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교교육사상과 삼국시대의 교육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교교육사상과 삼국시대의 교육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교의 교육사상
(1) 인성과 교육
1) 유교의 성선설과 교육의 가능성
2) 교육의 가능정도
3) 유교의 성선설과 교육의 원리
(2) 유교의 교육목적
1) 인간본성 계발
2)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성인(聖人)
3) 수기치인(修己治人)
4) 현실적 과거교육
(3) 유교의 교육내용
1) 육예(六藝)
2) 공자의 교(敎)
3) 한나라와 당나라의 유교교육
4) 송나라 이후의 유교교육
(4) 유교의 교육방법
1) 역사적 방법론
2) 도덕적 방법론
3) 완인(完人)적 방법론
<공자의 교육방법>

2. 삼국시대 유교교육사상의형성과 전개
(1) 삼국시대의 교육 개관
1) 교육의 목적
2) 교육 방법
3) 삼국 유교의 기원
(2) 고구려의 교육
1) 고구려 교육의 개관
2) 태학(太學)
3) 경당(扃堂)
(3) 백제의 교육
1) 백제 교육의 개관
2) 박사제도
3) 학교 교육
(4) 신라의 교육
1) 국학
2) 독서삼품과
3) 설총

◎화왕계(花王戒)

본문내용

학교가 있었다.
㉠ 남천 이전의 육좌평 중 내법좌평은 의례를 과장하였고, 조선시대의 예조에 해당하는 관직이며, 오늘날의 교육부 장관에 해당한다.
㉡ 남천 이후에는 22부 중 오늘날의 교육부에 해당하는 부서인 사도부가 있었다.
② 교육과정은 고구려의 교육과 거의 동일하였다.
(4) 신라의 교육
1) 국학
①삼국 통일 후 신문왕 2년에 당의 영향을 받아 세운 유교 교육기관으로 최고 교육기관 이고 예부에 소속되었다.
②교육목적 : 삼국 통일 후 정치적 통제의 필요성. 즉 봉건적 중앙집권제도의 확립과 강 화를 위한 국가의 인재양성과 관리양성에 있었다.
③교육 내용
㉠ 유교주의적 윤리관을 확립하는데 필요한 유교의 경전이 주가 되었으며, 학과로는 유학과와 기술과로 나누었다.
㉡ 유학과는 주역, 상서, 모시, 문선, 예기, 춘추를 배웠으며, 당의 국자감에서의 3분과 제를 모방하여 과목을 3개의 군으로 묶어 설강하였다. 그리고 각 과마다 박사와 조 교를 두어 분담 교수케 했다. 즉, 논어와 효경을 공통 필수로 하고 각각 2과목을 선택하여 전공하게 하였다.
㉢ 기술과는 논어와 효경이 필수였으며 산학(算學), 의학, 천문학을 배웠다.
④ 입학자격 및 수업연한
㉠ 15세부터 30세까지의 귀족자제와 많은 학생 가운데서 뽑힌 우수한 자로서 관직이 무위자로부터 대사 이하에 국한했다.
㉡ 국학을 졸업하면 대나마(10등급) 또는 나마(11등급)의 관위를 얻게 된다(12등급 이 상의 관위는 국학을 나와야만 비로소 가능하다)
㉢ 9년을 원칙으로 하나 저능하여 가망이 없는 자는 재학 중도에 퇴학시키고 가망이 있으나 미숙한 자는 9년이 넘어도 재학을 허락 하였다. 우수한 학생에게는 장학금 의 혜택을 주고 때로는 당나라로 해외유학의 특전을 주기도 하였다.
⑤ 직제
경 : 1명, 국학을 총괄하는 직위로서 오늘날의 대학의 총장 혹은 학장.
박사 : 약간명, 국학의 교수
조교 : 약간명, 박사를 도와 교육을 보조.
대사와 사: 각각 2-4명을 두어 국학 행정을 보조.
→ 행정직원과 교수직원을 따로 두어 그 일반 운영이 체계적이었다.
⑥ 기능 : 국학의 기능은 문묘제례의 일과 관리의 양성을 위한 것이었다.
㉠문묘제례의 일 : 공자의 상을 모시는 문묘를 두었다. 성덕왕 16년 에는 당으로부터 공자·10철·72제자의 화상을 모셔와 국학에 안치하고 석전의 예를 행하였다. 석전이 란 봄, 가을 2회에 걸쳐 공자의 사당에 제사를 지내는 행사이다.
㉡ 관리의 양성 : 국학 출신자는 대나마, 나마에 임용하였다. 그리고 점차 국학이 완비 되어 학문이 성하여 짐에 따라 독서력, 즉 유학의 지식의 고하로서 인재를 채용하 는 독서출신과를 실시하게 되었다.
2) 독서삼품과
①성격
인재등용법의 하나로 과거제도의 선구적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관리 선발을 위한 국가시험제도이다.
인재등용방법의 객관화를 도모하였다.
신라의 인재등용방법이 사람의 품성, 행위, 무술 등으로서 인재등용의 표준으로 삼았던 것을 전적으로 문적의 힘으로써 이를 대행하게 되었다. 즉, 실력 또는 시험본위제도로 바뀌었음을 알 수 있다.
②내용
국학에서 수학한 학생들의 성적을 상·중·하의 셋으로 구분하고 이 밖에 특등으로 나누 어 등용서열을 정하였다. 이것은 시험내용이 국학의 과목으로 구성되어 있어서 국학의 졸업시험과 같은 성격이었다.
3) 설총
① 교육이념 : 화왕계를 지어 군왕의 교육이념을 유덕 선정에 두었다.
효(부모에 대한 사랑), 제(형제와 이웃의 사랑), 충(민족과 국가의 사랑), 신( 사랑 속에 믿고 의지함), 예(사랑의 질서를 국가적 차원으로 확대한 것), 의(의리를 지키 는 것), 염(청렴한 기품, 검약한 생활 태도), 치(부끄러움을 아는 것)
② 교육적 인간상 : 정직인(신하)와 유덕인(군왕)
③ 교육방법 : 비유법적 교육방법을 사용
◎화왕계(花王戒)
한문으로 된 단편으로 꽃을 의인화하여 이야기를 전개하고 있다. 그 내용은 화왕이 요염하고 교태를 잘 부리는 장미꽃을 우대하고 못생긴 할미꽃을 박대하였다는 비유이다. 이는 왕된 자가 그릇된 아첨을 가까이 하고 정직을 멀리 해서는 아니 된다는 것을 풍자적으로 말하여 신문왕의 어질지 함을 훈계하고 높이 등용되었다는 이야기이다. 이 화왕계의 내용과 비유, 그리고 풍자로써 신문왕을 훈계한 방법은 교육자로서의 설총의 면모를 잘 나타내 주는 것이다. 본래 유학의 교육사상은 수기와 치인 양면에 거쳐 이론과 실천을 겸한 것이었기에 초학자의 교육은 물론 제왕교육도 이에 못지않게 관심을 가지는 것이다.

키워드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7.04.30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72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