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장 자아개념과 정체감 발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제6장 자아개념과 정체감 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자아개념

2. 자존감

3. 자아정체감이란 무엇인가

4. 자아정체감은 왜 청년기에 문제가 되는가

5. 자아정체감의 형성

6. 마르샤(Marcia)의 자아정체감의 네 범주

7. 자아정체감 상태와 관련변인

8. 자아정체감 발달에 있어서의 성(性)차

9. 자아정체감과 문화

본문내용

② 남성에게는 정체감 형성이 친밀감에 선행하지만, 여성의 경우는 친밀감이 정체감에 선행한다고 믿음 → 여성에게는 대인관계와 정서적 친밀감이 보다 더 중요하고, 남성에게는 자율과 성취가 보다 더 중요하다고 믿는 견해와 일치
③ Marcia의 청년들의 인성특성을 알아본 연구결과도 뚜렷한 성(性)차를 보여줌
㉠ 남성
: 정체감 성취의 남성들은 자신감과 독립심 및 융통성이 있고, 정체감 유예는 정체감 성취자와 많은 특성을 공유하며, 정체감 유실은 권위주의적이고 고정 관념적이며 부모의 가치관을 그대로 받아들이고 자기방어적임
→ 정체감 성취와 유예는 모두 위기를 경험하므로 Marcia는 남자는 청년후기에 반드시 위기를 경험해야 한다고 결론지음
㉡ 여성
: 정체감 성취자의 정서적 성숙수준이 제일 높고, 다음이 정체감 유실, 정체감 유예(정체감 혼미자와 비슷)순으로 나타남
→ 정체감 성취와 유실간의 유사점은 수행으로 개인의 현재의 활동과 미래의 기대에 안정성을 가져다 줌(정체감 성취자는 지신의 내적 준거틀에 의해, 유실자는 부모의 신념에 따라 수행을 이룸)
④ 정체감 위기 모델이 여성의 정체감 발달을 설명하는데 적합하지 않다고 주장(Gallatin, 1975)
→ Erikson이 말하는 청년기 정체감 위기의 부분위기 대부분이 ‘남성적’인 것이기 때문에 위기와 수행을 거쳐 정체감을 형성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여성의 경우는 정체감 확립을 위해 반드시 위기를 경험할 필요가 없다라고 봄
⑤ 여성의 정체감 발달의 개념화는 대인관계라는 측면을 포함해야 함
→ 정체감 형성이라는 발달과업은 남성보다 여성에게 더 복잡(여성이 남성보다 더 많은 영역에서 정체감을 확립해야 하기 때문)
9. 자아정체감과 문화
많은 심리학자들은 자아정체감 성취는 청년발달에 있어서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생각
① Enker(1971) : 상당히 많은 문화권에서의 아동(특히 가난한 계층의 아동)들은 어린 시절부터 노동을 해야 하기 때문에 심리적 유예기간을 경험할 수 없다고 함, 이런 아동은 독특한 자기만의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해 다양한 역할, 신념, 느낌 등을 시험해볼 시간이 없다는 것
② Baumrind(1975) : 자아정체감은 서구의 중산층 젊은이에게만 적용되는 발달과업일지도 모른다고 함 즉 서구 청년들의 세계는 다른 문화권의 청년들과는 경험세계가 다르다는 것( 많은 나라에서는 13세가 되면 성인의 책임을 수행하고 심리적 성인의식 등을 갖는다고 함)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03.27
  • 저작시기2013.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090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