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달장애유아의 언어행동발달을 위한 컴퓨터보조학습(CAI) 프로그램 분석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1. 발달장애학생의 교육적 접근
2. 발달론적 접근(Developmental Approach)
1) 발달론적 모델의 개관
2) 발달론적 모델의 비판
3. 컴퓨터 보조학습(CAI)의 이론적 고찰
1) CAI의 개념
2) CAI의 역사적 배경
4. CAI의 유형
5. CAI의 특수교육적용 및 효과

Ⅲ. 연구방법
1. 분석대상 사이트 선택
2. 연구절차

Ⅳ. 결 과
1. Skinner의 언어유형별 분석
2. 국어과 하위목표별 분석
3. 교수유형별 분석
4. 해당연령별 분석
5. 프로그램의 적용방법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 프로그램의 약 60% 이상은 어떠한 연령별 특성을 제시하고 있지 않았다. 연령별 특성이 제시되는 약 30%의 프로그램 중에서 초등부 아동을 위한 프로그램이 가장 많이 개발되어 있으나, 초등부를 다시 초등저, 초등중, 초등고로 분류할 경우에는 유치부 아동을 위한 프로그램이 가장 많이 개발되어 있었다. 그래서 영유아를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이 하나에 불과하므로, 발달장애유아를 위해 접근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이 거의 없음을 알 수 있다.
다섯째, 제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는 방법에 따른 분석에 있어서 활동중심의 프로그램은 약 35% 정도가 탑재되어 있고, 단순히 프로그램만을 제시하는 형태인 경우가 약 42%가 되었다. 특히, 어떠한 특성도 가지고 있지 못한 프로그램이 약 26%가 되었고, 두 가지의 성격을 모두 가지고 있는 프로그램은 단 하나에 불과하였다. 그래서 대부분의 언어교육관련 프로그램은 활동중심으로 내용을 제시하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결과에 기초해 보면, 현재 우리나라의 웹사이트에 탑재된 언어교육관련 프로그램의 약 60% 정도는 Skinner의 언어유형별,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등과 같은 국어과 하위목표별, 교수유형별, 해당연령별, 프로그램의 적용방법 등과 같은 특성을 제대로 구비하지 못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발달장애유아를 위한 특성 있는 언어교육관련 CAI 프로그램의 개발이 절실함을 알 수 있으므로, 발달장애유아를 위한 언어행동발달 컨텐츠 개발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사항을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가정 내에서의 실행 가능한 언어교육관련 CAI의 제작은 부모에 의한 교육중재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어야 한다. 장차 발달장애유아의 사회적응을 위하여 장애의 예방적 차원이 부모를 중심으로 가정에서 우선될 수 있는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언어는 복합적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발달장애유아의 언어적 결함을 집중적으로 접근하여 발달시킬 수 있도록 언어교육관련 CAI 프로그램은 Skinner의 언어유형별, 국어과의 하위목표별, 상호작용의 가능성, 영유아 중심의 프로그램에서 발달 차원에 이르기까지의 다양한 연령별 적용, 발달장애유아의 능동적 언어학습을 위한 활동 중심 등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셋째, 발달장애유아를 가진 부모와의 긴밀한 협조체제가 고려되어야 한다. 언어교육관련 CAI 프로그램의 운영 등은 발달장애유아와 부모의 상호작용을 요구하고 있으므로 부모와의 긴밀한 협조체제를 구축하여 발달장애유아의 조기교육과 가족중재의 효율성뿐만 아니라, 부모의 의무와 권리를 충분히 인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참고문헌
박경단 (1999). CAI가 정신지체유아의 그림과 문자 변별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찬웅 (1991). 교육가능 정신지체아동의 시지각 능력 향상을 위한 컴퓨터 보조 수업의 적용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찬웅 (1997). 정신지체아의 읽기장애 치료교육을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적용의 효과. 재활심리연구, 117-133.
서경희, 변찬석 (1999). 일반학급에 통합된 장애아동의 외로움, 사회적 불안, 우울. 특수교육학회지, 22, 77-98.
송지윤 (1997). 정신지체아동의 언어이해력에 대한 컴퓨터 보조학습의 효과.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윤승금, 이선희 (1994). CAI의 이론과 실제. 서울: 서울산업대학교.
이동환 (1995). 장애아 예방을 위한 주산기와 소아 보건 대책. 한국 아·태 장애인 10년 연구 모임 논문집. 81-88.
이미경 (1989). 개별학습을 위한 CAI 프로그램의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이효신 (1998). 장애영아와 양육자간 상호작용 프로그램 개발. 정서·학습장애연구. 14(2), 139-155.
정기원, 권선진, 계훈방 (1995). 1995년도 장애인 실태조사(연구보고서 95-15).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정찬기오, 이광우, 조기술 (1999). 교수·학습용 CAI 프로그램의 유형별 이론적 기저 및 운용과정 그리고 교실 수업 적용 아이디어. 경남교육학연구, 4, 119-131.
최성규 (1998). 의사소통장애아 교육. 특수아동의 이해와 지도 (대표저자 최중옥). (pp. 157-180). 서울: 교육과학사.
최성규 (1999). B. F. Skinner의 언어발달 이론에 기초한 장애유아의 언어발달 사정 개관. 정서·학습장애연구. 15(2), 29-49.
최중옥, 김숙경, 김윤옥, 김진희, 서현아, 오세철, 최성규 (1998). 조기특수교육을 위한 행동수정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과학사.
Bunderson, C. V. (1970). The Computer and Instructional design. In W. H. Holzman(ed.)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Testing and Guidance. New York: Happer and Row.
Hall, K. A. (1977). A research model for applying computer technology to the interactive instructional process. Journal of Computer Based Instruction, 68-75.
Lally, M. (1981). Computer assisted teaching of sight word recognition for mentally retarded school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85, 4.
Lindesy, J. D. (1987). Computer and exceptional. Merrill Publishing Company.
Marozas, D. S., & May, D. C. (1988). Issues and practice in special education. New York: Longman.
Skinner, B. F. (1957). Verbal behavior. Acton, MA: Copley Publishing Group.

추천자료

  • 가격2,8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7.03.23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03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