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교 평생교육의 현황과 지역사회 여성인적자원 개발과 활용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1. 들어가는 말

2. 학교 평생교육의 개념과 의의

3. 학교 평생교육의 역사

4. 학교평생교육의 운영실태

5. 지식기반사회 여성인력 개발의 중요성과 기본방향
1) 지식기반 경제와 여성인력 수요
2) 지식기반사회에서의 인력개발의 중요성과 특징
3) 지식기반사회 여성 인력개발의 중요성과 기본방향

6. 학교 평생교육에서의 여성인적자원개발과 활용 방안
1) 여성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의 운영
2) 여성인적자원 활용 프로그램의 운영

7. 결 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교육의 효과를 제고하며, 아동·청소년에게는 건강한 성인의 모습을 통해 자신의 삶의 방향을 모색하고, 평생학습자로서의 준비자세를 갖추도록 할 수 있다. 이처럼 학부모들이 참여할 수 있는 자원봉사 프로그램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첫째는, 학생들의 고민과 인성 교육을 지원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학생상담자원봉사자 교육이 있다. 이를 통하여 양성된 봉사자는 상시적으로 학교에 상주하거나 특별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을 만들어 교사들이 미쳐 해결하지 못하는 학생들의 고민과 진로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둘째는, 오늘날 우리의 전통을 찾고 어른들에 대한 바른 몸가짐과 마음가짐을 갖게 훈련하는 예절지도자 과정이 있다. 이를 통하여 양성된 봉사자는 가정교과의 예절 실기지도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특별활동에 활용하여 학생들의 정서 순화와 예절교육에 도움을 줄 수 있다.
셋째는, 학교 교육환경 개선을 위한 프로그램으로 학교도서관 활성화를 위한 학부모 사서도우미 과정과 독서 지도 과정이 있다. 이를 통하여 양성된 봉사자는 학교에서 사서 또는 사서보조로 도서실을 활성화시킬뿐더러 학생들의 독서 습관을 기르고 독서 문화를 키워나가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넷째는, 특별활동을 육성하기 위한 방과후 특기적성 지도자 과정이 있다. 방과 후 특기적성 지도자 과정에는 글쓰기, 독서, NIE, 논술, 학습부진아 지도자 과정 등을 들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양성된 봉사자는 방과 후 학생 지도나 방학 중 특별 프로그램 운영 등의 활동들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다.
다섯째는 주5일 근무제 도입과 현장체험학습 과제의 증가에 따른 체험학습 지도자교육과 활동이다. 주5일제 근무제 도입에 따른 주말의 시간적 여유와 제7차 교육과정의 실시 이후 아동·청소년의 다양한 학습의 기회 제공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학교 안에서 적극 수용하여 학부모가 다양한 분야의 체험학습 지도자과정 이수를 통해 학교가 마련하는 체험학습의 지도자로서 활동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실시는 교육과정과 연계된 체험학습의 기회를 부모의 입장에서 제공한다는 점에서 공교육에 대한 신뢰를 회복하고 그 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뿐만 아니라 교사들의 업무 경감 차원에서 바람직한 일이라 할 수 있다.
7. 결 론
대부분 전문가들은 21세기 두뇌산업사회에선 학력파괴가 이뤄질 것이라고 예견하고 있다. 정규교육 과정에선 학습하는 방법을 가르칠 뿐이며 정규 학교과정을 마친 뒤 자신의 직업 능력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지식, 기술을 평생동안 학습하는 풍토가 될 것이란 얘기다. 이른바 `평생학습사회'에 진입함과 동시에 평생학습은 생존을 위해서는 개인의 차원을 넘어서 국가나 지역사회 모두가 실현해야할 과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여성들도 소극적인 자세에서 벗어나 평생학습인으로서 학교 평생교육 운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자신의 인적자원개발은 물론 여성인적자원 활용에 적극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학교도 기존의 수동적인 평생교육에 대한 대응보다는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가정과 학교와 지역사회가 서로 유기적으로 협력하는 평생교육체제 속에서 지역사회의 문화센터로서의 기능적 변화가 필요하다. 학교가 학교교육의 신뢰를 회복하고 지역사회의 문화센터로서 교육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학교가 지역에 제공할 수 있는 모든 교육 기회를 제공하고 학교교육의 내실화를 위하여 지역사회의 여성인적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특히 최근 강조되고 있는 방과 후 교육활동과 체험학습의 확대와 학교 평생교육 강화 등은 당장 열린 학교로의 기능 변화를 요구하고 있다. 나아가 주 5일제 수업을 대비하여 지역사회와 학교와 연대할 수 있는 여성인적자원개발과 여성인적자원 활용 프로그램이 평생교육적 차원에서 장기적으로 개발·축적되어야 할 것이다.
학교 평생교육을 통하여 여성인적자원개발과 활용으로 여성들은 학교와 교육에 대해서 이해가 높아지고 학교와 지역사회에 주체적인 참여하여 학교교육의 발전은 물론 지역사회 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다음의 글을 통하여 평생학습사회에서 여성의 자리에 대하여 되새겨 볼 만한 일이다.
<참고 문헌>
교육부(2001). 「평생교육백서」 서울: 교육부
권건일 외(1996), 「사회교육의 이해」. 서울 : 양서원
권이종 외(1995). 「사회교육 활성화를 위한 학교시설 활용에 관한 연구」. 교육부 연구보고서.
경기교육(2002). 가을호. 경기 : 경기도교육정보연구원
전도근(2002). 「경기평생교육백서」 경기: 경기지역평생교육정보센터
김도수(1995). 「평생교육」. 서울 : 양서원.
김득영(1998). 「학교 시설 개방을 통한 평생교육의 활성화 방안」. 미간행 논문.
김인아(1993), 한국여성사회교육의 사적 고찰,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 논문
보킨, W. 외(1997). 김도수·김득영·양병찬·유순열(공역). 「한계없는 학습」. 서울 : 양서원.
올슨, E. G.(1973). 김은우 (역). 「학교와 지역사회」. 서울 : 현대사상사.
이순원(2001).「아들과 함께 걷는 길」서울
이희수 외(2002). 「주5일 근무제에 따른 학교평생교육의 활성화 방안」. 서울: 교육부 연구보고서.
토튼, W. & F. 맨리(1992). 한국지역사회교육중앙협의회(역). 「미국지역사회학교」서울 : 교육과학사.
新堀通也(1986). 「公的社會敎育と生涯敎育」. 東京 : 全日本社會敎育聯合會.
日本敎育經營學會 編(1987). 『地域敎育經營の展開』. 東京 : ぎょうせい.
佐佐木實(1993). 『生涯學習時代の學校開放·大學開放』. 東京 : 全日本社會敎育連合會.
Cross, K. P.(1978). The Missing Link : Connecting Adult Learners to Learning Resources. New York :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Board.
Knowles, M.(1983). "Creating Lifelong Learning Communities." The Adult Learner : A Neglected Species. Paris : UNESCO.

추천자료

  • 가격2,9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03.16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30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