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근대사]한국근대사 분석 고찰(개항 이후 민란, 개항 이후 화적, 농민군도소의 조직, 근대의식의 성장과 민족운동 전개, 근대문화 발달, 근대정치 전개, 갑신정변과 갑오개혁, 한국 근대사 대표적 사건들)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근대사]한국근대사 분석 고찰(개항 이후 민란, 개항 이후 화적, 농민군도소의 조직, 근대의식의 성장과 민족운동 전개, 근대문화 발달, 근대정치 전개, 갑신정변과 갑오개혁, 한국 근대사 대표적 사건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개항 이후 민란의 발생과 전개

Ⅲ. 개항 이후 화적의 활동과 지향

Ⅳ. 전주화약 이후 관민상화(官民相和)와 집강소 운영

Ⅴ. 농민군도소의 설치와 그 이념

Ⅵ. 농민군도소의 조직

Ⅶ. 근대 의식의 성장과 민족 운동의 전개
1. 동학 농민 운동의 전개
2. 근대적 개혁의 추진
3. 독립 협회의 활동과 대한 제국
4. 항일 의병 전쟁의 전개
5. 애국 계몽 운동의 전개

Ⅷ. 근대 문화의 발달
1. 근대 문명의 수용
2. 근대 교육과 국학 연구
3. 문예와 종교의 새 경향

Ⅸ. 근대정치의 전개과정
1. 개화세력의 민족․정치운동
1) 초기의 정치번혁운동
2) 후기 민주적 정치운동
2. 농민 중심의 민족․정치운동
1) 민족․정치운동으로서의 동학
2) 삼례 민중집회
3) 민족․정치운동으로의 전환
4) 자치기구의 설치
3. 위정척사의 민족․정치운동
1) 위정척사의 개념과 위정척사파의 형성
2) 전근대적 민족․정치운동
3) 무력투쟁

Ⅹ. 갑신정변과 갑오개혁
1. 개화와 척사의 갈등
2. 갑신정변(1884)
3. 갑오개혁(1894˜1895)
4. 1894년 농민전쟁
1) 농민전쟁의 배경
2) 농민전쟁의 전개과정
3) 농민전쟁의 지향과 역사적 의의

Ⅺ. 한국 근대사의 대표적 사건들
1. 병인양요
2. 신미양요
3. 위정척사(衛正斥邪)
4. 강화도조약(江華島條約)
5.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
6. 임오군란(壬午軍亂)
7. 갑신정병
8. 거문도사건(巨文島事件)
9. 방곡령(防穀令)
10. 동학농민운동(東學農民運動)
11. 집강소(執綱所)
12. 청일전쟁(淸日戰爭)
13. 갑오개혁(甲午改革)
14. 삼국간섭(三國干涉)
15. 을미사변(乙未事變)과 을미개혁
16. 아관파천
17. 독립협회(獨立協會)와 독립신문
18. 광무개혁(光武改革)
19. 러일전쟁
20. 신민회(新民會)
21.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
22. 한일의정서(韓日議政書)
23. 을사조약(乙巳條約)
24. 헤이그특사사건
25. 군대해산(軍隊解散)
26. 삼일운동(三一運動)
27. 대한민국임시정부(大韓民國臨時政府)
28. 청산리. 봉오동 전투(靑山里. 鳳梧洞戰鬪)
29. 의열단. 애국단
30. 물산 장려 운동(物産?勵運動)
31. 육십만세운동
32. 신간회(新幹會)
33. 광주학생운동(光州學生運動)
34. 조선어학회
35. 광복군(光復軍)
36. 토지조사사업(土地調査事業)

Ⅻ. 결론

본문내용

조사(土地慣習調査)를 선행하였다. 이때 조사된 내용은
① 행정구역의 명칭,
② 토지의 명칭과 사용목적,
③ 과세지와 비과세지,
④ 경지의 경계,
⑤ 산림의 경 계,
⑥ 토지표시 부호,
⑦ 토지의 지위˙등급˙면적과 결수(結數)의 사정 관행,
⑧ 결의 등급별 구 분,
⑨ 토지소유권,
⑩ 질권 및 저당권,
⑪ 소작인과 지주와의 관계,
⑫ 토지에 관한 장부 서류,
⑬ 인물조사 등이었다.
토지조사사업은 1909년 6월 역둔토실지조사(驛屯土實地調査)와 11월 경 기도 부천(富川)에서 시험적인 세부측량을 함으로써 제1차 사업계획을 세우는 등 제4차까지의 사업계획을 거쳐 18년 11월 이완용(李完用)의 토지조사 종료식 축사를 끝으로 막을 내렸다. 조사사업의 내용은 토지 소유권의 조 사, 토지가격의 조사, 지형지모(地形地貌)의 조사로 이루어졌으며, 이의 수행을 위해 행정업무와 측량업무로 나 뉘어 진행되었다. 토지소유권 및 토지가격의 조사를 위해
① 행정구역인 이(里)˙동(洞)의 명칭과 구역˙경계 의 혼선을 정리하고, 지명의 통일과 강계(疆界)의 조사, 신고서류의 수합, 지방경제 사정과 토지의 관행을 명확 히 하는 준비조사,
② 토지소유권을 확실히 하기 위해 필지(筆地) 단위로 지주˙강계˙지목˙지번을 조사하는 일필지조사(一筆地調査),
③ 불분명한 국유지와 민유지, 미정리된 역둔토, 소유권이 불확실한 미개간지를 정리하기 위한 분쟁지조사(紛爭地調査),
④ 토지의 지목에 따라 수익성의 차이에 근거하여 지력의 우월을 구별하는 지위등급조사(地位等級調査),
⑤ 토지조사부˙토지대장˙토지대장집계부˙지세명기장(地稅名寄帳) 의 필요에 따른 장부조제(帳簿調製),
⑥ 토지소유권 및 그 강계 심사의 임무를 위한 토지조사위원회 구성 과 사정,
⑦ 토지소유권을 비롯한 강계의 확정에 대하여 토지신고 이후의 각종 변동사항을 바로잡기 위한 이동지정리(異動地整理),
⑧ 최종적으로 지적이 이동된 것을 조사하여 토지대장 및 지적도를 확실히 하기 위한 지적조사(地籍調査) 등으로 그 사업이 진행되었다. 지형지모 조사는
① 삼각측량, ② 도근측량(圖根測量), ③ 세부측량, ④ 면적계산, ⑤ 지적도 등의 조제, ⑥ 이동지 정리가 그 내용이었다.
이와 같은 토지조 사사업을 통하여 2,040만 6489원의 재정과 1만 2388명의 직원 동원으로 전체 토지 1,910만 7520필지의 소유권과 그 강계를 사정하였고, 분쟁지 3만 3937건 9만 9445필지를 해결하였으며, 1,835만 2380필지의 토지에 대한 지가 조사(地價調査)를 하여 토지조제부 2만 8357책, 토지대장 10만 9998책, 지세명기장 2만 1050책, 지적도 81만 2093장 등의 지적장부를 조제했다. 또 측량에 있어서는 이동지 측량 181만 8364필, 삼각측량에 따른 기선측량(基線測量) 13개소, 대삼각본점(大三角本點) 400점과 대삼각보점(大三角補點) 2,401점, 수준점(水準點) 2,823점, 1 등 및 2등 도근점 355만 1606점, 1필지조사 및 세부측량 1,910만 1989필지, 지형측량 143만 1200방리를 처리하여 8년 8개월 만에 끝을 맺었다.
이와 같은 거대한 토지조사사업은
① 자본주의적 토지제도 확립으로 식 민통치의 안정을 기하기 위해 행정구역˙도로˙헌병주재지의 설정을 하며,
② 일본인의 정착에 필요한 토지 확보의 수단으로 필요하였고,
③ 무지주(無地主)˙무신고 토지의 국유화로 통치기구의 재정을 굳건히 하고 조세의 원천을 확실히 하며,
④ 전통적인 양반계층의 지주권을 일제법상의 식민지적 지주계층으로 개편하 여 식민사회 기반을 구축하고,
⑤ 거주를 토지와 결부시켜 한국인의 동정을 살핌으로써 영구적인 식민통 치 기반을 구축하며,
⑥ 모든 자원과 세금파악을 확실히 하는 수탈경제(收奪經濟)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다.
이 사업의 결과 이제까지 실제로 토지를 소유해왔던 수백만의 농민이 토지에 대한 권리 를 잃고 영세소작인(零細小作人) 또는 화전민˙자유노동자로 전락하였고, 반면 조선총독부는 전국토의 40`%에 해 당하는 전답과 임야를 차지하는 대지주가 되었다. 총독부는 이들 토지를 국책회사인 동양척식주식회사(東洋拓殖株式會社)를 비롯한 후지흥업[不二興業]˙가다쿠라[片倉]˙ 히가시야마[東山]˙후지이[藤井] 등의 일본 토지회 사와 일본의 이민(移民)들에게 무상 또는 싼값으로 불하하여 일본인 대지주가 출현하게 되었다.
. 결론
우선 왜 ‘근대’민족주의여야만 하는가? 그것은 전근대 시대에도 민족을 형성한 곳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서구 열강의 민족주의와 우리의 민족주의를 구별해야 한다. 우리의 민족주의는 외세의 지배를 받지 않고자 함을 뜻한다. 그리고 전세계 민족과의 자유롭고 평등한 관계를 지향한다. 따라서 우리의 민족주의는 인류사의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을 전제로 하고 이제 우리의 근대 민족주의에 대해 이야기해 보자. 우리의 민족주의의 기원은 실학으로부터 찾을 수 있다. 그것은 우선 실학의 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탈피했기 때문이다. 중국 중심의 세계관은 중국의 무력의 힘을 빌어 사상적으로는 공자의 춘추에서 비롯되어 주자학에 이르러 더욱 확고해졌으며, 천동 지정설에 기초하고 있다. 그리고 실학은 단순히 국내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사회사상의 전번적인 근대지향적 전화와 관련되어 있다. 그것은 양반제의 비판, 박지원 등의 사상에서 나타나는 자본주의적 요소, 근대 자연과학사상, 과학기술의 산업에의 응용, 대외통상론 등에 잘 나타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당대 사회의 변화에 많은 영향을 많이 받았다. 외부적으로는 서구열강의 침입이 가시화되고 있어, 민족적 위기가 심화되었다. 국내적으로는 봉건 사회내부의 위기가 고조되고 있었다. 이러한 내적 외적 위기가 중첩되어 이러한 위기를 해결한 사상의 등장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위기에 부응하여 세가지 사상적 경향이 나타났는데 이것은 박규수, 오경석, 유홍기를 중심으로 후에 김옥균, 독립협회, 그리고 애국계몽사상으로 이어지는 개화사상과 후에 의병운동으로 이어지는 위정척사 사상 그리고 서학(西學)에 대립하여 나타난 동학을 들 수 있다.
  • 가격10,000
  • 페이지수78페이지
  • 등록일2007.06.06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340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