환경이 쾌적한 마을을 「자랑스런 마을」로 정의하고, 전국 시군당 1개마을(총 182개 마을)을 시범적으로 육성하여 파급효과를 거양하고자 했다. 해당마을의 이장을 비롯한 5명의 유력인사를 초청하여 2박3일간 종합 마을개발계획을 수립하는 등의 교육을 대대적으로 실시하고 174개 마을에 지방비 91억원이 지원되었다.
1992년 새마을중앙회의 직속기구로「내고장 활력화 센타」를 설치하여 일향일품운동(일행일품운동)을 제창하면서 지역활성화 업무에 관련된 자료제공과 이벤트, 교육, 상담업무를 개시했다.
4) 우리동네작은개혁운동(1999년부터 추진)
IMF시대가 도래하면서 사회전체는 구조조정과 개혁바람이 힘차게 몰아쳤다. 이때에 즈음하여 새마을중앙회는 우선 실업자 등 주위의 불우한 이웃을 돕는데 진력하면서 각급 시민·복지·직능사회단체와 연대해서 민간차원의 사회안전망 구축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그리하여 전국 읍면동 단위로 민간사회안전망추진위를 결성토록 하여 한해동안 시범지역 734개의 민안추 조직이 완성되었으며 38,903가구를 대상으로 약 365백만원의 지원 실적을 거양했다. 여기에는 36,060명의 지역인사가 참여하였으며 그 중 68%가 비 새마을인사였다. 또한 누구나 살고 싶어하는 마을만들기를 목표로 「우리동네작은개혁운동」을 전개하였다.
이 운동은 「나 자신의 의식개혁이 우리동네를 바꾸는 첫 걸음입니다」라는 슬로건아래 생활질서, 공동체의식, 환경보전, 자체개혁과제 등 4대 중점과제를 지역별로 추진하여 연말에 시군구별로 종합평가 한 후 234개의 으뜸 마을을 선발하였다.
한해동안의 우리동네작은개혁운동의 주요 사업 추진실적을 요약해본다.
생활질서캠페인
경로잔치
불우이웃돕기
환경미화
회수
지역수
참 여 인 원
회수
지역수
봉 사 인 원
수 혜 인 원
회수
지역수
참 여 인 원
수 혜 인 원
참 여 인 원
꽃길
꽃동산
개소
km
개소
21.901
7,141
275,339
7,626
12,334
186,948
846,850
11,561
17,001
157,758
172,717
164,735
5,032
1,306
8,830
145,337
자원재활용
폐자원수집
방역봉사활동
과소비추방
알뜰마당
재생비누
수집량
참여인원
회수
지역수
참여 인원
회수
참여인원
개수
참 여 인 원
개소
제조량
(t)
(명)
(회)
(개소)
(명)
(회)
(명)
20,313
197,114
32,733
1,608,703
1,733,238
349,163
50,234
17,673
186,060
3,571
135,659
민간사회안전망운동과 우리동네작은개혁운동의 지역가꾸기운동으로서의 의미는 크게 두가지이다.
첫번째, 전국적으로 추진하되 사업추진단위가 읍면동이라는 것이다. 그동안 시군구까지 사무국이 있다보니까 새마을 사업이 시군구중심의 행사성으로 그칠 가능성이 높았으나 이 사업은 읍면동 단위에 추진위를 결성토록 함으로서 현장성과 운동성이 강조되었다.
두번째, 추진조직에 각급 사회단체와의 연대와 함께 유지·주민 참여를 확대함으로서 주민과 함께 하는 지역가꾸기운동에 한 걸음 다가서는 장치를 마련하였다.
Ⅵ. 결 론
이상과 같이 지역 가꾸기는 새마을운동차원에서 꾸준히 추진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사업추진 수행능력이나 성과 면에서도 상당한 평가를 내릴 수 있어 이제 국가적 과제로서 이를 좀더 대대적으로 확대 추진할 필요가 있는 만큼 새마을운동의 새로운 역할이 기대된다고 하겠다.
따라서 지역가꾸기를 좀더 진취적, 미래지향적, 국민운동적 성격이 부각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운동명을 「지역가꾸기 21 새바람운동」이라 명명해보았다. 물론 이것은 약칭으로 「지역새바람운동」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는 21C 지역가꾸기를 새마을운동이 중심이 되어 신바람 나게 다시 한번 추진해보자는 뜻이 담겨 있다.
이 운동은 농어촌지역과 도시지역형으로 구분하여 운동목표와 과제를 차별화 해야 할 것이다. 그간의 우리 운동이 지역특성을 무시하고 획일적으로 추진된 감이 없지 않으며 특히 「지역가꾸기」운동에는 이점을 중요시해야 할 것이다.
그래서 농어촌은 활력을, 도시에는 인정을 강조하는 목표와 슬로건을 통해 풍요와 삶의 질, 공동체복원에 역점을 두고자 한다. 또한 그간의 지역단위 중점 실천과제인 생활의식개혁, 환경보전, 인보활동(민간사회안전망운동) 등을 포괄하는 상위개념으로 지역가꾸기 사업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21C 우리가 지향하는 미래마을의 주요개념은 문화, 청정, 복지, 고소득, 정보화 마을이며 도시는 품위, 긍지, 아름다움, 인정의 공동체 건설이 목표가 되겠다.
이러한 목표에 도달하기 위한 세부실천과제와 프로그램들은 기왕에도 착실히 추진되고 있는 것들이 많으나 보다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것들이 본격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참고 문헌 -
서영진, 김 성(1994), 지역활성화의 논리와 실제, 나남출판
서영진(1992), 지방자치와 지역활성화, 나남출판
황병천(1996), 신농촌마을개발의 효율적 추진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연보96-15)
김선기(1994), 지역활성화의 발상(일본의 지역활성화 사례), 한국지방행정연구원(자료93-3)
백준호(1997), 외국의 지역활성화 기법과 실제,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자료96-13)
강형기(1997), 지방자치 가슴으로 해야합니다. 한국지방자치연구원
히라마스(1993), 지방으로부터의 발상, 새마을운동중앙회
새마을운동중앙회(1991), 지방자치와 새마을운동
새마을운동중앙회(1992), 자랑스런 마을 육성업무 편람
새마을연구회(1980), 새마을운동 10년사, 내무부
김병주(1989), 지방자치시대의 주민참여 확충방안 연구,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미내사클럽,한불경교육원(2000), 지역특화 활성화를 위한 워크샵자료
조준범(2000), 사례들을 통해 본 마을만들기, KSDN녹색마을의제 21만들기 워크샵자료
유상오(2000), 한일간의 지역활성화사업에 관한 비교연구, 새마을중앙회 워크샵자료
한표환(1997), 지역활성화 평가지표의 개발과 활용방안, 한국지방행정연구원(연보 9 6-35)
  • 가격2,9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7.03.02
  • 저작시기2007.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70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