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조선시대 교육사 요약정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 조선시대 교육사 요약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장. 고려시대의 교육
<제 1절. 관학>
1. 국자감
2. 향교
3. 학당
<제 2절 사학>
1. 12도
2. 서당
<제 3절. 과거제도>
1. 과거제의 도입
2. 과거의 종류와 절차
<제 4절. 교육사상가>
1. 지눌
2. 최충
3. 안향
4. 이색
5. 정몽주

제 2장 조선시대의 교육
<제 1절 성리학과 교육>
<제 2절 교육기관>
1. 관학 : 고등 교육기관
1) 성균관
2) 4학 ; 향교와 비슷한 정도의 중등 교육기관
3) 향교 : 지방에 설립된 국립 교육기관
2. 사학
1) 서원: 향교가 없어지면서 조선시대에 처음으로 생김. 고려시대 X
2) 서당
3. 특수교육
1) 경연
2) 종학
3) 기타 특수 교육기관
4. 잡과교육
<제 3절 과거제도>
1. 생진과(소과)
2. 문과(대과)
3. 무과
4. 잡과
<제 4절 교육관련 법규>
1. 권학사목과 향학사목
2. 9제 학규와 진학절목
3. 경외학교절목
4. 학교사목과 학교모범
<제 5절 유학교육 사상가>
1. 권근
2. 조식
3. 이황- 호(퇴계)
4. 이이- 호(율곡)
5. 김우옹
<제 6절 실학사상과 교육>
1. 실학의 등장배경과 학풍
2. 실학파의 교육사상
3. 실학교육 사상가
<제 7절 동학사상과 교육>
1. 동학운동의 사상적 특징
2. 동학의 교육적 의의

본문내용

내용, 방법이 종합적으로 제시됨
- 교육방법: 입지, 궁리, 경, 숙독, 심득, 궁행, 광문견, 잠심자득을 강조
- 심경, 태극도설, 서명 등 성리학의 원리와 심성에 관한 것을 가르쳐야 한다고 주 장
4. 이이- 호(율곡)
- 은병정사를 세워 후진 양성에 주력함
- 저서: 성학집요(제왕학의 지침서), 격몽요결, 학교모범(16개조의 덕목)
- 교육목적: 성인의 이상을 실현하는 것(입지를 중요시함)
- 만언봉사: 궁리, 거경, 역행을 제시(학문의 구체적 방법)
5. 김우옹
- 조식의 제자로서 남명학파의 학풍을 계승
- 저술: 경연강의, 성학육잠
- 성학육잠
1) 정지잠: 뜻을 먼저 세워야 함
2) 강학잠: 강학을 통해 세상의 이치를 터득해야 함
3) 경신잠: 몸과 마음 언행을 바로 잡아야 함
4) 극기잠: 재물, 색정, 안일의 추구를 경계할 것
5) 친군자잠: 군자가 되고자 하는 사람은 군자 가까이서 생활하며 살아야 함
6) 원소인잠: 소인무리를 경계할 것 강조
<제 6절 실학사상과 교육>
1. 실학의 등장배경과 학풍
* 등장배경
- 임진왜란, 정유재란: 조선이 위약해진 근본 원인이 성리학에 있다고 진단함
- 성리학의 비판: 공리공론, 추상적, 관념적, 현실 괴리적,
- 실학: 조선의 현실에 대한 철저한 자각과 각성에서 비롯된 사상
- 실학자들: 청의 고증학, 서학 영향 받음. 구체적이고 실제적이며 실증적인 학문을 추구함
* 학풍
- 방법론의 차이에 따라 세가지 학파로 나뉨
1) 경세치용 학파(성호학파, 18C 전반)
- 학자: 성호 이익, 반계 유형원
- 강조점: ① 토지제도 개혁 ② 농촌경제 부활 ③ 국가경제 부흥
2) 이용후생 학파(북학파)
- 학자: 박지원, 박제가, 홍대용
- 강조점: 청나라의 문물, 기술을 수입하여 활용할 것을 강조
3) 실사구시 학파(19C 전반)
- 학자: 추사 김정희
- 사실적인 것, 구체적인 것, 실증적인 것에서 진리를 구함
- 강조점: 주체적 사상의 강조(추사체, 서체의 구사)
2. 실학파의 교육사상
① 사상운동 ② 사회개혁 운동 ③ 교육운동
* 실학교육운동의 이념 3가지
① 합리주의 정신을 중시: 이치에 맞도록 생각하는 능력을 중시
② 민본주의 정신을 중시: 백성이 나라의 근본
③ 실심향학의 정신을 강조: 허구적, 관념적인 것을 배격하고 실제적이고 쓸모 있는 지식을 습득하려는 마음에로 나아가야 한다는 이념
3. 실학교육 사상가
1) 유형원- 자(덕부), 호(반계)
- 반계수록: 국가체제의 전면적 개혁을 논한 방대한 저술
경제제도, 정치제도, 토지제도의 개혁 주장 공전제 내세움.
교육제도, 인재등용제도 개혁 주장 공거제 주장(추천제. 학교교육과 관리선발의 일원화를 강조)
- 인간은 각자의 능력에 따라 교육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고 하여 학제를 개혁해 야 한다고 주장 반영되지 못함
2) 이익- 호(성호)
- 유형원의 학문세계 계승, 집대성.
- 후세에 미친 영향: 정약용을 비롯한 후대의 실학자들에게 많은 영향 끼침
- 중국중심의 역사관에서 탈피하여 우리역사에 대한 주체적 연구 이루어져야 한다 고 생각
- 배우고 익힌 것은 반드시 실제생활에 유용해야 하며 사회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때 비로소 가치있는 것이라고 주장
- 곽우록: 과거위주의 교육이 가져온 폐단을 지적하고 개혁방안을 제시함
① 과거시험을 5년으로 연장할 것
② 과거시험 절차의 개혁주장
천민에게도 과거에 응시할수 있는 기회를 주어야 한다고 주장
3) 박지원
- 열하일기: 청나라를 기행하고 경험한 내용
- 배청숭명을 비판
- 저서; 허생전, 호질 해학을 통해 고루한 양반과 무능한 위정자를 꼬집음
- 강조점: 소위 불가독설 주장, 이용후생 주장, 청나라의 문물을 받아들여 조선사회 를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북학파)
- 후세에 미친 영향: 정약용의 아학편을 짓는 중요한 계기가 됨
4) 정약용- 자(미용), 호(다산)
- 저술: 경집- 육경과 사서에 관한 연구로서 주석서 모음
문집- 시화 잡문으로 되어 있으며 1표 2서가 들어있음
(1표: 경세유표, 2서: 목민심서, 흠흠신서)
- 목민심서: 교민, 흥학, 과예의 장에서 교육문제를 구체적으로 다룸
- 오학론: 성리학, 훈고학, 문장학, 과거학, 술수학 등의 퇴폐적 경향을 비판
- 불가독설: 천자문, 사략, 통감절요를 읽혀서는 안된다고 주장
- 학습교재로서 국학, 아학편을 사용할 것을 권함
- 아학편(사물을 동일한 성격과 유형으로 범주화하여 편성한 문자교재)
- 교육사적 의의: 아학편의 분류법은 암기위주 학습을 유도하는 천자문의 한계를 극복한 것
5) 이덕무
- 고증학에 기초하여 아동들이 천자문보다 훈몽자회를 배우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
- 저서: 사소절(소학을 주리나라 설정에 맞게 저술한 책, 8권 2책으로 구성)
사전 5권, 부의 2권, 동규1권
- 사소절의 내용
1) 사전 제 1-1; 성행, 언어, 복식
2) 사전 제 1-2: 동지, 근신
3) 사전 제 1-3: 교습, 인륜
4) 사전 제 1-5: 어하, 사물
5) 부의 제 2-1: 성행, 언어, 복식, 동지, 교육, 인륜, 제사, 사물
6) 동규 제 3권: 동규, 동지, 교습, 경장, 사물
<제 7절 동학사상과 교육>
1. 동학운동의 사상적 특징
- 동학: 최제우가 창도하고 최시형, 손병희가 계승 발전시킨 민족종교(인내천 사상)
- 삼남지방의 농민들에게 급속히 전파되어 후일 동학 농민운동의 토대가 됨
- 특징
① 한울님 사상을 강조
② 모든 인간은 존귀한 존재
- 최시형의 십모천, 천지부모 일체설
- 동학: 민중 속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싹터서 수평적 경로를 밟아 전파, 확산됨
+불교: 황실과 귀족에게 전해졌다가 대중화, 유교
+유교: 통치자를 위한 이념으로 전해졌다가 서서히 대중화
2. 동학의 교육적 의의
- 의식개혁운동, 사회개혁 운동, 민중운동, 교육운동임
- 교육사적 의의
① 동학의 아동교육관은 현대 아동교육에 주는 시사가 크다
② 여성교육관은 시대를 앞선 것. 여성들이 능동적이고 주체적 존재로 살아갈 것 강조
③ 소외받는 계층에게 교육의 기회를 확대하려 함
④ 평등한 인간관계를 회복해야 한다는 강한 의지를 표현
⑤ 교육활동을 상하 쌍방의 수평적 관계로 보았음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7.07.03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870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