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고대사]부족국가에서 군장국가로가는 과정의 사회변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머리말

Ⅰ. 한민족 계통론과 형질인류학.언어인류학

Ⅱ. 고대국가의 성립과 친족관계 및 왕위계승론과 사회인류학
1. 고조선
2. 부여
3. 고구려
4. 백제
5. 신라
6. 한국 고대국가의 연합적 성격
7. 친족관계 및 왕위계승론과 사회인류학

Ⅲ. 고대국가형성론과 정치인류학

Ⅳ. 고대의 제의 및 민속과 문화인류학

맺음말

[ 참고자료 ]

본문내용

이나 사회모델에 대한 수정을 촉구하거나 새로운 이론을 창출해 낼 수 있는 성과를 쌓아 가야 할 것이다.
결국 한국고대사의 연구에 있어서 인류학의 이론이나 사회모델은 도입여부에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니며, 그러한 이론들을 얼마나 잘 이해하고 있는가, 또는 얼마나 잘 적용할 수 있을 것인가에 달려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 참고자료 ]
1) 손진태, 『조선민족사개론』, 1948.
2) 김정학, 「한국민족형성사」 『한국문화사대계 Ⅰ』, 1964;김정배, 『한국민족문화의 기원』, 1974;김원룡, 『한국문화의 기원』, 1976;Okladnikov, A. P, Ancient Population of Siberia and its Culture, Peabody Museum, Havard Univ;Shirokogoroff 著, S. M, 川久保悌·田中克己 역, Social Organization of Northern Tungus, 1941.
3) 나세진, 「한국민족의 체질인류학적 연구」 『한국문화사대계 Ⅰ』, 1964;나세진, 「한국인의 체질」 『한국의 발견』, 1966.
4) Levin, M. G, Ethnic Origins of the Peoples of Northeastern Asia, Univ of Tronto Press, 1963.
5) 손보기, 「형질인류학상으로 본 한국겨레의 뿌리」 『한국사론』 14, 1984.
6) 『讀賣新聞』 1984年 1月 5日字;松本秀雄, 「免疫グロブリンの遺傳標識G遺傳子に基ついた蒙古系民族の特徵」 『人類學雜誌』 95-3, 1987.
7) 김정학, 「문헌 및 고고학적 고찰」 『한국사론』 14, 1984.
8) 박선주, 「한국인의 기원과 형성」 『선사문화』 4, 1996.
9) 안승모, 「한민족과 농경문화의 기원에 대한 비판적 소고」 『역사와 문화』 2, 1997. 예를 들면, 김해 예안리유적에서 출토되었던 약 210체분의 인골 자료는 대개 4∼7세기경에 해당하는 가야인의 형질적 특징을 보여 주는데, 이들의 계측수치에서 고대 일본 야요이인(彌生人)의 형질적 특징과 아주 근사함이 확인되는 반면, 현대 한국인의 형질적 특징과는 현저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현대 한국인의 형질적 특징을 기초로 한민족의 계통론에 접근하려는 시도는 어디까지 방증적 참고자료 정도로 제한되어야 할 것이다. 김진정 외, 「김해 예안리고분군 출토 인골Ⅱ」, 『김해예안리분군Ⅱ』, 부산대 박물관, 1993.
10) 나세진 외, 「황석리 제13호 지석묘에서 출토한 고인골의 1례」 『한국지석묘연구』, 국립박물관, 1967;주강, 「지산동 44·45호고분 출토 인골에 대한 소견」, 『대가야고분발굴조사보고서』, 고령군, 1979;장신신 외, 「경주 제98호 고분남분에서 출토한 고인골에 관한 연구」 『문화재』 10, 1976;영남대 박물관, 「북사동고분 발굴조사략기」 『신라가야문화』 2, 1970;김진정 외, 「김해 수가동패총에서 발굴된 인골에 관한연구」 『부산의대잡지』 18, 1978;손보기 외, 「부산 아치섬 인골의 잰값과 분석」 『조도패총』, 국립박물관, 1976;김진정 외, 「동래 복천동 출토인골Ⅰ」 『동래 복천동고분군Ⅱ』, 부산대 박물관, 1990;김진정 외, 「김해 예안리고분군 출토인골」Ⅰ·Ⅱ 『김해예안리분군』 Ⅰ·Ⅱ, 부산대 박물관, 1985·1993;김진정 외, 「경남 통영군 연대도 출토인골」 『연대도 Ⅰ』, 국립진주박물관, 1993;小片丘彦, 「경남 통영군 욕지도 출토인골 소견」 『욕지도』, 국립진주박물관, 1989;김진정 외, 「상노대도산등패총에 대하여」 『산등패총』, 부산수산대, 1989;김진정 외, 「늑도주거지 출토인골」 『가야통신』 19, 1990.
11) 황영일, 「생체 및 뼈의 계측­머리와 얼굴을 중심으로­」 『선사문화』 4, 1996.
12) 최정필, 「인류학상으로 본 한민족기원 연구에 대한 비판적 검토」 『한국상고사학보』 8, 1991;노태돈, 「한국민족 형성과정에 대한 이론적 고찰」 『한국고대사논총』 1, 1991.
13) 전경수, 「한국민족문화의 기원 연구에 대한 방법론의 비판적 검토」 『한국사론』 14, 1984;최정필, 앞의 글, 1991;이선복, 「민족단혈성기원론의 검토」 『북한의 고대사연구』, 1991.
14) Hulbert, H. B., Hulbert's History of Korea, 1962.
15) 白鳥庫吉, 「言語上より觀たる朝鮮人種」 『人類學雜誌』 30-8, 1921.
16) 이병도, 『한국사­고대편』(진단학회 편), 1959.
17) 람스테드, 『한국어 어원 연구』, 1949;이기문, 「한국어형성사」 『한국문화사대계Ⅴ』, 1967;김방한, 『한국어의 계통』, 1983.
18) 김주원, 「한국어의 계통과 형성에 대한 연구사적 고찰」 『한국고대사논총』 1, 1991.
19) 김철준, 「신라 상대사회의 Dual Organization」 『역사학보』 1·2, 1952.
20) 祖父江孝男·米山俊直·野口武德 編, 『文化人類學事典』, 1977.
21) 김철준, 「신라시대의 친족집단」 『한국사연구』 1, 1968.
22) 이기동, 「나물왕계의 혈연의식」 『역사학보』 53·54, 1972.
23) 이기백, 『신라정치사회사 연구』, 1977.
24) 이종욱, 『신라상대왕위계승연구』, 1980;이종욱, 『신라국가형성사연구』, 1982;이종욱, 「신라골품제 연구의 동향」 『한국고대의 국가와 사회』, 1985.
25) 이종욱, 앞의 책, 1980.
26) 이종욱, 「신라골품제의 기원」 『동방학지』 30, 1982;이종욱, 「신라 중고시대의 골품제」 『역사학보』 99·100, 1983.
27) 최재석, 『한국고대사회사연구』, 1987.
28) 레비-스트로스, 강신표 편역, 『레비-스트로스의 인류학과 한국학』, 1983.
29) 신인철, 「신라와 유럽의 왕위계승원리」 『한국문화인류학』 25, 1994;신인철, 『한국의 사회구조』, 1992.
30) 이종선, 「고신라 적석목곽분의 품계와 편년」 『한국고고학보』 35, 1996.
31) 손진태, 앞의 책, 1948.
32) 이병도, 앞의 책, 1959;김철준, 「한국고대국가발달사」 『한국문화사대계Ⅰ』,
  • 가격2,8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3.09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839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