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행정의 다매체적 접근방식과 예방적 환경행정의 구현방안
본 자료는 8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해당 자료는 8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8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제제기

Ⅱ. 예방적 환경행정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환경행정의 변화 필요성
2. 환경문제관련 선행연구 검토
3. 환경 거버넌스의 개념의 등장
4. 예방적 환경행정의 의의
5. 환경행정조직체계
6. 예방적 환경행정으로서 매체별 접근방법
1) 단일매체적 접근방법
2) 다매체적 접근방법

Ⅲ. 우리나라 매체별 환경행정 실태분석
1. 대기환경 오염과 예방
2. 수질환경 오염과 예방
1) 수질오염 문제
2) 수질오염 예방
3. 토양환경 오염과 예방
4. 폐기물 오염과 예방행정

Ⅳ. 예방적 환경행정 프로그램
1. 예방적 환경행정 조직체계
2. 예방적 환경행정 기능체계
3. 예방적 환경행정 제도: EIA와 사전환경성 검토

Ⅴ. 다매체 예방적 환경행정 구현방안
1. 매체별 환경행정의 연계화
2. 예방적 환경행정 실시방안
3. 예방적 환경행정제도(EIA제도와 사전환경성검토제도의 통합방안)의 효과적 운영

Ⅵ.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매체적 접근방법을 통하여 환경행정목표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기존 조직으로 한계가 있으므로 먼저 조직개편을 통한 새로운 업무분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매체별로 구성되어 있는 중앙부처의 환경행정조직을 다매체적인 업무수행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개편되어야 한다. 즉 자연환경과 생활환경, 산업환경과 도시환경, 농어촌환경, 그리고 NGO협력 등 분야별로 고유업무를 재편성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인 예방행정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되며, 다만 이 경우에 우려되는 것은 '전문성'의 확보가 문제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대책이 수립되었을 때 다매체적 접근방법의 유용성이 한층 제고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이러한 중앙부처의 조직에 부합되는 지방행정업무의 분담 및 조정이 수반되었을 때 효과적인 환경오염예방행정의 실현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예방적 환경행정을 구현하기 위한 환경행정제도로서 EIA와 사전환경성검토제도의 중요성이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세계화와 지방화의 시대적 조류 속에서 개발과 보전의 조화를 통하여 환경오염을 사전에 예방하고 환경파괴를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이 다각도로 모색되고 있는 바, 다매체를 통한 예방적 환경행정이 구체적으로 실시될 수 있도록 정부의 환경행정에 대한 개혁의지와 정책적인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본 연구과정에서 연구자의 능력 및 여러 가지 한계로 인해 연구성과가 일천함을 통감하며, 본 연구는 계속 또 다른 지면을 통해 연구할 것입니다.
<참고문헌>
김번웅·오영석(1996). "환경영향평가서의 합리성과 과학성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제5권 제2호. 70-89.
김번웅·오영석(1997). 환경행정론. 서울:대영문화사
김상종(1998). "수질정책의 방향과 과제". 『정책포럼』 제25권. 대통령자문 정책기획위원회.
김성수(1999). "동북아시아의 다자간 환경협약에 관한 연구". 지방정부연구 제3권 제2호. 203-219.
김영평(1995).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정부의 역할. 이정전 편. 『지속가능한 사회와 환경』. 서울:박영사
김용표(1999). "동북아시아지역 대기오염 현황: 중국을 중심으로". 한국대기환경학회지 제15권 제2호
문태훈(1999). 환경정책론. 서울:형설출판사
박대문(2000). "환경영향평가제도의 발전과제". 「환경영향평가제도 개선을 위한 세미나」자료집. 환경부·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0. 4. 7.
안 열(1998). "토양오염현황과 처리대책". 한국농공학회지 제40권 제2호.
유상희·임동순·곽대종·이동진(1998). "대기오염규제제도의 효율적 개선방안". 환경경제연구 제7권 제1호.
오영석(1992). "환경영향평가와 공공참여: 정책영향력 측정 및 분석". 한국행정학보 제26권 4호. 1281-1302.
------(1994). "한국 환경정책영향평가제도의 메커니즘 분석". 한국정책학회보 제3권. 172-196.
───(1998). "지역환경정책의 지역정책화 과정에 관한 연구: 지방의제21의 정책화 과정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보 32(1). 231-245.
이무준(2000). "환경영향평가서의 공정성과 객관성 확보방안". 「환경영향평가제도 개선을 위한 세미나」자료집. 환경부·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0. 4. 7.
이상돈(2000). "사전환경성검토제도와 환경영향평가의 역할과 연계". 「환경영향평가제도 개선을 위한 세미나」자료집. 환경부·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0. 4. 7.
이시경(1995.6). "지방자치단체 환경행정체계의 조정방향". 「지방화시대의 환경행정기능조정」. 한국환경기술개발원(KETRI) 정책토의자료집. 75-94.
이종수(1999). "정부조직개편과 행정개혁". 한국정책학회 추계학술회의 발표논문집.
이준구(1998). "미국 환경정책의 진전과정". 서울대 미국학 제21집. 131-152.
정회성·강철구(1997.12.). 환경행정의 선진화 방안.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 연구보고서(RE-03).
최상기(2000). "통합영향평가 발전방안". 「환경영향평가제도 개선을 위한 세미나」자료집. 환경부·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0. 4. 7.
최상일(1997). "외국사례를 통해 본 토양오염관리". 수자원환경 제98호
홍성철(1998). "토양오염관리제도 효율화 방안". 밀양산업대학교 논문집 제6집 제1호.
Commoner, Barry(1971). The Closing Circle. New York: Alfred A. Knopf, Bentam.
Corson, Walter H.(1990). The Global Ecology Handbook. Boston: Beacon Press.
Howe, Charles W.(1991), "An Evaluation of US Air and Water Policies," Environment, Sept. 33(7), 10-36.
Osborne D. and Peter Plastrik(1998), Banishing Bureaucracy, Reading, Mass.: Addison-Wesley Longman, Inc.
Osborne D. and T. Gaebler(1992), Reinventing Government: How the Entrepreneurial Spirit is Transforming the Public Sector, Reading, Mass.: Addison-Wesley.
Simon, H. A.,(1978).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of Human Problem Soving" in W. K. Estes(ed), Handbook of Learning and Cognitive Process, Human Information Process, Hillsdale, N. J. : Lawrence Erlbaum Associate, vol.5: 276-295.
Villanueva, A. B.(1996). "Conflict and Cooperation in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The Social Science Journal, vol.33(4): 421-435.
  • 가격3,200
  • 페이지수24페이지
  • 등록일2007.03.28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10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