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성리학 교육사상의 전개(퇴계이황과 율곡이이)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조선 성리학 교육사상의 전개(퇴계이황과 율곡이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심학의 개관
1. 성리학 사상
2. 등장배경 및 전개과정
3. 내용

Ⅱ. 퇴계의 교육사상
1. 사상
2. 교육목적 및 내용
3. 교육과정 및 방법
4. 교육적 의의

Ⅲ. 율곡의 교육사상
1. 사상
2. 교육의 목적 및 내용
3. 교육의 과정 및 방법
4. 교육적 의의

본문내용

⑵ 교육내용
① 성학(聖學)
수기치인(修己治人)의 학문으로서 수기 또는 내성적(內聖的) 측면에서의 인의(仁義)를 궁행(躬行)하여 천덕(天德)을 지닌 다는 것과 또는 외왕적(外王的)인 측면에서는 생민(生民)을 교양하는 왕도(王道)를 포함한다.
② 격물치지(格物致知)
유학적 인식론의 기본체계를 이루는 것으로 주로 도덕적 인식의 근거를 제공하는 이론으로서 의미는 격(格)을 지(知)로 물(物)을 사(事)로 치(致)를 추극(推極)으로 지(知)를 식(識)과 같은 것으로 보았으며 이는 격물은 사물의 이치를 궁구하여 그 극진한 곳에 도달하지 않음이 없게 하고자 하는 것이며 치지는 나의 지식을 초극하여 그 아는 바를 다하지 않음이 없게 하고자 하는 것이라고 해석한 주자의 견해를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며 격물은 사물의 이치가 극처에 이르는 것이며 치지는 나의 지식이 극처에 이르는 것이라고 하여 격물과 치지의 의미를 구분하면서도 실제는 한 가지 일에 불과하다고 하였다.
지식과 인식에 있어서 도덕적 측면을 강조하는 것이 교육내용과 방법의 선정기준으로 작용하게 되고 그리하여 그의 교육이론은 도덕적 성격이 강하게 되었다.
③ 지행(知行)
성현의 학문은 수기치인(修己治人)에 지나지 않는다고 하였으며 이때 수기에는 지(知)와 행(行)의 차원이 있는데 지(知)로는 선을 밝히고 행(行)으로는 몸을 성실하게 하는 것이다. 학문의 이상으로서 지와 행의 두 차원이 일치 겸비하여 천덕을 갖추고 나아가서는 경세제민의 왕도를 실현하는 것.
수기 공부에는 지와 행의 두 차원이 있으며 지로는 착함을 밝히고 행으로는 몸을 성실하게 한다.
가. 지와 행의 선후를 구분하여 선지후행(先知後行)의 입장
나. 지와 행을 수미상응(首尾相應)을 하는 것
3. 교육의 과정 및 방법
⑴ 교육과정
율곡의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소학을 먼저 읽어 그 근본을 익히고 다음에는 대학과 근사록으로써 그 규모를 정하고 그 다음에는 논어, 맹자, 중용 등 오경을 읽고 사기와 선현의 성리서(性理書)를 읽어 식견을 넓힌다.
소학→대학→근사록→논어→맹자→중용→시경→서경→예기→춘추→역경(사서오경의 의미통합)→가례→심경→이정전서→주자대전→주자어류→기타성리학설→사서(史書)
⑵ 교육방법
① 거경(居敬)
가. 경은 성학의 처음이자 마지막이다. 경이 아니면 알 수 없으며 도에 들어갈 수도 없 으며 따라서 거경이야말로 궁리의 근본이 된다.
나. 경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용모와 언어 등을 조심하여 거두어들이는 수 렴의 방법을 필요로 한다.
다. 입지(立志)로 뜻을 세우고 수렴과 정심으로 학문에 대한 거경의 자세를 확립한 다음 에는 궁리를 통해서 자기의 지를 최대한 확충 완성하여야 한다.
라. 수렴과 정심은 내적 수양의 방법이며 검신(檢身)은 외적 수양방법이다.
② 궁리(窮理)
가. 수렴을 통해서 경의 태도가 확립되면 그 바탕위에서 궁리를 통해 치지(治知)를 이룰 수 있기 때문에 수렴의 다음 순서로 궁리가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나. 궁리는 교육의 방법이면서 또한 교육적 인간상을 지향하는 수양의 내용을 이루는 것 이라고 할 수가 있다.
다. 궁리란 독서를 통해 의리를 강명하는 것과 고금인물에 대한 논의를 통해 시비를 분 별하며 사물을 접하여 그 처함이 마땅한가의 여부를 살피는 것
라. 독서
궁리의 중요한 수단으로서 경건하고 엄숙한 일이기 때문에 숙용(潚容)과 위좌(危 坐)등의 방법을 통해 독서에 임하는 경의 태도를 확립하고 다독 보다는 정독, 숙 독을 통한 점진적인 공부를 강조하였으며 독서에 있어서 정사함영(精思涵泳), 즉 사고의 중요성을 매우 높이 평가하였다.
마. 독서와 기송(記誦)의 적절한 조화 강조
바. 궁리가 중요한 방법이기는 하지만 지식의 일변도로 치우치는 것을 지양하고 행과의 조화와 균형이 유지되어야한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③ 역행(力行)
가. 자기 욕심을 극복함으로써 기질의 병폐를 교치(矯治)하는데 있는 것으로서 유약한 사람은 교치하여 강해지도록 하고 유약한 사람은 교치하여 꿋꿋해지도록 하며 사나 운자는 온화함으로써 조절하고, 급한 자는 너그러움으로서 조절하며, 욕심이 많으면 맑게 하여 반드시 청정하도록 하며 사심이 많으면 그것을 바로잡도록 한다.
나. 면강
면강은 학문의 요체가 기질의 변화에 있다고 할 때 기질변화를 위해서는 부단한 노력과 백배의 공을 필요로 한다는 것을 밝히는 개념으로서 즉 면강이란 기질변화 즉 수양에 임하는 실천의지를 말하는 것이다.
다. 지행일치병진(知行一致竝進)
진실한 앎인 진지(眞知)는 강력한 실천의지(實踐意志)로서의 면강하는 노력을 통해 행으로서 완결되는 것이며 따라서 역행이 아니고서는 학문의 완성을 이룰 수가 없다 는 것이다.
4. 교육적 의의
율곡의 교육사상에는 무엇보다 인간의 선함과 인간이 인간다울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한 강한 믿음이 전제되어 있다. 이러한 믿음에서 출발하는 율곡의 성인을 목적으로 한 교육사상이 바로 인간성 회복 교육사상이다. 율곡은 인간 스스로의 노력에 의하여 인간의 타락 원인인 기질을 청명하게 하여 본연성을 회복하는 것이 언제든지 가능하다는 사실을 그 누구보다 강조하였다. 율곡의 인간론은 아동을 비롯한 피교육자에 대한 강한 신뢰와 긍정적 시각을 가지게 해준다. 이와 같이 각 개인의 의지로 인간성 회복이 가능하다는 그의 신뢰와 긍정적 시각은 학생을 지도하는 교사, 부모들에게 어떤 학생도 끝까지 포기하지 않고 그의 인간 본연성의 회복 가능성에 강한 믿음을 가지게 한다.
또한 우리가 추구해야 할 교육의 방향은 이념과 현실, 도덕과 실리의 접합이다. 따라서 이러한 과제는 현실을 중시하면서 유학적 이념에도 충실했던 율곡의 이상과 현실이 접합된 교육사상에 관심을 가지게 한다. 율곡의 교육사상은 유학의 도의를 그 근간으로 지지하면서 제도와 법 등의 적절한 변혁을 통하여 발전적 실천을 추구한 사상이다. 결론적으로 율곡의 교육사상과 실천 노력은 성리학적 패러다임에 충실한 도덕 인문주의와 진보적 현실주의적 측면이 각각 고유함을 지키면서 균형을 유지한 특징이 뚜렷하기 때문에 현대 한국 교육의 개선방향과 방법에 귀감이 되는 중요한 교육적 원칙들을 제공해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키워드

성리학,   퇴계,   율곡,   교육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06.21
  • 저작시기201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611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