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모금의 사회적 기능과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한 도민참여 확대방안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머리말

Ⅱ. 이론적 고찰
1. 지역사회자원 개발의 필요성
2. 한국의 기부문화
3. 공동모금의 특성과 사회적 기능
1) 공동모금의 특성
2) 공동모금의 사회적 기능
4. 공동모금회와 지방정부와의 관계
5. 공동모금회와 사회복지협의회와의 관계
6. 공동모금제의 모금방법과 기술

Ⅳ. 충북지역 도민의 기부문화 실태와 공동모금의 참여수준
1. 충북 지역도민의 기부문화 실태
2. 충북지역 도민의 공동모금 현황과 문제점
1) 공동모금회 조직.구성
2) 집중모금중 기탁자 유형별
3) 개인기부의 기부대상의 후진성
4) 기업기부의 미약성
5) 집중모금중 기부방식
6) 지역별 1인당 모금액

Ⅴ. 기부문화 조성과 도민참여 확대방안
1. 기부문화 조성 방안
2. 도민참여 확대방안

Ⅵ. 마치며

참고문헌

본문내용

키고 있다. 물론 연구한 내용을 지방분권으로 인한 재정의 국가적 책임을 민간에서 모두 책임지자는 것이냐고 오해하는 이도 있을 수 있겠다. 그러나 분권화의 현실을 또한 외면할 수 없는 현재에 있는 우리 사회복지계는 이제까지 의존해왔던 재정의 틀 거리에서 우리 스스로 재점검의 반성도 할 수밖에 없는 현실 앞에 있다는 것이다.
모든 국민의 복지를 사회복지계가 짊어 질 수는 없다. 그러나 민간의 역량을 강화하고 민? 관의 파트너쉽이 되기 위한 수평선 눈높이의 민간영역이 되기 위해서는 지역자원 개발과 모금에 분명한 전문성을 보여주는 것도 의미 있다 하겠다. 사회복지 현장에서 사명감과 봉사정신만을 내세워 전문성을 고집하기엔 시대적 변화는 너무나 커다란 파도처럼 물밀 듯 우리를 다그치고 있다. 민간자원의 활용으로 지역사회주민들의 복지참여도를 높이도록 함으로써, 사회통합의 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주민들을 우리 지역의 복지문제 해결과정에 참여시켜야 한다. 그것으로 인한 상부상조 및 사회적 연대감을 조성하는 데도 상당한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언론계, 교육계, 종교계, 기업, 지역주민 개개인을 복지자원화 하여 지역사회문제를 함께 고민하도록 민간영역의 전문성 강화와 투명성 더불어 경제적, 정치적 흐름에 유연하게 대처할 줄 아는 역량강화에 힘써야 한다.
사회복지계의 가장 큰 기반은 ‘재정’이며 사회복지계가 나아가야 할 길에 제약도 재정이 발목을 잡지만 재정만으로는 모든 걸 해결할 수도 없다는 것을 우리는 익히 알고 있다. 과연 사회복지사나 사회복지단체가 일일호프, 바자회, CMS의 자원개발과 공동모금회의 모금액을 활용하는 것 이외에 수십 년 동안 개발된 것이 무엇이 있는지에 대해서도 자문해 보아야 할 것이다. 기부에 대한 법령도 개정된 만큼 지역사회 자원개발에 진심으로 어느 것이 방해가 되고 있는지 무엇을 바꿔야하는지도 스스로 귀를 열고 개선해 나가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구, 복지재정 지방이양의 문제점과 대안, 사회복지와 노동포럼, 2005. 7. 25.
행정자치부 홈페이지, ‘분권교부세제도 이렇게 운영합니다’ 시리즈 자료
이태수, 2005, ‘지방분권시대 사회복지 재정의 현주소’, 복지세상을 열어가는 시민모임, 「천안시 사회복지예산학교 자료집」.
강철희, 「사회복지공동모금법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국사회복지사협회, 1988.
권오득, "사회복지공동모금법(정부안)에 대한 의견",「사회복지정책」, 창간호, 한국사회복 지정책학회, 1995.
, "공동모금", 중앙대 사회복지학과 편,「한국사회보장제도의 재조명」, 한국복지정 책연구소 출판부, 1992, 1993.
김영모, "사회복지모금활동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사회복지신문,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991.
,「지역사회복지협의회」,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1997.
,「한국사회보장 개혁론」, 중앙대 출판부, 1995. a.
, "지방자치와 지역사회복지협의회의 활성화 방안",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995. b.
김원식, "우리 나라 기업의 복지참여 현황과 활성화 방안",「사회복지」, 제133호, 한국사 회복지협의회, 1997.
류기형, "우리 나라 지역공동모금제의 모형에 관한 연구",「한국사회복지학」통권 22호, 한국사회복지학회, 1993.
, "공동모금의 이해와 시민참여확대 방안", 부산공동모금회 세미나자료, 2000.
문형표, "21세기 복지수요의 전망과 중앙정부 복지지출의 적정 규모",「사회복지」, 통권 133호,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997.
보건복지부, 사회복지공동모금법, 1997.
, 사회복지공동모금법 시행령안, 1998.
, 사회복지공동모금법 시행규칙안, 1998.
, 공동모금회 정관(예시), 1998.
송재성,「민간참여의 활성화 및 민간재원 조달 방안(1)」,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95.
오정수, "지역단위 사회복지공동모금의 효과적인 모금과 배분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사 회복지학」, 통권43호, 한국사회복지학회, 2000.
정기원 외 2인,「사회복지사업기금 운영개선을 위한 공동모금제도의 도입방안」, 한국보건 사회연구원, 1994.
정무성, 바람직한 기부문화조성을 위한 정부와 민간의 역할, 2000, http://chest.or.kr/library/main.html
조흥식, 이태수, " 공동모금제도와 민간복지부문의 역할정립",「한국사회복지학」, 통권38 호, 한국사회복지학회, 1999.
최일섭, "지역사회복지운동의 과제와 방향",「지역사회복지운동」, 한국지역사회복지운동 연구회, 1995.
, "지역사회발전과 공동모금운동의 과제", 「지역사회복지운동」, 창간호, 한국지역 사회복지운동연구회, 1995.
표갑수, "지방화와 지역사회복지의 발전방안",「세계화와 사회복지의 과제」, 제8회 전국 사회복지대회 자료집, 한국사회복지협의회, 1995. a.
, "지역사회조직", 김영모 편「지역사회복지론」, 한국복지정책연구소 출판부, 1985, 1995. b.
, "민간복지활성화를 위한 사회복지협의회의 발전방안",「충북복지정책연구」, 제4 집, 충북복지정책연구원, 1996.
中央共同募金會, "共同募金の基礎知識-共同募金運動必携シリ-ズ, 1983.
Dunham, A., The New Community Organization, Thomas Y. Crowell, N. Y., 1970.
National Association of the Social Workers, Encyclopedia of Social Work, Vol. 1, 18th ed, 1987.
People and Event, United Way of America, Case Hoyt, Atlanta, U. S. A, 1977.
United Way of America, "Basic Facts about United Way", Fact Sheet, 1989, 8.
United Way of America, Suggested Standards for United way Organizations, 1989)
United Way of America, United Way at Work in Action, 1987.
  • 가격3,1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7.03.01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72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