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교육의 최근동향과 통합교류교육의 연계 및 활성화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특수교육의 최근 동향
1. 특수교육 기본방향의 변화
2. 특수교육의 기회확대
3. 특수장애를 가진 아동들의 교육을 위한 법적인 발달
4. 통합 교류교육의 강화
5. 특수장애를 가진 아동들의 교육의 기회확대
6. 특수장애를 가진 아동들의 개별화 교육
7. 장애에 관한 인식의 변화
8. 특수교육에서의 새로운 매체의 활용
9. 컨소시엄을 통한 협력교육
10. 지역사회와의 통합교육(School-to-Work)

Ⅲ. 통합 교류교육
1. 장애를 가진 아동들의 통합 교류교육의 이론적 기초
가. 통합 교류교육의 개념
나. 통합 교류교육의 정당성 및 이점
다. 「제한된 환경의 극소화」와 통합의 형태
2. 세계 각국의 통합 교류교육 현황

Ⅳ. 결론

본문내용

1995년 9월 현재 약 9,400명의 학생들이 특수학교에 다니고 있으며, 이는 1993년 9월(8,700명)보다 약 8%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 또한, 1995년에 약 4,900명의 학생들이 어떤 형태로든 통합 교류 교육을 받고 있으며, 이는 1993년(1,400명)보다 약 13%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 이는 영국의 한 지역에 해당되는 통계지만 특수 아동들이 매년 늘어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통합 교류 교육을 받는 학생들도 점차적으로 늘어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Ⅳ. 결론
미국의 케네디 대통령이 미국의 사회에서 오늘날까지도 가장 존경받는 대통령으로 추앙을 받고 있는 여러 이유 중의 하나는 케네디 대통령 시절에 특수교육법이 제정되었다는 것이다. 이 때 제정된 법률을 기초로 오늘날 미국의 특수교육이 발전을 하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우리나라에서도 보다 획기적인 특수교육 정책을 펴서 교육대통령이 나오길 기대했지만, 『교육발전 5개년 계획(시안)』을 보면 별로 관심을 끌만한 것이 없어 실망하지 않을 수 없다. 단지 취학전 유아들에 대한 일반 교육 기회가 확대된다고 하니 특수 장애를 가진 유아도 이에 포함되어야 할 것이며, 특수교육시설의 균형적 배치를 한다고 하지만, 가능하면 장애를 가진 학생들도 정상 학생들과 같이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일반 학교 내에 특수교육 환경을 보완해 주길 바라고, 약속한대로 특수교육을 위한 안정적 재정투자체제를 구축해주기만을 바랄 뿐이다. 우리는 과거 미국의 특수학교들이 지금은 상당수가 정신병환자들의 격리 수용소나 감옥으로 쓰이고 있음을 기억하여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김영환, 배연창, 김원경, & 윤점룡(1987). 특수아지도론. 서울: 학문사.
김홍주, 서용운, & 강수균 (1994). 特殊敎育學槪論. 서울: 敎育出版社.
법제연구원(1994). 교육법전. 서울: 법제연구원.
성영혜, & 김연진 (1992). 兒童福祉. 서울: 東文社
손준규 (1992). 社會福祉槪論. 서울: 大學出版社.
양종의(1992). 특수학급 교육과정 운영의 과제. 특수교육학회지. 13(1), 153-159.
장애인 복지 대책 위원회(1989). 교육기회의 확대. 특수교육논총, 5, 1-22.
정립회관 (1990). 日本 몸이 부자유한 사람들의 福祉. 서울: 正立會館.
정봉도(1988). 한국특수교육 법규 및 행정제도 개선. 특수교육연구. 15, 49-66.
정선철 (1994). 특수교육. 서울: 동문사.
한국신체장애자복지회 (1987). 來日의 福祉韓國. 서울: 嶺南文化社.
황윤한 (1994). 인간교육을 위한 특수교육 행정 방향. 교육전남, 83, 117-141.
황윤한 (1995). 일반교육-특수교육 완전 통합을 위한 기초 연구 : 탐구 조사. 특수교육연구, 2., 79-98.
황윤한(1996). 교수-학습 방법의 패러다임적 전환 모색: 객관주의 교육에서 구성주의 교육으로. 한국교육, 23(2), 1-23.
황윤한·류은경(1998). 특수학급 교육의 효율화를 위한 통합 교류 교육. 특수교육학회지, 19(1), 35-51. [URL: http://my.netian.com/~yhhknue/hangchon/hcie0602.htm 에서도 읽어 볼 수 있음.]
Abramson, M. (1980). Implications of mainstreaming: A challenge for special education. In L. Mann & D. A. Sabatino (Eds.), The fourth review of special Education. New York: Grune & Stratton.
Blackman, H. P., & Peterson, D. W. (1989). Total integration neighborhood schools. La Grange, IL: LADGE.
Bogdan, R. C., & Biklen, S. K. (1982). Qualitative research for education: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methods. Boston: Allyn and Bacon.
Deno, E. (1970). Special education as developmental capital. Exceptional Children, 37, 229-237.
Dunn, L. M. (1968). Special education for the mildly retarded--Is much of it justifiable? Exceptional Children, 35, 5-22.
Frymier, K. L., Hallenbeck, B. A., Kauffman, J. M., & Lyoyd, J. W. (1994). Research and professional literature on the educational placement on students with emotional or behavior disorders. Charlottesville, VA: University of Virginia.
Gerber, M. M. (1988). Tolerance and technology of instruction: Implications for special education reform. Exceptional Children, 54, 309-314,
덴마크 특수 교육 :http://www.uvm.dk/handicap.htm
http://www.uvm.dk/actonthe.htm
미국의 특수 교육 :http://www.ed.gov/pubs/OSEP96AnlRpt/chap3b.html
스웨덴 특수 교육 :http://www.weac.org/resource/june96/speced.htm
스위스 특수 교육 :http://pedcurmac13.unifr.ch/Integration/INTEGRe.html
영국의 특수 교육 :http://www.disability.gov.uk/act.html
호주의 특수 교육 :http://www.deet.gov.au/divisions/YouthSSP/disq&a.htm
  • 가격2,9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7.03.05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77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