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십][리더십이론][상황적합 리더십][상황적합 리더십 접근법][리더쉽]리더십의 개념, 리더십의 기능, 리더십의 수준, 리더십이론, 리더십이론의 변천과정, 리더십에 대한 상황적합 접근법 분석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리더십][리더십이론][상황적합 리더십][상황적합 리더십 접근법][리더쉽]리더십의 개념, 리더십의 기능, 리더십의 수준, 리더십이론, 리더십이론의 변천과정, 리더십에 대한 상황적합 접근법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개요

Ⅱ. 리더십의 개념

Ⅲ. 리더십의 기능

Ⅳ. 리더십의 수준
1. 최고관리층의 리더십
2. 중간관리층의 리더십
3. 하위관리층의 리더십

Ⅴ. 리더십 이론

Ⅵ. 리더십 이론의 변천과정

Ⅶ. 리더십에 대한 상황적합 접근법
1. Fiedler의 상황적합 이론(Contingency Theory)
2. House의 경로-목표 이론(Path-Goal Theory)
3. Hersey & Blanchard의 리더십론
1) 개요
2) 리더유형
3) 상황변수
4) 리더유형과 상황과의 연결
5) 요약 및 평가

본문내용

324) 정의되고 있기 때문에 폴로워 성숙도는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첫째로 그것은 개인의 ‘특성’ 또는 ‘소질’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한 과업을 달성하기 위해 폴로워가 지니고 있는 능력과 의욕을 의미한다(Nelson & Quick, 1997 p. 361 : Lussier, 1997, p.405). 말하자면 그것은 자신의 행동을 방향 짓고 일을 완성할 책임을 지는 폴로워의 능력과 의욕을 의미한다. 이때의 ‘능력’은 ‘직무성숙도(job maturity)\'라고 불리면서 특정한 과업수행에 필요한 능력, 기능, 지식 또는 경험을 포함하고 ’의욕‘은 ’심리적 성숙도(psychological maturity)‘라고 불리면서 특정한 과업완수에 필요한 신념, 몰입 또는 동기부여 등을 포함한다(Hughes et al., p.393 : Cherrington, 1994, p.635 : Bartol & Martin, 1994, p.424)
둘째로 그것은 수준에 따라 ①무능하고 의욕도 없는 단계(성숙도1) ②무능하기는 하나 의욕은 있는 단계(성숙도2) ③능력은 있으나 의욕이 없는 단계(성숙도3) 및 ④능력도 있고 의욕도 있는 단계(성숙도 4) 등으로 구분된다(Hersey & Blanchard, 1985 : 1988, p.171).
셋째로 이들 단계(수준)는 연속선(continuum)상에 있다(Bartol & Martin, 1994, p.424 : Coffey et al., 1994, p.302) 말하자면 성숙도수준은 네 가지로 구분되어 그것이 가장 낮은 것에서부터 가장 높은 것에 이르는 연속선상에 위치한다.
4) 리더유형과 상황과의 연결
이 리더십론은 환경적응론적 관점에서 모든 상황에서 효과적인 리더유형은 없으며 각 유형은 상황에 따라 적절하고 효과적일 수 있다는(Hersey & Blanchard, 1993, p.187) 전제에서 시작되었으므로 이상에서 논의한 리더유형과 상황의 연결(적합)에 관한 논의가 이어진다.
그들의 이론은 주어진 상황에서 폴로워의 성숙도에 알맞는 리더유형을 선택하기 위해 사용된다거나(Lussier, 1997, p.403) 성공적인 리더십은 폴로워의 성숙도에 따른 리더유형의 선택에 달렸다는(Robbins, 1993, p.377) 관점, 리더행동은 폴로워의 욕구에 적절히 연결되어야 한다는(Coffey et al., 1994, p.301) 그리고 효과적인 리더행동은 ‘성숙도’라는 변수와 적절한 행동-성숙도의 연결에 달렸다는(Lewis et al., 1998, p.442) 주장 등은 모두 리더십효과를 위해서는 리더유형과 상황(폴로워의 성숙도) 간의 적합이 이루어져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표현을 줄이면 상황에 적합한 리더유형을 찾아서 활용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같은 관점에서 그들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은 세 가지로 정리된다.
첫째로 이 이론에 따르면 리더는 과업과 관계성 양자를 축으로 하여 각각 정도에 따라 고(high)/저(low)라는 두 가지로 구분한 매트릭스를 통해 리더유형을 ①고과업-고관계성 유형 ②고과업-저관계성 유형 ③저과업-저관계성 유형 및 ④저과업-고관계성 유형 등으로 구분하고(Hersey & Blanchard, 1988, p.182 : Schermerhorn et al., 1997, p.323) 이들 네 가지 가운데 하나를 취해야 한다고(Holt, 1993, p.457) 주장한다. 과업행동과 관계성행동의 어떤 조합이 어떤 상황에서 보다 효과적일 수 있기(Hughes 1993, p.396) 때문이다.
둘째로 과업수준은 높고 관계성수준은 낮게 요구되는, 즉 <성숙도1>의 상황에서는 지시적 유형이, 양자가 다같이 높게 요구되는, 즉 <성숙도2>의 상황에서는 설득적 유형이, 과업행동은 낮게 그러나 관계성행동은 높게 요구되는, 즉 <성숙도3>의 상황에서는 참가적 유형이 그리고 양자가 다같이 낮게 요구되는, 즉 <성숙도4>의 상황에서는 위양적 유형이 가장 바람직한(적절한, 최선의, 효과적) 것이라고 제안한다.
셋째로 이들에 관련하여 성숙도 수준을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고 <성숙도1>과 <성숙도2>의 상황에서는 리더 중심적 행동이 그리고 <성숙도3>과 <성숙도4>의 상황에서는 폴로워 중심적인 행동이 가장 바람직한 것이라고 제안한다(Hersey & Blanchard , 1985, 1988, p.207 : Daft, 1997, p 508).
5) 요약 및 평가
이 리더십론은 상황을 오직 하나, 즉 폴로워의 성숙도만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에 세가지로 다루는 Fiedler 등의 리더십론보다 이해하기 쉽고 단순하다. 그래서 여러 논자들(e.g., Huges et al., 1993, p399 : Bovee et al., 1993, p. 488 : Nelson & Quick, 1997, p.362)에 의해 다음과 같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공헌하고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
이 이론은 리더와 폴로워의 연결(matching)을 고무한다.
그것은 이해하기 쉬울 뿐만 아니라 상식적인 접근을 하고 있어 응용하기 쉽다.
그것은 리더와 폴로워 간의 의사소통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돕는다.
그것은 경영관리자로 하여금 리더십 효과를 ‘全-無(all or nothing)\'로 보기보다는 가장 효과적인 것에서부터 가장 덜 효과적인 것에 걸치는 연속선으로 본다.
이같은 공헌에도 불구하고 여러 논자들(Hughes et al.,1993, p.399 : Holt, 1993, p.461 : Vecchio & Fernandes, 1995 : Ivancevich & Matteson, 1996, p.429 : Schermerhorn et al., p.324)에 의해 다음과 같이 요약되는 문제점과 한계성 때문에 비판받고 있다.
‘성숙도’의 개념이 애매하다.
이 이론은 퍼스낼러티 특성과 공식적 권한과 같은 상황변수를 부정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이와 관련하여 ‘성숙도’가 언제나 바람직한 리더유형을 결정하는 유일하고 가장 중요한 상황변수는 아니다.
결과적으로 그들의 리더십론을 지지해 주는 실증적 연구는 많지 않다.
효과에 관해 논의를 하고 있지 않다.
  • 가격5,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8.02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363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