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대생의 신체만족도에 따른 의복행동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대생의 신체만족도에 따른 의복행동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서론
제 1 절. 연구의 목적
제 2 절. 연구의 의의
제 3 절. 가설

제 2 장. 이론적 배경
제 1 절. 사회적 비교 이론
제 2 절. 자아개념의 의미
제 3 절.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
1. 신체이미지의 의미
2. 신체이미지의 측정도구
3. 의복행동 요인
제 4 절. 선행연구 ( 신체이미지와 의복행동 연구 )

제 3 장. 연구방법 및 절차
제 1 절. 연구방법
제 2 절. 연구대상 및 자료 수집
제 3 절. 측정도구의 구성
제 4 절. 통계처리

제 4 장 결 과
제 1 절. 상관관계 분석
제 2 절 자아개념과 신체만족도간의 관계
제 3 절 가설검증

제 5 장 논 의
제 1 절. 결 론
제 2 절.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제 6 장 참고문헌
제 7 장 부록

본문내용

대체로 불만족하는 사람이 38명으로 47%의 수치를 보였다.
(3) 유행관심성의 요인분석
유행관심성에 관한 6문항에서는 요인점수가 클수록 유행에 관심이 많고 민감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리커트형 척도를 1점부터 5점으로 점수를 주어 평균 분석한 결과 평균 3.4의 결과가 나왔고, 유행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 63명으로 78%의 수치를 보였고 관심이 적은 사람이 18명으로 22%의 수치를 보였다.
(4) 과시성
과시성에 관한 6문항 에서는 요인점수가 클수록 의복을 통해 자신을 과시하려는 성격이 특성이 강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리커트형 척도를 1점부터 5점으로 점수를 주어 평균 분석한 결과 평균 3.3의 결과가 나왔고, 과시성이 66명으로 81%의 수치를 보였고 비과시성이 15명으로 19%의 수치를 보였다.
제 3 절 가설검증
1. 신체만족도에 따른 유행관심성
<가설 1> 신체 만족도에 따라 유행관심에 차이를 보일 것이다.
가설 1의 검증을 위하여 신체만족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두 집단으로 나누고 이를 독립변인으로, 유행관심성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신체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 유행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 79%, 신체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 유행이 관심이 많은 사람은 76%의 수치가 나와 신체만족도가 높은 집단의 유행관심성이 더 높게 나왔지만 둘 사이에 많은 차이가 보이지는 않았다.
유행관심성이 두 집단 모두 높고, 큰 차이가 없어 유행관심과 직접적 관련이 되는 구매행동에 대해 또 조사해본 결과 유행관심이 높은 집단의 관련의복구매율은 52%, 유행관심이 낮은 집단의 의복구매율은 11%으로 많은 차이가 보였다.
2. 신체만족도에 따른 과시성
<가설 2> 신체 만족도에 따라 과시성에 차이를 보일 것이다.
가설 2의 검증을 위하여 신체만족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두 집단으로 나누고 이를 독립변인으로, 과시성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분석한 결과, 신체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 과시성이 높은 사람은 81%, 신체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 과시성이 높은 사람은 79%의 수치가 나와 신체만족도가 높은 집단의 과시성이 더 높게 나왔지만 둘 사이에 많은 차이가 보이지는 않았다.
과시성 또한 신체만족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 높고, 큰 차이가 없어 과시성과 직접적 관련이 되는 구매행동에 대해 또 조사해본 결과 과시성이 높은 집단의 관련의복구매율은 83%, 과시성이 낮은 집단의 의복구매율은 20%으로 많은 차이가 보였다.
제 5 장 논 의
제 1 절 결 론
본 연구는 사회적 비교 이론을 배경으로 20~25세의 여대생을 대상으로 신체만족도에 따른 의복행동을 조사하였으며 의복행동은 그 중 과시성과 유행관심성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은 설문지 방법을 사용하여 접근하였다.
조사한 자료 통계의 결과 우선 자아개념과 신체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분석한 결과에서는 자신에 대해 긍정적인 사람일수록 신체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상관계수도 0.5로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가설검증의 결과로 첫째, 신체만족도에 따라 유행관심성에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것에서 신체만족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 유행관심성이 크게 나타났는데 신체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 유행관심성이 더 높다는 결과가 나왔다. 두 집단 결과의 차이는 크지는 않았는데 그 이유는 연구의 대상이 20~25세의 여대생인 만큼 대체로 의복에 대한 관심이 높고 그에 따라 유행에도 민감하기 때문에 신체 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도 유행관심성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두 번째 가설로, 신체만족도에 따라 과시성에 차이를 보일 것이라는 것에서도 마찬가지로 두 집단 모두 과시적 성향이 더 높게 나타났고, 신체만족도가 높은 집단이 더 높은 과시적 성향이 나타나긴 했지만 둘 사이의 큰 차이가 보이지는 않았다. 이도 마찬가지로 의복을 중요시하는 연령대와 성별인 만큼 신체만족도가 낮다고 하여도 대체로 의복에 관심이 많고 의복을 통해 자신을 뽐내고 과시하고 싶어 하는 성격이 짙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가설 검증의 결과 신체만족도에 따른 유행관심성과 과시성의 차이가 크게 나타나지 않아 그에 따른 추가적인 연구로 관련의복구매행동에 대해서도 조사해본 결과 유행관심성이 높은 집단과 과시성이 높은 집단 모두 각각 관련의복구매율이 높게 나타났다.
요약하자면, 신체만족도와 의복과의 관계가 양의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긴 하지만 뿐만 아니라 신체만족도가 낮은 집단에서도 유행관심성과 과시성에 높은 수치가 나온 것으로 보아 시대가 변하고 의복을 중요시 하는 사회로 더 발전함에 따라 의복에 대해 민감하고 이를 통해 자신을 뽐내고 싶어 하는 정도가 높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직접적인 관련 의복 구매행동과도 연관시켜 보았을 때 신체만족도가 높은 집단에서 유행과 과시성에 대한 각각의 의복구매행동이 더 월등히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확실히 신체만족도가 높은 집단이 유행관심성과 과시성에 더 높은 관심을 보인 것과 함께 그에 따른 관련 의복행동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끼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제 2 절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신체만족도에 따라 의복행동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가지고 연구를 시작하였지만, 종속변인인 의복행동 안에 속하는 동조성, 유행관심성, 과시성, 심리적 의복 의존성 중에서 과시성과 유행관심성만을 종속변인으로 삼은 데에서 연구 결과의 범위가 적었고, 의복을 중요시하고 관심이 많은 20~25세의 여대생만으로 대상으로 하였으므로 결론을 다른 연령층이나 다른 성별에게 일반화 시키는 데에는 신중을 기하여 할 것이다.
제 7 장 참고문헌
강혜원, 의상사회심리학
송경자, 신체이미지, 자아존중감이 의복행동에 미치는 영향
차진희, 신체이비지, Genderlogy, 의복 성 정체감 사이의 상관관계연구
남윤자, 박영희 성인남성의 자아개념과 의복태도와의 관계 연구
李貞周, 의복을 통한 자아개념의 고양
박진경, 의복 동조성과 관련 변인들의 고찰
황춘섭, 여고생의 자아개념에 따른 의복구매행동 특성
이은지, 정상인과 지체장애인 여성의 자아개념과 의복디자인 선호도와의 상관연구
여대생의 신체만족도에 따른 의복행동 연구
(2007)

키워드

복식,   의복,   만족,   여성,   만족도,   신체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7.06.27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73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