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의 문제점]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문제점과 실태 및 나아갈 방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문제점

Ⅲ. 우리나라 교육과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

Ⅳ. 잘삶과 욕구의 관계 : 교육의 과제

Ⅴ. 교육목적으로서의 잘삶

Ⅵ. 참고문헌

본문내용

볼 문제이다. 우리가 삶에 대해 합리적 결정을 내리는 일은 단순히 경제적 인간으로서 하는 것만도 아니고, 만족의 총량이라는 차원에서 이것 혹은 저것을 행한 결과들을 재는 것만도 아니다. 가령 어떤 차를 살 것인가 등의 선택을 하기도 하지만 어떤 인간이 될 것인가를 선택할 수도 있다. 국가교육과정의 적절한 기초를 생각하는 교육학적 사고는 잘삶을 복합적으로 정립하는 일에서부터 출발해야 하는 것이지 공리주의나 경제학자들의 단순한 일차원적 개념에서 출발해서는 안 될 것이다.
잘삶은 정도의 문제이기도 하다. 인생 또는 생애의 어느 시기에 자기 자신의 보다 중요한 욕구가 충족되면 될수록 그만큼 더 행복해지는 것이다. 즉 각 시기마다 내가 원하는 중요한 욕구가 충족될 경우 행복을 느끼는데 그 때 우리는 잘삶이라고 말할 수 있다. 비단 전부를 가지고 잘삶을 얘기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볼 수 있다.
교육만이 잘삶을 가능하게 하는 것도 아니다. 단지 교육은 그 자체가 잘삶의 한 가지 조건이며, 잘삶의 증진을 도울 수 있다. 이에 교육의 첫째 과제는 이전에 갖고 있지 않았던 욕구를 최소한 문화적인 형태로 갖게 하는 일이다. 교육의 둘째 과제는 인간에게 생기는 욕구들을 조직화하고, 그리고 욕구들에 위계적 구조를 부여하고, 욕구들 간의 갈등을 해결하는 것을 돕는 일이다. 또한 아동은 자신의 욕구의 대상에 대해서 어느 정도 이해를 갖도록 길러져야 한다. 가령 한 아이가 의사가 되고 싶다는 욕구의 대상에 대해 이 욕구가 충족되었는데 실제 적성에 맞지 않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이럴 때 이 아이는 잘삶이라고 볼 수 없다.
Ⅴ. 교육목적으로서의 잘삶
어떤 일을 할 때 궁극적인 목적을 추구하는 일이 중요한 것처럼, 인간과 관련한 교육 분야에서는 더욱더 체계적인 교육목적이 우선시 되어야 한다. 이러한 올바른 교육 목적의 확립은 인간이 ‘잘삶’을 지향하기 위한 매개가 된다. 그러나 여기서 일컫는 잘 산다는 것의 정의는 쉽지 않을뿐더러 사람들마다 주관적인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다. 그러나 우리는 화이트가 말하는 ‘잘삶’과 관련된 교육 목적이 무엇인지를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으로 한정지어 살펴보았다.
우선 우리나라의 교육과정은 몇 가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첫 번째는 교육목표가 상당히 추상적이기 때문에 이러한 형식적인 교육 목표로는 학생들의 잘 사는 삶을 이끌기가 어렵다. 두 번째는 새로운 교육과정의 도입이 시대에 뒤떨어진다는 점이며 세 번째로는 지나치게 지식 교육에 의존하며 도덕성 교육도 소홀함을 들 수 있겠다. 마지막은 선택 중심 교육과정의 운영상의 문제점이다. 앞서 제시한 교육목표가 좀 더 명확해야 하는 근거를 남한과 북한의 교육과정을 통해 살펴보면 좀 더 확실히 알 수 있다. 스탈린과 대처까지 생각해 보지 않더라도 남한의 교육 목표에 주체성이라는 부분이 포함되어 있는 것만 제외하면 두 국가는 거의 비슷한 교육 목표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두 나라가 같은 교육과정이 이루어지고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자유민주주의 국가인 남한이 추구하는 이상적인 방향으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조금 더 구체적이고 실현 가능한 교육 목적을 정립하고 그것을 문서화해야 하는 당위성을 지니게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이러한 문제점을 과연 어떻게 개선해 나가야 하며 궁극적으로 우리나라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은 어떤 것일까?
첫 번째는 자율적인 인간상을 지향하기 위해 교육과정은 다양한 능력, 성향, 이해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물론 지식 교육도 필요하지만 이것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그렇기 때문에 맥락을 통해 깊이 있는 철학적 사고와 가치관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이 필요하다. 두 번째, 교육 평가 또한 앞서 말한 교육 과정과 일맥상통해야 한다. 일례로 프랑스의 대입 능력 시험인 ‘바깔로레아’를 들 수 있겠다.
또한 우리는 ‘잘삶’을 검증된 욕구의 충족과 관련지어 생각해 보아야 한다. 욕구는 위계적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위 욕구가 하위 수준의 욕구를 조절하게 된다. 결국 잘 산다는 것은 삶을 전체적으로 보고 그 속에서 자신의 가장 중요한 욕구를 찾아내어 충족시키는 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인간은 생득적으로 잘 살아가고 싶어 하는 존재 영위의 욕구가 있다. 그러나 잘 산다는 것이란 무엇인지에 대한 것은 개인마다 주관적이며 또한 변화 가능하다. 그렇기 때문에 인간은 삶을 살아가면서 내가 생각하는 ‘잘삶’과 타인이 생각하는 ‘잘삶’에 대한 고찰을 끊임없이 해 나가며 그 간격을 좁혀나가는 노력을 해야 한다. 그러나 여기에서 간격을 좁혀나가는 노력이라는 것이 타인의 가치관에 그대로 따라가라는 의미가 아니라 타인을 통해 스스로를 반성적으로 들여다보는 객관화의 작업을 말한다. 결국 잘 사는 삶에 대한 올바른 선택을 할 수 있는 안목을 키우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다. 이렇게 선택을 하는 행위는 결국 각자의 자율성에 귀인하게 된다. 결국 이러한 자율성을 기르는 것이 교육의 목적이라 할 수 있으며, 자유 민주주의를 표방하는 대한민국에서는 구체적이고 명확한 교육목표를 통해 꼭 함양해야 하는 자질이며 그 자율성을 가능케 하는 것은 교육이라 하겠다.
Ⅵ. 참고문헌
John White. 교육목적론-좋은 삶과 교육. 이지헌 역. 서울:학지사. 2002년.
An Agenda for Action. Recommendations for School Mathematics of the 1980s.
성태제. 현대교육평가. 서울:학지사. 2002년.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고등학교 7차 교육과정 해설(총론편).
교육도서출판사. 수학-고등중학교6.주체1991년, 2002년.
한겨례신문 1996년 9월 26일자 (내가 본 프랑스, 프랑스 인)
홍세화 홈페이지 http://blog.daum.net/shinnara 참조
http://kdaq.empas.com/qna/4623940?l=e
http://magazinegv.com (출처 : ‘역사와 함께하는 여인들’ - 네이버 지식 iN)
Ⅰ. 서론
Ⅱ.우리나라 교육과정의 문제점
Ⅲ. 우리나라 교육과정이 나아가야 할 방향
Ⅳ. 잘삶과 욕구의 관계 : 교육의 과제
Ⅴ. 교육목적으로서의 잘삶
Ⅵ. 참고문헌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4.15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465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