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생활 주기와 관련된 가족문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가족생활 주기와 관련된 가족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4장 가족생활 주기와 관련된 가족문제
차례
1. 유아기 가족문제
1) 영유아의 모성적 양육박탈
2) 유아학대

2. 아동기의 가족문제
1) 장애아동을 가진 가족문제
2) 학교 가기를 싫어하는 아동의 가족

3. 청소년기의 가족문제
1) 섭식장애
2) 청소년의 가정폭력

4. 성인기의 가족문제
1) 아내 구타의 가족
(1) 가정 폭력에 의한 심리적 외상
(2) 아내구타의 치료적 개입
2) 알코올 남용의 가족
(1) 알코올과 가족
(2) 알코올 중독자 부부관계
(3) 알코올 중독에 대한 상담접근

5. 노년기의 가족문제
1) 상실을 경험한 가족
2) 치매노인

본문내용

도움이 될 것이다.
가족 내의 긴장 형성⇒ 폭력사건 발생⇒ 폭력 가해자는 후회하고, 피해자에게 이해를 호소한다.
2) 알코올 남용의 가족
가족 내에 알코올 문제는 빈약한 의사소통이나 가정 폭력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서 다른 정신질환보다 가족체계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알려져 있다. 알코올 중독은 질병이며 또한 가족 병이라고 전문가들을 말하고 있다. 알코올 중독의 치료는 중독자만의 치료보다도 가족에 대한 치료적 개입이 치료나 재발 방지에 효과가 높다고 연구결과는 이미 알려져 있다.
(1) 알코올과 가족
알코올 중독자의 대부분은 애주가나 알코올 중독자 밑에서 성장하여 어릴 적부터 알코올 분위기에 익숙해 있었다. 아버지가 알코올 중독인 경우 수반되는 폭력이나 폭언 앞에서 가족들은 농락 당하여 즐거운 단란함을 느끼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아버지의 음주와 난폭함 때문에 가족은 안정된 생활을 할 수 없고 가족 전체를 지배하는 질서도 없고 가정 전체가 알코올에 찌들어 혼란 된 가족을 알코올 가족(alcoholismogenic family)이라고 부른다.
(2) 알코올 중독자 부부관계
대화가 단절된다. 따라서 아내는 술에 취한 남편에게 의논하지 않은 채, 무엇이든지 혼자 결정하여 일을 처리하는데, 남편은 그와 같은 아내의 행동에 화가 나서 술을 마시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아내는 점점 포기하고 남편을 상대하지 않고 가정을 자신 혼자서 책임지는 동안 자신감을 가지게 되어 남편을 무시하고 아내 우위의 가정을 만들어 버림으로써 남편을 소외시킨다.
이러한 과정에서 아내는 자기도 모르게 중독자인 남편에게 동반의존(codependen- cy)되어 병리적 증상을 나타낸다. 고통받는 자, 조정하는 자, 망설이는 자, 처벌하는 자 등으로 행동의 양상이 나타나기도 하며, 순교자, 술친구, 공모자, 박해자, 냉담한 자등으로 자신의 역할을 바꾸어 나간다. 이러한 역할들 모두는 동반의존으로부터 발생하는 역기능이다.
(3) 알코올 중독에 대한 상담접근
알코올 중독자는 가족 전체 또는 어떤 가족에게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가족에게서도 영향을 받기 때문에 가족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알코올 중독자가 가진 문제는 개인치료를 통한 치료적 개입과 동시에 가족상담을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인 성과를 얻을 수 있다.
상담자가 치료적 개입을 할 때 알코올 중독자와 가족의 상호작용에서 다음의 사항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첫째, 알코올 중독은 가족체계에 상당한 스트레스를 유발시킨다. 가족들은 알코올 중독에 대처하기 위한 적응방식으로 원하지 않는 역할을 하게 된다.
둘째, 상담자는 가족이 알코올 중독자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을 이해해야 한다.
셋째, 알코올 중독은 가족 차원의 질병이다. 세대적 전수가 가능한 병이다.
넷째, 알코올 중독자의 치료에 대한 가족의 참여는 좋은 예후를 보여준다.
5. 노년기의 가족문제
노인의 삶의 의의는 건강, 생활불안에서의 해방, 가까운 사람과 친밀한 인간관계, 사회에 도움이 되고 있다는 의식, 뭔가에 몰입하는 데서 오는 즐거움 등의 주관적 느낌에 근거하고 있다. 그러나 노인이 맞을 수 있는 위기들은 은퇴나 홀로되는 것, 질병에 걸리는 등의 변화를 들 수 있다.
1) 상실을 경험한 가족
가족 중 누군가를 상실한 경험이 있는 가족의 심리적 고통은 물론, 가족이라는 집단에 미치는 영향은 이루 말할 수 없이 크다.
(1) 건강한 비애 반응
첫째, 신체적 고통반응이의 단계이다. 소중한 사람이 죽었다는 사실을 알고 난 후 20분에서 한 시간 정도 계속된다. 고통을 느끼며 가슴이 막혀서 숨을 쉴 수 없는 것처럼 느끼며 한숨만 쉬는 상태
둘째, 죽은 사람의 기억과 이미지에 휩싸이게 되는 단계이다. 심한 경우 죽었다는 사실을 인정하지 않으려 한다.
셋째, 죄책감의 단계이다. 그 사람의 죽음이 자신의 책임이나 과실처럼 느끼는 단계
넷째, 적의반응의 단계이다. 분명한 대상은 없지만, 왠지 모르게 화가 나거나 사고나 사태의 책임자가 될 만한 사람에게 퍼붓거나 자신의 마음 깊숙한 곳에서 치미는 슬픈 적의에 휩싸이게 된다.
다섯째, 일상적인 행동을 하기 어려운 단계이다.
(2) 병적인 비애반응
첫째, 비애반응의 지체 또는 연기이다.
둘째, 왜곡된 비애반응이다. 이것은 무의식적으로 비애작업을 거부하기 때문에 그러한 미해결 된 상태가 여러 가지 왜곡된 형태로 표출된다. 때로는 두통, 심장박동이 빨라지며 어떤 부분의 기억을 상실하거나 우울한 기분 속에 가라앉거나 여러 가지 형태의 신체화 증성을 호소하기도 한다.
2) 치매노인
치매는 뇌동맥 경화증 등에서 일어나는 뇌혈관성 치매와 뇌의 축소 때문에 일어나는 노인성 치매가 있다. 이 두 가지는 원인 다르기 때문에 증상이나 경과에도 차이가 있다.
(1) 뇌혈관성 치매의 몇 가지 특징
첫째, 기억장애가 심하지만 이해력, 판단력은 남아있다. 즉 지적 능력의 저하가 균일하지 않다.
둘째, 지적 능력의 저하에도 불구하고 원래의 인격적 특징은 말기까지 유지된다. 다른 사람을 만나면 악수나 인사도 한다. 남에 대한 배려, 수치심 등을 잃어버리지 않는다.
셋째, 병에 대한 인식이 있으며, 몸이 부자유하고 기억력이 저하되는 것, 다른 사람에게 피해를 주는 것에 신경을 쓴다.
넷째, 감정의 장애를 보인다. 감정이 불안정하며 화를 잘 내고, 쉽게 눈물을 흘린다.
다섯째, 언어, 행동, 인식의 상실로 인하여 부분적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있다.
(2) 노인성 치매의 특징
첫째, 심한 기억장애가 있다.
둘째, 시간과 공간인식의 장애로 밤과 낮을 구별할 수 없으며, 길을 잃고 배회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치매노인을 돌볼 때 알아두어야 할 사항들
첫째, 급격한 변화를 피한다.
둘째, 노인이 안정적으로 느낄 수 있는 위치를 제공한다.
셋째, 수동적 태도로 대하면서 노인을 이해하도록 노력한다.
넷째, 노인을 존중한다. 노인이 치매라 할지라도 예의 바르게 대한다.
다섯째, 노인의 속도에 맞춘다.
여섯째, 같은 노인끼리 만나는 시간을 마련한다.
일곱째, 적절한 자극을 조금씩 지속적으로 준다.
여덟째, 고족하게 만들지 않는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3.19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3998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