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소, 헤르바르트 교육사상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이다.
④ 방법 : 체계에서 통합된 표상이 그와 유사한 표상과 관련을 맺는 것을 의미한다. 이것은 앞서 통합된 신표상이 구표상군 속에서 좀 더 확실하게 자리 잡게 할 뿐만 아니라 앞에 이루어졌던 통합이 과연 제대로 된 통합 인가를 검증하는 역할을 한다. 이 상태가 곧 치사가 운동하는 상태이다. 이환기, <헤르바르트의 교수이론>, 교육과학사, p.48~59
4. 과학적 교육학으로서의 자명성(自明性)
교육의 본질이 하나의 체험된 도덕적 자명성을 통하거나 이상적인 교육적 인물, 예컨대, 성인군자 선비, 신사 등의 전형을 통해서 미리 결정된다면 교육학은 교육의 규범 획득을 위한 하나의 방법론이라는 논리가 성립되어 교육학은 교육의 가능성을 미리 제한하는 결과가 된다. 이렇게 되면 교사의 책임 자율성은 한정 받게 되어 교육학은 하나의 새로운 문제에 봉착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교육의 본질과 과제를 결정하는 문제다. 그런데 헤르바르트에 의하면 이 문제는 순수한 경험적 인간 의실 으로부터 연역되는 것이 아니라 모든 교육 실천을 통하여 교육에 부과된 모든 본질적 전제에 따라서 과학적으로 체계적으로 발견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서 그는 ‘단순한 경험적 인간 의식만으로는 교육을 만족시킬 수 없으며 오히려 도덕, 습관과 의견을 고려해볼 때 타당하다고 생각되던 영역을 떠나게 됨으로써 그 자체가 변화를 받는다.'고 말한다. 이 말은 헤르바르트가 그의 「세계의 미적 묘사」에서 ‘도덕성의 개념 확대를 통한 도덕성의 현실화’라는 역사적으로 매우 중대한 제안을 구체화란 것으로서 교육학 성립의 필연성과 가능성을 말해주는 첫 번째 학자가 헤르바르트임을 말해준다. 헤르바르트는 교육의 본질의 정의의 문제를 초(超)역사적이며 초(超)사회적인 문제로 보고 이는 과학적인 교육학에 의해서만 발견될 수 있고 환류될 수 있다고 믿었다.
헤르바르트는 원리와 기본 명제를 통해서 루소식의 우연성으로부터 교육실천을 탈피시키려고 했다. 헤르바르트는 다음의 조건하에서 교육학이 학문적 자율성을 성립시키려고 하였다. 즉 교육과학이 첫째, 하나의 자율적이며 그 자체 속에 한정된 주제 영역을 대상으로 가지며 과제를 묘사할 때, 그러므로 그 안에서 인간행동의 여타형태와 구별될 때, 둘째, 그 대상에 대해서 어떠한 수단관계에도 서지 않고, 필연적으로 교육의 목적을 충족시키는 속성을 가지며, 오직 이를 통해서만 이 목적이 진정한 실행으로 이행될 때, 셋째, 그 자체가 다른 과학에 대해서 과학임을 주장할 수 있으며, 또한 과학적 교육학이 가능성과 과제에 있어서 타 과학보다도 타당성이 있을 때, 이것은 ①학문적 대상영역, ②교육학의 인식 방법과 조직원리, ③인접과학 및 철학적 학문 분야 둘 사이의 관계를 말하는 것으로 대상, 방법, 체계라는 독립 과학 구성의 요건을 말한다.
인접 과학과의 관계를 고려할 때 헤르바르트는 ‘바로 실천철학이 나무라면 이 나무는 미학적 토양에 뿌리를 내리고 있다. 그러나 이 나무의 분지(分枝)는 인접 영역, 예컨대 심리학적 영역에 펼쳐지며, 이 심리학적 영역은 일반적인 이름으로 형이상학적 영역이다’라고 말하면서 과학으로서의 교육학이 교육의 목적에 관해서는 윤리학에, 방법에 관해서는 심리학에 기초를 두고 있음을 말하는데 이것이 그의 교육학이 이전의 어느 교육학보다도 과학적이며 체계적이라는 점인데 교육학의 자명성은 여기에 기점을 둔다.
Ⅲ. 결론
현대적 이해
헤르바르트는 교육학의 이론사에서 볼 때 교육에 그 본질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그 과제를 도덕성의 현실화를 통한 세계의 미적 묘사에 두고 교육학의 전통적인 연역적-규범적 제한성을 극복하고 독립과학으로서의 교육학의 이론적 체계를 정립하였기에 과학적 교육학의 창시자라고 불려 왔다.
이를 보완적인 관점에서 종합하면
첫째로, 그의 교육학과 교육과정과의 관계다. 헤르바르트의 통각(統覺)과 전심치사(專心致思)의 개념은 오늘날 상관, 융합, 과역, 중핵 등의 교과과정으로 발전했고, 거시적 교과관(macrocurricular perspective)이나 손다익(Thorndike)의 양자간의 연결이 형성되는 통찰, 조건반사적 행동유추의 반응의 법칙 등 행동주의 이론과, 다른 한편으로는 형태 심리학에도 영향을 미친다.
둘째로, 그의 직관 교육을 들 수 있는데, 그는 그의 수, 형, 언어의 교육을 주장했다.
셋째로, 정의적(情意的) 면에서 어린이의 생활지도의 지향성이 자율성, 자아통합, 자유, 책임 등의 인격특성이므로 헤르바르트의 시사는 크다.
넷째로, 오늘날 국민정신 위생상 큰 시련을 겪고 있는 우리에게 주는 시사가 크다. 오늘날 여러 가지 사회적 병리현상과 청소년 문제에 대한 구조적인 개선책 못지않게 중요한 것이 청소년들의 내적 자연회복과, 통찰과 억제, 욕구와 의지, 미적 판단에 따른 복종과 내적 자유의 실현이므로 헤르바르트의 도덕 교육론이 우리에게 주는 의의가 크다.
다섯째로, 『일반교육학』에 나타난 계열별 교수재료의 조합적-위상의 시도인데 이 계열을 조합하면 다양한 교수방법과 도덕교육방법이 제시될 수도 있으며 이것을 실천에 옮기는 능력이 교시술(ars indiand)로서의 교육적 박자(Takt)로서 이론과 실천간의 조정자 역할을 담당한다.
이상으로 헤르바르트의 교육사상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그는 교육학을 독립된 학문으로 성립시킨 교육학의 아버지로 그의 실천철학, 통각의 개념, 전심과 치사, 조합적-위상의 개념 등은 이렇듯 오늘날의 교육방법, 교육과정, 교육심리, 생활지도의 이론적 전개에 영향을 주고 있다. 요컨대 그는 교육학사적으로 사변과 경험, 고전과 현대, 규범- 연역과 도덕성의 개념 확대 등 여러 교육사조의 교차점이요, 현대 교육학 연역의 기점임을 알 수 있다.
※ 참고문헌
● 안인희, <루소의 교육론>, 에밀, 양서원, 1990.
● 김수동,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 문음사, 1997.
● 연세대학교교육철학연구회, 〈위대한 교육사상가들Ⅱ〉, 교육과학사, 1998.
● 안인희,〈루소의 자연교육사상〉,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1996.
● 이환기, <헤르바르트의 교수이론>, 교육과학사.
● 김창환, <헤르바르트. 실천학으로서의 교육학>, 문음사.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03.27
  • 저작시기2006.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06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