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간호심리검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본문내용

수 있다. (그러나 검사자는 이런 사실을 피검사제에게 하나하나 설명해주지 않고 그저 검사를 시작하기 전에 막연하게 “제게 무엇이 보이는지 말해주세요.”라는 식의 간단한 말만 하게 되어있다. 하지만 만일 피검사자가 “이거 돌려서 봐도 되나요?”라는 질문을 물어본다면 간단한 대답을 해 줄 수 있다.)
결과는 통계적인 연구자료에 의해서 해석됨, 더불어 반응의 특성과 검사중에 피험자가 보인 행동, 카드를 다루는 방법 등 여러 가지 자료에 근거하여 종합적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이 검사는 엄격한 교육과 훈련을 받은 임상가에 의해서만 실시, 해석되어야 한다.
로샤검사는 일련의 막연하고 무의미한 잉크반점에 의해 한 사람에게서 일어나는 지각 반응을 분석하여 그 개인의 인격 성향을 추론하는 정신상태 진단검사라고 할 수 있다. 다시말해서 이 로샤 검사는 환자에게 모호하고 불규칙한 형태의 잉크얼룩을 제시하여, 투영되는 환자의 지각반응을 분석하여 그 개인의 인격경향을 추론하는 검사로서, 불안, 긴장, 갈등을 측정하여 주로 개인의 성격구조를 밝히려는 것이다.
3. 동적 가족화(KFD)
동적 가족화는 가족을 그리게 하여 가족의 체계나 내담자의 가족 지각, 역동성을 파악한다. 동적 가족화는 정신분석학과 場의 이론, 지각의 선택성 등과 같은 이론을 기초로 하고 있다. 동적 가족화의 지시어는 색채화를 하지 않고 연필화로 하는 것은 색채에서 나타나는 심상과 감정을 제외시키기 위해서이다.
(1) 목적 : 자기 가족에 대한 지각, 가족원들의 상호작용 방식, 그리고 여러 가족원들에 대한 아동의 정서적 태도 등을 얻을 수 있다.
(2) 실시 방법
1) A4 용지의 크기에 연필로 그림을 그리게 한다.
2) 지시 : “너 자신을 포함하여 너의 가족 전원이 너와 함께 무엇인가를 하는 그림을 그 려보아라.”
3) 시간제한은 하지 않으며, 피험자가 그림을 거부할 때는 용기를 주고 질문사항에 대해 서는 ‘자유롭게 하십시오’등으로 대답하면 된다.
4) 가족을 다 그린 후에는 각 인물상이 누구인가, 연령, 무엇을 하고 있는가를 확인하고 용지의 여백에 기입한다.
5) 그림 후 질문 내용
- 우선, 가족들 중에서 빠진 사람은 없는지 확인하고, 있다면 누구인지 물어 본다.
- “식구들이 무엇을 하고 있습니까?”(혹은 그림에서 각자 따로 어떤 일을 하고 있는 경우라도 각 가족원별로 무슨 일을 하는지 물음)
- “누구부터 그렸지요?” “그린 순서대로 번호를 붙이고 누구인지 적어 주세요.”
- “너는 어디 있지?”
- “이 가정은 행복합니까?”
- “가족 중에 아픈 사람은 없습니까?”
- “가족들이 앞으로 어떻게 달라졌으면 좋겠습니까?” 등
(3) KFD의 해석
1) 인물상의 행위와 그림의 양식, 상징, 그림의 역동성 등으로 크게 나누어 해석하고 인물화 검사에서 실시하고 있는 인물상의 특징과 임상적 의미를 추가하고 있다.
① 인물상의 행위에서는 대체로 아버지, 어머니, 자기상의 행위를 중심으로 분석하는데 그 이유는 세 사람이 공통되는 가족구성원이라는 점과 아동이 가정이라는 성격 형성의 장에서 동일시의 대상은 부모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② 그림의 양식에서는 구분과 포위, 가장자리, 인물하선, 상부의 선, 그림 밑의 선 등을 분석한다. 일반적 양식은 장벽이 없고, 온화한 우호적인 가족 상호관계를 나타내지만 구분에서는 가족을 선이나 사각형으로 구분하여 고립을 나타낸다. 이러한 그림을 그린 사람은 가족과의 감정적 격리, 성격장애, 고립, 내성적인 성격 등을 찾아 볼 수 있다. 구분에는 종이를 미리 접어서 그리는 것도 포함된다. 포위는 주로 책상, 그네, 줄넘기, 자동차 등으로 특정인물을 둘러싼 것을 말한다. 이는 강한 공포나 불안 등을 지닌 사람으로서 비개방적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해석한다. 가장자리 양식은 용지의 주변에 인물상을 그리는 것으로서 방어적인 사람, 상담 시에 강한 저항을 보이는 사람에게 많다. 또한 인물하선의 경우는 가족구성원이나 자신에 대해서 불안감이 강하거나 인간관계에서 불안정성을 지닌 사람에게 많다. 그림상부의 선은 정서불안, 불안, 공포 등을 의미하며 심한 불안을 나타낼 때가 많다. 끝으로 그림 밑의 선은 스트레스를 지닌 사람에게 많이 보이며 가정의 불안정감을 해소하기 위한 행위로 해석할 수 있다.
③ 상징에 있어서는 동적 가족화에서 구체적으로 나타나지는 않지만, 간혹 감정을 집약 적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있다. 임상군의 경우에는 책상, 부엌, 싱크대 등이 많이 보이 며, 보통 군에서는 TV, 의자, 책상 등의 순으로 나타나는 예가 있다.
④ 그림의 역동성에서는 인물상의 크기, 생략, 가족 이외의 타인묘사, 인물상의 방향, 인물상간의 거리등을 통해서 가족간의 감정을 읽을 수 있다. 예컨대, 가족의 생략(아버지 생략의 경우)에서는, 아버지를 가족구성원과 동일장면에 두기 어려울 정도로 적의나 공격, 불안 등의 부정적 감정을 안고 있는 것이다. 또한 인물상을 뒷모습이 보이게 그린 것은 특정 가족에 대한 부정적 감정으로 해석할 수 있다.
⑤ 음영(불안, 공격성), 일반적 윤곽(강박적 사고), 신체부분의 과장 또는 생략(도벽 아동의 팔 생략), 얼굴의 표정, 의복의 장식(의존성), 인물상의 크기(극도로 큰 인물은 내적 통제의 부족), 경사진 인물(소심한 사람, 절도), 너무 정확한 묘사, 필압(충동의 방향)등을 보고 해석한다.
2) 김중술(1981)은 KFD에서 진단적인 단서로 중요시해야 할 점을 제시하였다.
① 가족 중 어느 한 사람을 빠뜨리고 “잊어버렸다”고 말하는 경우 : 흔히는, 아동이 그 삶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있거나, 혹은 거부나 상징적인 제거를 의미한다.
② 자기 자신을 빠뜨린 경우 : 부적절감 혹은 비소속감을 나타낸다. 부모에 대한 불만족, 과도한 비평 및 형제들과의 편파적인 비교 등이 아동의 자존감을 저하시키며, 주도성을 없애고, 성취욕을 빼앗아 가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고 본다.
③ 가족들 중에서 자신을 제일 끝에 그리며 더욱이 형제 순으로 보아 자신이 막내가 아님에도 불구하고 그렇게 그릴 때에는 더 의미가 심각하다. 이것은 결코 겸손해서가 아니라 자기비하의 표현인 것이다.

키워드

  • 가격1,3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5.15
  • 저작시기200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0938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