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공학] 생명윤리와 인간복제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유전공학에 함축된 윤리적 물음
1. 유전자 치료의 윤리문제
2. 인간복제의 윤리문제

Ⅲ. 인간복제의 문제극복을 위한 생명의료윤리의 과제
1. 생명 공학 연구의 현황과 윤리 문제
2. 생명 윤리학의 의미와 내용

Ⅳ. 도덕교육에서의 생명윤리교육의 내용과 방법

Ⅴ. 결 론

본문내용

장기이식, 인간게놈프로젝트, 의사와 환자와의 관계, 의료자원의 할당 문제, 환자 간호 문제 등이 다루어지고 있습니다.
생명의료윤리학에서 논의하고 있는 문제들은 모두 고귀한 인간 생명의 인위적 생성, 연장, 혹은 단축과 관련된 것이어서 어느 것 하나 가볍게 다루어질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날로 의존도가 높아져가고 있는 과학기술에 대한 맹목적 순응은 자칫 과학기술 만능주의를 불러오고, 이는 결국 윤리 없는 과학의 야만적 폭력성을 용인하게 만들기 때문에 윤리적 성찰을 체계적으로 하여, ‘과학의 성찰화’와 ‘인간 생명의 존엄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특히 생명윤리교육이 강조되어야 합니다. 생명윤리교육을 통해 생명공학의 모든 프로젝트에 대해서 그것이 윤리적으로 정당화될 수 있는지를 진지하게 성찰할 수 있어야 하고, 그것은 어린시절부터 체계적인 교육을 통해 생명의료윤리 문제의 다양하고 복잡한 윤리적 딜레마에 대해 올바른 선택과 결정 능력을 함양해야 할 것입니다.
주지하다시피, 인류의 삶을 풍요롭게 해줄 것으로 기대했던 핵에너지가 오히려 인류와 지구 파멸의 위기로 몰아가고 있는 것처럼, 인간의 자만과 통제되지 않는 욕구가 생명 공학 기술을 통하여 인간을 위협하고 나아가 인류의 종말을 초래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무엇보다도 우리에게 긴요한 것은 생명의 존엄성에 대한 시민 의식의 성숙이다. 왜냐하면 생명의 문제는 단지 생명 공학 기술자, 소위 바이오 벤쳐, 즉 생명 산업가와 정책 입안자뿐만 아니라, 사회 구성원 전체의 공익을 대변할 수 있는 사람들은 물론이며, 모든 사람의 관심사이기 때문이다. 생명의 존엄성과 인간의 존엄성을 침해하는 어떠한 연구와 실험도 모름지기 거부되어야 한다는 철저한 의식이 요청된다. 따라서 생명 공학이 오로지 인류의 안녕과 행복에 기여할 수 있도록 우리는 감시해야 할 것이며, 생명 공학자들이 안심하고 연구할 수 있는 한계도 제시해 주어야 할 것이다. 우리는 소극적으로는 과학과 기술을 통제하는 제도와 법을 제정하고 이를 누구나 준수하도록 해야 할 것이고, 적극적으로는 생명 존중에 대한 교육, 즉 생명 윤리 교육을 강화해야 할 것이다. 만일 생명 공학들이 공명심이나 상업성의 유혹을 뿌리치지 못한다거나 건전한 양식에 대한 교육을 받지 못한다면, 그들은 인간의 존엄성을 파괴하고 말 것이고, 인류에게 재앙을 가져다주는 죄인이 되고 말 것이다.
인간은 기술적으로 가능하다고 해서 무엇이나 해도 되는 것이 아니며, 할 수도 있지만 해서는 안 되는 일을 하지 않을 때 비로소 사람다운 사람이 되듯이, 우리는 과학기술의 몰가치화와 비인간화로부터 탈피하여 과학기술의 인간화와 도덕화를 위하여 매진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일반 대중의 계몽과 초중등 도덕과 교육에서의 생명 윤리 교육은 참으로 긴요하다
참 고 문 헌
구영모(1999). 생명의료윤리. 서울: 동녘.
구영모(1999). “인간생식 연구와 시술의 윤리,” 범양사. 과학사상. 봄호.
김상득(2000), 생명의료 윤리학, 서울:철학과현실사.
김상득(1999), “의학의 발달에 함축된 윤리적 물음: 인간복제를 중심으로,” 한국의료윤리 교육학회, 의료윤리교육. 제2권 제1호(통권 제2호).
김영정(1998). “유전자 복제와 인간의 정체성,” 철학문화연구소. 철학과현실. 겨울호.
김영진(1998). “유전공학과 윤리적 문제,” 철학문화연구소. 철학과현실. 겨울호.
김용정(1996). 과학과 철학. 서울: 범양사.
김환석(1997). “양의 복제, 시민의 침묵,” 녹색평론. 5-6월. 통권 제34호.
노진철(1998). “유전공학의 사회학적 의미,” 철학문화연구소. 철학과현실. 겨울호.
서정선(1999), “인간복제,” 서울대 의과대학 의학교육연수원편, 임상윤리학,
서울:서울대출판부
송준만(1997), “인간복제와 기술의 비윤리성,” 녹색평론. 5-6월호. 통권 제34호.
신전수(1999), “유전자 치료,” 박상은 편, 생명의료윤리, 서울:한국누가회문서출판부.
이인식(1999). “유전공학의 약속과 공포,” 녹색평론. 5-6월. 통권 제46호.
임경순(1999). “20세기 과학의 전개와 새로운 변화,” 철학문화연구소. 철학과현실. 여름호.
임종식(1999). “인간복제, 허용할 것인가,” 구영모. 생명의료윤리. 서울:동녘.
임종식(1998), “생명의료윤리학과 윤리이론,” 한국의료윤리교육학회, 의료윤리교육, 제1권 제1호(통권 제1호).
제이 홀맨 편(박재형외 옮김) (1997), 의료윤리의 새로운 문제들, 서울:예영커뮤니케이션.
진교훈(1997). “생명조작과 인간복제에 대한 철학적 고찰,” 범양사, 과학사상. 가을호.
한국가톨릭의사협회(1984). 의학윤리. 서울:수문사.
홍영남(1998). “생명공학의 현주소와 미래의 전망,” 철학문화연구소. 철학과현실. 겨울호.
황상익외(1999). 생명공학 안전 및 윤리성 확보 방안에 관한 연구, (공청회자료집).
Gert, B(ed.)(1996). Morality and the New Genetics.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Hayry Matti and Heta Hayry(1998), "genetic engineering," R. Chadwick(ed.). Encyclopedia of applied ethics. Vol. 2. Academic Press.
Hedgecoe, A. M.(1998), "Gene Therapy," Encyclopedia of applied ethics. Vol. 2.
Academic Press.
Heyd David(1992). Genethics: moral issues in the creation of people.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Reiss, M(1998). "bio-technology," R. Chadwick(ed.). Encyclopedia of applied ethics. Vol. 1. Academic Press.
Veatch, R. M.(1997). Medical Ethics(2nd). Jones and Bartlett Publishers.

키워드

생명,   윤리,   인간,   복제,   고찰,   DNA,   유전자,   의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7.04.01
  • 저작시기2007.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187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