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술문화에 대한 기능론 적 분석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1.1. 연구 목적
1.2. 선행 연구와 연구 방법
1.3. 연구 대상의 개념 정의

2. 한국인의 술 문화
2.1. 술 주고 받기의 예절
2.2. 술잔 돌리기 - 수작
2.3. 폭탄주
2.4. 노래하기
2.5. 버리는 술
2.6. 주정에 대한 사회적 용인
2.7. 사발식
2.8. 원샷
2.9. 차수변경
2.10. 선물 경제로서의 술 문화
2.11. 접대 음주 문화

3. 한국인 술 문화의 순기능

4. 한국인 술 문화의 역기능

5. 술 문화 개선 방향 - 바람직한 술 문화

6.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화를 좀 더 바람직한 방향으로 이끌고자 함에 있다. 적당한 음주는 신체적인 건강과 동시에 정신적인 건강까지 가져다준다. 이를 위해서는 관습적으로 내려오는 술 문화를 있는 그대로 수용하던 과거의 자세에서 벗어나 한국인의 술 문화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좀 더 건전한 문화로 재정립할 필요가 있다. 잘못된 술 문화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술이 가지는 긍정적인 부분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술 문화 정착이 필요하다.
첫째, 주량을 조절한다. 자신의 주량을 알고 술자리에 가기 전에 먼저 그날 마실 술의 양을 정해놓는다. 그리고 자신이 정한 목표만큼의 술을 마셨다면 마지막 잔을 상대에게 알리고 그 이상은 정중하게 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술을 천천히 마신다. 술을 마시면서 많은 대화를 나누고, 작은 잔으로 여러 모금을 나눠 마시면 술을 마시는 속도가 늦어지게 된다.
셋째, 술이 아니라 술 마시는 분위기 자체를 즐긴다. 술은 사람들을 친밀하게 하고, 모임의 흥을 돋우는 수단으로써 존재하는 것이지 그 자체가 목적이 되어서는 안된다.
넷째, 술을 권하지 않는다. 한국에서 ‘아니오’는 상황에 따라 ‘예’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술자리에서의 ‘아니오’는 더욱 그렇다. 상대가 술을 더 이상 먹지 않겠다고 함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억지로 상대의 술잔에 술을 따라주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그것이 인심이요, 상대에 대한 호의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술자리에서 만큼은 상대의 ‘아니오’를 있는 그래도 받아들이고 술을 더 이상 권하지 않음으로써 상대를 배려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이종기(2001), 앞의 책, 337쪽.
마지막으로 가장 이상적인 술 문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모이면 마셔야 한다’는 강박증에서 벗어나야 한다. 우리의 음주 문화는 전통 사회의 인습과 현대 사회의 폐습이 혼합된 참으로 위험한 합작품이다. 독주를 막걸리 마시듯 하는 험한 음주법이 이를 잘 웅변해 준다. ‘모이면 마셔야 한다’는 강박증에서 벗어나 합리적인 대화, 건전한 사교 문화를 가꾸어 나가야 한다. SBS 보도국 기자들 지음(1997), 앞의 책, 9쪽.
바람직한 술 문화의 정착을 위해서는 개인의 사고와 행동의 변화 뿐 아니라 사회 전체적인 분위기가 바뀌어야 한다. 술 문화는 역사적, 사회적인 배경 속에서 오랜 시간동안 관습처럼 몸에 배어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일상생활 속에서 나타나는 술 문화를 비판적으로 인식하고 좀 더 민주적이고 바람직한 술 문화를 만들어 나간다면 우리의 삶의 질은 훨씬 더 나은 것으로 변화할 수 있을 것이다.
6. 결론 및 함의
지금 까지 한국인의 술 문화와 그러한 술 문화의 등장 배경, 각각의 술 문화가 지니는 순기능과 역기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바람직한 술 문화 개선 방향은 하나하나 이야기 하자만 수도 없이 많겠지만 간단하게 몇 가지 예시만을 인용하여 정리해 두었다. 개인의 상황에 맞는 자신만의 술 문화를 알고 실행에 옮기는 것은 궁극적으로 스스로의 몫이기 때문이다.
술 문화는 대부분 과거 70, 80년대의 군부 독재 정권 시절에 우리 사회에 뿌리내린 이후로 관습처럼 내려오는 경우가 많다. 각각의 술 문화에는 다 그에 합당한 사회문화적 배경이 존재하는데 시대가 바뀌어 사회문화적 배경이 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술문화가 과거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는 것은 다분히 시대착오적이다. 실제로 조사와 분석 과정에서도 현재의 술 문화가 지니는 순기능 보다 역기능이 더 많이 제시되었다.
앞으로는 술 문화에 대한 기능론적 분석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의 술 문화를 좀 더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들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본고뿐만 아니라 다른 선행 연구 자료에서도 대부분 현 사태에 대한 해석에서 그치거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하더라도 그에 따른 해결방안까지는 마련하지 못하고 있어 아쉬움이 있었다. 물론 바람직한 술 문화 정착이 연구만 해서 해결되는 부분은 아니지만 연구를 시작으로 하나하나 실생활에 적용시키다 보면 지금 보다 훨씬 나은 모습의 술 문화가 정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또한 이번 과정을 통해서 ‘한국인의 술 문화’라는 범위가 굉장히 포괄적이라는 것을 새삼 느낄 수 있었다. 직장인이나 대학생이나 술 문화는 대부분 비슷한 성향을 띤다고 판단하여 각각을 따로 세분하기 보다는 ‘한국인’이라는 범주로 묶어서 분석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것이라고 보고 주제의 범위를 포괄적으로 잡았으나 그렇게 하다 보니 정리 과정에서 분량이 굉장히 많아져 각각에 대한 깊이 있는 분석을 제시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 좀 더 깊이 연구할 기회가 생긴다면 다음에는 ‘직장인의 술 문화’, ‘대학생의 술 문화’ 등으로 분야를 나누는 것이 좀 더 수준 높은 연구를 할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라 생각한다.
술과 술 문화는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양면의 동전과 같다. 문화는 언제나 그렇듯 그 문화를 향유하는 사람들이 어떤 의식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한없이 발전될 수도 있고, 시대착오적으로 정체될 수도 있다. 나와 우리 가정과 사회 전체의 건강을 위해 과거의 구습은 수정보완하고, 현대 사회에 걸 맞는 바람직한 술 문화를 정착시키기 위해 우리 모두가 노력해야 한다.
참고문헌
강범우 외(1990), 『에세이술 2集 - 이 땅은 나를 술마시게 한다』, 보성출판사.
류병호(2002) 『술술 풀어가는 술 이야기』, 예림미디어.
박경욱(1994), 『비즈니스맨의 술 다스리는 법 - 술 소프트』, 도서출판 두리.
박재환(1999), 『술의 사회학』, 한울 아카데미.
SBS 보도국 기자들 지음(1997), 『한국인과 술에 관한 48가지 리포트』, 서지원.
윤혜미(2000), 《대학생 음주행동과 음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충북대학교출판부..
이상길(2004),《일상적 의례로서 한국의 술자리》,『미디어, 젠더&문화』, 사단법인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협회.
이상욱(2001),《한국사회 웃기고 울린 폭탄주에 얽힌 전설들》, 『월간중앙 1월호』.
이종기(2001), 『술, 술을 알면 세상이 즐겁다』, 도서출판 한송.
이홍(2004), 『한국사회 심층탐험』, 월간조선사.

추천자료

  • 가격2,1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07.07.09
  • 저작시기2007.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1993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