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양육태도에 따른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대한 조사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1. 연구주제와 동기
2. 연구의 목적과 연구가설

Ⅱ. 이론적 고찰
(1) 자아이론의 개관
1. 상징적 상호작용주의 이론
1) 쿨리(C.H. Cooley)의 거울자아이론(looking-glass self)
2) G. H. Mead의 상징적 상호작용론
ⅰ)자아의 출현
ⅱ)미드의 자아발달이론
2. 정신분석 이론
1) Freud 의 이론
2) 융의 분석심리학
3. 사회심리학적 이론
1) 개인심리학
2) 성격이론
4. Ego(자아) 심리학
(2) 자아존중 이론
1. 자아 존중감의 개념
2. 자아존중감의 이론
3. 자아존중감의 형성 원리
1) Rosenberg의 원리
2) Cooley의 이론
4. 자아존중감의 발달
5. 자아존중감의 특징
Ⅲ 용어정리

제 Ⅳ 장 연구 방법

Ⅵ. 결론 및 논의
1. 결론
2.결론에 대한 이유 고찰
3. 연구의 한계점 및 보충해야 할 내용

Ⅷ. 참고 문헌

본문내용

과 같다.
Correlations
애정적
아동자존
Pearson Correlation1
.039
Sig. (2-tailed).
.718
N86
86
Pearson Correlation.039
1
Sig. (2-tailed).718
.
N86
86
애정적인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 사이에는 상관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산포도와 그래프는 다음과 같아 부모의 애정적 양육태도가 아동의 자아 존중감을 전혀 예측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Correlations
통제적
아동자존
Pearson Correlation1
.003
Sig. (2-tailed).
.979
N86
86
Pearson Correlation.003
1
Sig. (2-tailed).979
.
N86
86
애정적인 양육태도와 마찬가지로 통제적인 양육 태도와 자아존중감 사이에는 상관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에 대한 산포도와 그래프는 다음과 같다. 부모의 통제적 양육태도가 아동의 자아 존중감을 전혀 예측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Ⅵ. 결론 및 논의
1. 결론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 사이에는 의미 있게 생각할 만한 상관이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이는 부모의 애정적 태도만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상관관계가 있고 통제적 태도는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상관이 없다는 선행연구와 어느 정도의 차이점을 보인다.
2.결론에 대한 이유 고찰
1) 중간점수 선택의 경향
설문지의 응답은 5점 척도(거의 언제나 그렇다, 그런 편이다, 잘 모르겠다, 별로 그렇지 않다, 거의 그렇지 않다)로 이루어져 있고, 응답자들은 거의 언제나 그렇다 혹은 별로 그렇지 않다 라는 극단적 응답 보다는 그런 편이다, 별로 그렇지 않다 혹은 잘 모르겠다 의 중간점수를 선택한 경향이 강했다. 이러한 이유로 부모의 애정적, 혹은 통제적 양육태도 점수가 큰 차이를 두고 분포하지 않았다. 아동의 자아존중감 관련 점수 역시 각 아동간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았다.
2)문화적 영향
다른 문화권과 달리 한국 문화권은 그 특수성을 가진다. 특별히 양육방식에 있어서 그러한데, 한국문화권에서는 부모의 애정이 통제적 방식으로 표현되는 경향이 강하다. 대표적인 예로는 '사랑의 매'를 들어 볼수 있다. '사랑의 매'는 체벌이 분명 통제적 방식의 양육태도에 관련되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그것은 부모의 또는 선생의 사랑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수단임을 보여주는 단어이다. 또한 영화나 드라마 등의 매체를 통해, 자신을 호되게 야단치고 뒤돌아 마음아파 하는 부모의 모습에서 감동을 얻도록 구성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화에 아이들이 이미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부모가 통제적인 방식으로 양육했을 경우라도 자신에 대한 애정이 있기 때문임을 지각하게 되어 아동의 자존감을 낮추지 않았던 것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3)부모 이외의 상호작용 대상 확대
아이들은 자아존중감 발달에 있어서 모방효과나 반영효과를 경험하면서 타인과의 상호작용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다. 선행연구들은 모두 1970년대와 1980년대에 이루어진 것으로 그 당시에는 타인 중에서도 가장 많은 상호작용과 애착을 형성하는 부모와의 관계에서 크게 좌우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로부터 약 25년 정도가 지난 지금은 상황이 많이 달라졌다. 여성의 취업이 증가하면서 맞벌이를 하는 가정이 늘어나고 이에 따라 아이들은 시설이나 조부모 등에 맡겨지게 되었다. 이는 가장 많은 상호작용을 하는 부모와 함께하는 시간이 줄어들고 그 외의 대상과 상호작용 하는 시간이 확대 되었음을 의미한다.
3. 연구의 한계점 및 보충해야 할 내용
1) 제한된 표집 대상
본 연구는 애정적 태도의 점수가 높은 부모와 통제적 태도의 점수가 높은 부모, 그리고 두 가지 태도를 혼합적으로 사용하는 부모(이하 정상부모집단)의 비율이 동일한 상태에서 그에 따른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해야만 의미가 있다. 그러나 위의 연구분석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측정결과가 정상부모집단의 비율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우리나라의 정상부모들은 보통 애정적,통제적 두 가지 태도를 적절히 혼합하여 사용하가기 때문이라고 예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 때문에 부모를 세 집단으로 나누어서 비교할 수 없었다.
2)애정적-통제적 태도 이외의 태도 배제
본 연구에서는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관련된 부모의 양육태도를 애정적 태도와 부정적 태도로 크게 나누었으나, 부모의 양육태도를 더욱 세분화 할 필요가 있다. 권위적 부모, 방임적 부모, 전위적 부모, 허용적 부모로 더 세분화 하여 연구한다면 더 흥미로운 결과를 얻지 않았을까 생각해 본다.
3)사회적 바람직함 척도
사회적 바람직함 척도란 사회적으로 인정되는 혹은 도덕적으로 옳다고 여겨지는 대답을 선택하는 경우로서, 설문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솔직히 대답하지 않고, 사회적으로 인정되거나 옳다고 여겨지는 답에 체크를 했을 경우를 간과할 수 없다. 설문 과정에서 최대한 아이와 부모의 솔직한 답변을 얻고자 아이들의 자아존중감을 측정하는 설문은 그 자리에서 바로 수거를 하도록 했으나,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는 설문은 아이들이 집으로 가져갔다가 다음날 다시 가져와야 했기 때문에 아이들이 볼까봐 부모가 솔직하게 답하지 못한 부분도 있었을 것이라 예상된다. 이러한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다음 번에 다시 연구를 하게 된다면, 구조화된 면접이나 직접 관찰 등의 방법을 통하여 정확한 측정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Ⅷ. 참고 문헌
부모의 아동평가와 자아존중,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공격성 자아존중감 관계
자녀에 대한 부모의 체벌에 관한 논쟁:자녀에 대한 부모의 체벌에 관한 논쟁
실태 및 가정환경변인과체벌관계문금선학령전아동체벌과가정환경관계
체벌이 일어나는 주요 상황과 체벌 대안등
체벌에 관한 전반적인개념과 그 실태, 각국의 체벌 비교 논문
처벌의 신화와 실제
성인의 체벌용인도와 아동의 체벌경험 및 폭력사용에 대한 태도
자아존중감 김경연
부모의 아동평가와 자아존중,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박춘심(1976) 김명숙(1978) 김명자(1978)장도현(1985)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7.03.18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47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