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유교와 성리학 교육사상의 전개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시대 유교와 성리학 교육사상의 전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고려시대의 유교와 교육적 고찰(考察)

Ⅱ.고려시대의 교육제도
♧ 국자감
1. 국자감의 구성
2. 국자감의 학부편성
3. 국자감의 교육과정
4. 국자감의 직제
5. 국자감의 명칭

♧ 향교
1. 향교의 설립 목적
2. 향교의 필요성

♧ 동서학당, 오부학당(五部學堂)
1. 동서학당
2. 오부학당(五部學堂)

♧ 십이도
1. 9재의 교육내용
2. 12도의 설립과 부흥의 계기

♧ 서당

Ⅲ.고려 초기의 유학
1. 태조(太祖)의 문화정책과 훈요십조(訓要十條)
2. 광종(光宗)의 과거제(科擧制)와 흥학(興學)
3. 성종(成宗)의 유학장려(儒學獎勵)와 최승로(崔承老)의 시무책(時務策)
4. 현종(顯宗)과 정종(靖宗)
5. 고려 과거 시험의 분류와 변천사

Ⅳ.고려 중기의 유학
1. 성종이후 유교교육의 전래
2. 정치적 성격의 변화
3. 유교의 발달과 김부식의 활약
4. 중기 유학의 한계

Ⅴ.여말 성리학의 교육사상 전개
1. 성리학의 개념
2. 성리학의 도입
3. 불교의 비판과 폐단
4. 성리학의 전래와 발달
5. 고려의 교육사상가
♧ 안향(安珦, 1243~1306)
♧ 이색(李穡, 목은, 1328~1369)
♧ 정몽주(鄭蒙周, 1337~1397)
6. 성리학의 계승

본문내용

를 천륜(天倫)에 어긋난 이적(夷狄)의 류(類)라 비판하였다.
또 이제현·이곡·이색 등은 불교도의 폐해를 지적하고 승려 수의 제한과 새로 세운 사원 철거를 주장하였으며, 정몽주는 수도(修道)를 위한 출가(出家)의 비윤리성을 반윤리(反倫理)라 지적하여 불교를 비판하였다.이들은 모두 불교의 교리와 대등한 입장 에서 유교의 교리를 제시하는 온건한 배불론자들이었다.
♧ 불교의 비판
그러나 고려 말기에 이르러 『불씨잡변(佛氏雜辨)』·『심기리편(心氣理篇)』 등을 지어 철학 이론적으로 불교와 도교를 비판하고 유교 의리(義理)의 정도(正道)를 논한 정도전(鄭道傳)과 권근을 중심으로 하는 신진관료는, 송대 성리학의 벽불론(闢佛論)적인 이론과 도통론(道統論)을 수용함으로써 강력한 배불론을 전개하였다. 그들은 불교를 반문명(反文明)적인 이념으로 규정하고 유교로써 정교(正敎)를 통일하는 한편, 숭유억불(崇儒抑佛) 정책으로 성리학을 조선의 지상이념(地上理念)으로 삼을 것을 주장하였다.
고려 초기 이래 현실적인 정치 이념으로 경세적인 특성을 가졌던 유학은, 성리학의 수용으로 인해 본격적으로 현실적인 이념과 불교·도교를 압도하는 철학적 논리를 지닌 새로운 시대의 이념으로 받아들여져 조선의 유교입국(儒敎立國)의 중추적 역할을 하게 되었다.
4. 성리학의 전래와 발달
♧ 성리학의 전래
고려 후기에 이르러 유학자들은 침체 상태에서 벗어나기 위해, 또 그 반성으로서 유교윤리 회복과 도의화(道義化)에 힘쓰면서 원(元)과의 교류를 통해 성리학을 수입하였다. 안향(安珦)은 여말의 문묘(文廟)를 중수(重修)하는 한편 국자감을 통해 성리학을 소개하고 배우게 하였으며, 양현고를 부흥시키고 공자와 제자들의 상(像) 및 제기(祭器)·악기(樂器) 등을 구해 오는 등 유학 진흥에 큰 공적을 남겼다. 그 후 백이정(白正)의 성리학 연구와 우탁(禹倬)의 『역전(易傳)』 연구 및 강의 등에 의해 본격적으로 수용된 성리학은 권부(權溥)에 의한 『사서집주(四書集註)』의 간행과 더불어 새로운 유학으로 정착되어 갔다.
♧ 성리학의 발달
이러한 학풍은 정몽주(鄭夢周)·이제현(李齊賢)과 이곡(李穀) 등에게 전승되고 이곡의 아들 이색(李穡)에 이르면서 고려 유학은 완비된 성리학적 면모를 갖추었다. 정몽주는 당시 상제(喪制)의 문란을 개탄하고 3년상을 행하였으며, 처음으로 『주자가례(朱子家禮)』에 의해 가묘(家廟)를 세워 조상을 받들도록 하였다. 그는 또 5부학당·향교를 설치하여 유학을 진흥시키기도 하였고 경학·성리학 외에 역학(易學)에도 뛰어났다. 이제현도 유학을 진흥시키는 방법으로서, 학교를 넓히고 육예(六藝)를 존중하고 오륜(五倫)을 밝혀 선왕(先王)의 도를 천명(闡明)할 것을 주장하였다. 또 이색은 성리학적인 안목에서 우탁·이제현·이곡으로 이어진 역학 연구의 계통을 계승하여 학문적 심화에 기여했다. 이색의 뒤를 이은 이숭인(李崇仁)은 성리학 외에도 문학과 경학에도 뛰어났으며, 길재(吉再)는 권근(權近)의 학통을 이었으나 이념적으로는 정몽주룰 계승하여 조선 초기 사림파(士林派)의 학통을 열었다.
5. 고려의 교육사상가
♧ 안향(安珦, 1243~1306)
1) 교육사상
(1) “공자의 도를 배우려면 먼저 주자를 배워야 한다.”라고 하여 주자학을 근본으로 삼음
(2) 일상생활의 윤리가 성인의 도라고 보아 충, 효, 예, 신, 경, 성의 6의 생활윤리 실천을 강조
(3) 고려 불교의 부패와 폐단에 대한 반성, 불교의 비현실적인 윤리사상에 대한 비판.
2) 교육목적 : 인재양성(도덕적인 행위를 할 수 있도록 수양)
3) 교육방법
(1) 실천의 도를 강조(지행사상을 강조)
(2) 엄격한 친애를 강조한 교육
(3) 비유를 들어 깨우치게 함
(4) 실천위주의 인격감화를 통한 학생지도
4) 교육적 공헌
(1) 원나라에서 주자전서를 가지고 와 주자학을 처음으로 전함
(2) 장학기금 제도로 국학에 섬학전 설치
섬학전? 관리들의 품위에 따라 6품(品) 이상은 은(銀) 한 근씩을, 6품 이하는 포(布)를 내게 하여 장학기금으로 삼았다
♧ 이색(李穡, 목은, 1328~1369)
1) 교육사상
(1) 과거제에 무과를 둘 것을 강조하여 문무겸비인을 교육적 인간상으로 함
(2) 天則理 : "도(道)의 대원(大原)은 천(天)에서 나오니 모든 것의 근원은 천(天)에 있고, 천(天)이 곧 리(理)가 된다." 천리(天理)가 곧 성(性)이며, 사람에도 성이 있으므로 모든 사람의 본연한 선의 근거는 곧 천명이다. 따라서 인간은 선천적으로 도덕성을 지니고 있다.
2) 교육목적 : 문무를 겸비한 인간 육성
3) 교육방법
(1) 내용의 이해와 개성을 존중
(2) 교수 5단계설
1단계 : 본문 강의
2단계 : 의문 논란
3단계 : 이동(異同)의 분석과 판별
4단계 : 이치(理致)에 적합하도록 절충
5단계 : 주지(主旨)에 합치
4) 교육적 공헌
(1) 원나라에 유학하여 성리학을 연구하고 돌아와 주자학을 진흥시켰다.
(2) 유학은 교화의 근원이며 인재는 정교의 근본이라 하여 유학의 필요성을 역설하였으 며 특히 학교의 중요성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 정몽주(鄭蒙周, 1337~1397)
1) 교육사상 : 주자학을 철학의 기초로 치지궁행(致知躬行)이고, 충군신의인(忠君信義人)
2) 교육목적 : 도덕적 실천인을 양성
3) 교육방법
(1) 중용, 대학을 심신의 학문으로 중요시하여 암송하고 깊이 연구하여 이치를 깨닫게 함
(2) 박학심문(博學審問), 즉 해박한 지식을 바탕으로 한 분석적논리적 교수
4) 교육적 공헌
(1) 중등교육기관인 학당을 5부 학당으로 개편할 것을 건의하고 향교를 세워 유학을 진 흥시키고자 했다.
(2) 불교 중심의 풍속에서 벗어나 주자학, 주자가례, 대명률 등을 본받아 생활습성에 개 혁을 가져오게 하였다.
6. 성리학의 계승
고려 말기의 성리학은 역사적 전변기라는 상황에서 두 가지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즉 정몽주를 대표로 하는 온건한 개혁론인 강상파와, 정도전·권근을 주축으로 하는 급격한 개혁론인 혁명파가 그것이다. 이 두 파의 분열은 후에 조선조의 훈구파와 사림파라는 두 갈래의 큰 흐름을 형성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정신사적으로도 중요한 의미가 있다.

키워드

고려시대,   유교,   성리학,   교육,   사상
  • 가격1,7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6.20
  • 저작시기200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10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