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건축][불교미술][불교][건축][미술]불교건축과 불교미술(불교건축, 인도의 불교건축, 중국의 불교건축, 일본의 불교건축, 한국의 불교건축, 불교미술의 발생과 전개, 삼국 불교미술, 불교건축, 불교미술, 불교)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불교건축][불교미술][불교][건축][미술]불교건축과 불교미술(불교건축, 인도의 불교건축, 중국의 불교건축, 일본의 불교건축, 한국의 불교건축, 불교미술의 발생과 전개, 삼국 불교미술, 불교건축, 불교미술, 불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불교건축
1. 인도
2. 중국
3. 일본
4. 한국
5. 불교의 건축
6. 한국의 불교의 건축물
1) 대웅전(大雄殿)
2) 영산전(靈山殿)과 팔상전(捌相殿)
3) 대적광전(大寂光殿)
4) 극락보전(極樂寶殿)
5) 약사전(藥師殿)
6) 미륵전(彌勒殿)
7) 천불전(千佛殿)
8) 원통전(圓通寶殿)
9) 지장전(地藏殿)
10) 응진전(應眞殿)
11) 조사전(祖師殿)
12) 삼성각(三星閣)
13) 칠성각(七星閣)
14) 독성각(獨成閣)
15) 산신각(山神閣)
16) 장경각(藏經閣)
17) 강당(講堂)
18) 포살당(布薩堂)
19) 선방(禪房)
20) 승방(僧房)
21) 종각(鍾閣)
7. 사찰 건축물에 대한 뜻
1) 일주문(一柱門)
2) 천왕문(天王門)
3) 해탈문(解脫門)
4) 불이문(不二門)
5) 탑(塔)
6) 대웅전(大雄殿)
7) 비로전(琵蘆殿)
8) 극락전(極樂殿)
9) 관음전(觀音殿)
10) 지장전(地藏殿)
11) 미륵전(彌勒殿)
12) 영산전(靈山殿)
13) 팔상전(八相殿)
14) 신중단
15) 삼성각(三聖閣)
16) 약사전(藥師殿)
17) 강당(講堂)
18) 선방(禪房)
19) 요사(寮舍)
20) 장경각(藏經閣)
21) 종루(鐘樓)
22) 당간지주(幢竿支柱)
23) 부도(浮屠)
24) 석등(石燈)

Ⅱ. 불교 미술의 발생과 전개

Ⅲ. 삼국의 불교미술

본문내용

라에는 채전이라고 하는 국가기관에 다수의 화공들이 소속되어 국가적인 공사에 참여하였던 것으로 보이며, 통일신라시대에는 솔거를 비롯하여 정화, 홍계 등의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중 솔거는 출생과 활동시기 등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으나 그가 그림을 그린 단속사, 황룡사의 완공시기나, 신문왕때 당인 승요가 신라에 와서 솔거로 개명하였고 물생영에 극진하여 많은 사람들이 신봉하였으며 왕도 조서를 내려 솔거로 명하였다는「백률사중수기」의 내용 등으로 볼 때 통일신라시대에 활약하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삼국사기 열전 솔거전에 의하면 그는 농가 출신으로 어릴 때부터 그림에 뛰어났으며, 그가 그린 황룡사의 노송도는 너무 훌륭하여 까마귀, 제비, 참새 등이 종종 날아들다 떨어지곤 하였으나 세월이 오래되어 단청으로 보충하였더니 새들이 다시 오지 않았다고 전한다. 이러한 기록으로 보아 그의 그림은 채색화로서 매우 사실적이면서도 생동감 넘치는 그림이었으며, 당시에 사실적인 묘사 중심의 회화가 성행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외에 분황사의 관음보살도와 단속사의 유마상, 단군초상, 진흥왕대렵도 8폭을 그렸다고 전하며, 관음보살 삼상을 조각하였다는 기록도 있다.
불교적인 내용을 압축하여 표현한 불교회화가 언제부터 그려졌는지에 대해서는 분명치 않지만, 일반적으로 불교의 성립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생각된다.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대정장 47권)를 비롯한 여러 경전의 기록으로 볼 때는 부처님의 재세시 이미 불교최초의 사원인 기원정사(Jetvana)에 불화를 장식하였던 것으로 생각되지만 남아있는 작품이 없어 확인할 수 없다. 그러나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불교회화인 아잔타벽화의 예로 볼 때 적어도 기원전 2~3세기부터는 인도의 각 사원에 불화가 그려졌던 것으로 보인다.
이처럼 인도에서 기원한 불교그림은 불교가 동쪽으로 전래됨에 따라 중앙아시아,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로 전래되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공식적으로 불화가 조성되기 시작한 것은 삼국 중 가장 먼저 372년 고구려에 불교가 공식적으로 수입되어 375년 사찰이 세워진 때부터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당시 불화의 예는 남아있지 않아 초기 불화의 내용과 주제, 기법 등에 대해서는 전혀 알 길이 없고, 다만 고분벽화에 그려진 불교적 주제의 그림에 의해 그 대강을 추측해 볼 수 있을 따름이다. 고구려의 벽화고분에는 5세기~6세기초 경에 축조된 중기의 고분들에 불교적 내용의 그림들이 많이 보인다. 예를 들어 요동성총에는 요동성탑의 그림이 그려져 있으며, 무용총과 쌍영총에는 승려를 대접하고 공양하는 장면, 승려행렬도 등 구체적이고 본교적인 불교그림이 그려져 있어 당시 고구려에서 불교의 성행을 짐작케 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장천리1호분의 불상도는 불교적 그림의 내용을 가장 분명하게 보여주는 좋은 예라고 하겠다. 6세기~7세기경에 제작된 후기고분들에서는 사신도가 벽화의 대부분을 차지하게 되면서 불교적 그림은 거의 사라지고 다만 연꽃이라든가 비천도 등만이 일부 그려지게 된다.
이 밖에 고구려의 불교회화의 일면목을 엿볼 수 있는 것은 일본에서 활약한 몇몇 화가들에 대한 기록을 통해서이다. 일본서기를 비롯한 일본의 고대문헌에는 일본에서 활동했던 삼국시대 화가들에 대한 기록들이 실려있는데, 그 중에서 7세기에 활동하였던 담징, 자마려, 가서일 등이 불교회화를 잘 그렸던 화가들로 알려져 있다. 잘 알려져 있다시피 담징은 일본의 대표적인 사찰인 법륭사의 벽화를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 작품들은 양식적으로 보아 담징의 연대보다 늦은 시기의 작품으로 생각되지만 음영법과 설채법 등에서 서역의 영향을 받은 것이 분명하며 고구려의 화풍과도 상통하고 있어 고구려 사찰벽화의 일면을 추측케 한다. 가서일은 620년에 죽은 성덕태자의 명복을 빌기 위해 그의 부인이 기원하여 제작한 <천수국만다라수장>의 밑그림을 그렸는데, 여기에 표현된 인물들이 모두 고구려계의 복장을 입고있는 등 고구려의 영향이 짙게 보이고 있다. 또한, 자마려는 653년 천황의 명을 받아 다수의 불보살상을 제작했다고 전하고 있다. 그외에 <옥충주자>에 그려진 석가본생도의 인물들이 고구려식의 복장을 하고 있어 고구려 불화의 영향을 느끼게 한다.
고구려에 이어 백제에서는 384년 불교를 받아들여 “백제에는 절과 탑이 매우 많다”고 할만큼 불교가 발달하였고 이에 따라 불교회화도 발달했다고 생각되지만, 현재 남아있는 예는 부여 능산리 벽화고분의 연화비운문 정도밖에 없어 그 실상을 알 수 없다. 여기에 표현된 양식은 고구려의 것에 비해 훨씬 부드럽고 완만한 동감을 보여주어 힘차고 율동적인 고구려회화와는 다른 면모를 보여준다. 백제의 화가 중에서 일본에서 활약한 백가는 588년 승려 6명, 사공 2명, 철반공 1명, 와박사 4명과 함께 도일하였는데, 아마 사찰의 불화를 그리기 위해 초청된 불교화화 전문가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작품이 남아있지 않아서 알 수는 없지만 일본의 불교회화에 백제 불교회화의 영향이 전해졌음을 보여주는 좋은 예라 하겠다.
가장 늦게 불교를 받아들인 신라는 528년에야 불교를 공인하였지만 고구려, 백제 못지 않게 불교가 발달하였다. 544년 신라최초의 절인 대흥륜사가 완공되면서부터 불교회화가 본격적으로 조성되었다고 생각되지만 기록이나 실물이 전하지 않아 당시 불화의 모습을 알 수는 없다. 다만 고분출토 공예품에 그려진 연꽃무늬라든가 순흥 어숙묘와 읍내리고분의 연꽃그림 정도가 남아있을 뿐이다. 이들 그림의 양식은 고구려적인 영향이 짙게 배어있으면서도 백제적인 유려한 필선을 보여주고 있어 고구려와 백제회화의 영향을 모두 받아들인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까지 불교 회화를 중심으로 삼국시대의 불교미술에 대해 살펴보았다.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삼국시대 미술의 가장 큰 특징은 불교의 전래에 따른 영향을 꼽을 수 있다. 불교예술이 삼국의 회화뿐 아니라 건축과 조각 등 다른 각 분야에 걸쳐 큰 영향을 미쳐 삼국시대의 미술은 대부분이 불교예술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우리가 삼국의 미술에 대해서 더욱 잘 알아가기 위해서는 그 무엇보다 이러한 불교미술에 대한 깊은 관심과 정확한 해석이 필요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7,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7.04.17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52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