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고대사 - 고조선과 부여의 관념체계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샤머니즘의 개념과 구조
(1) 샤머니즘의 개념
(2) 한국의 샤머니즘
(3) 샤머니즘에 대한 연구
(4) 샤머니즘의 기능

Ⅱ. 샤머니즘과 청동기문화
(1) 동경(거울)
(2) 동령(방울)
(3) 암각화
(4) 풍요를 기원하는 청동기

Ⅲ. 고조선과 부여의 통치이념
(1) 단군신화의 세계
(2) 부여 건국신화의 세계

Ⅳ. 샤머니즘의 현재적 현상
(1) 인류학적 관점
(2) 민속학적 관점

< 참고자료 >

본문내용

사람을 이룬 것이다. 이는 사람은 지상에 살면서 천상을 지향하고, 동물적인 바탕을 가지고 있으면서 신적인 것을 지향하면서 삶을 살아가는 존재라는 관념이 우리민족 내부에 깊숙이 뿌리 내리고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더 나아가 이것은 사람다운 사람의 실현이 삶다운 삶이라는 것을 드러내 주고 있다.
Ⅳ. 샤머니즘의 현재적 현상
(1) 인류학적 관점
신화를 제의사회학적인 방법으로 해석해 내는 문화인류학자들(일명 제의학파, 케임브리지학파)에 따르면 신화의 줄거리가 제의의 절차와 대응되어있어서 제의가 언어화된 것이 신화이고 신화가 행동으로 표현되는 것이 제의라고 한다. 제의학파의 한사람인 해리슨은 1912년 그의 저서 테미스에서 신화는 ‘제의에서 발생했으며 제의가 신화에 선행한다.’ 라는 관점과 ‘신화는 제의의 구술 상관물이다’라는 견해를 밝혔다. 인류학자들이 드는 그 근거의 가장 대표적인 예는 그리스에서는 고대로부터 이어지는 디오니소스 제전이라는 큰 축제가 있는데 이 행사의 내용은 춤과 노래를 통해 술의 신 디오니소스의 탄생과 죽음의 신화를 재현하는 일종의 제의 행렬이다. 그들은 신화의 내용을 본받아 제전들이 행해진 것이 아니라 제의 의식을 행하는 과정에서 생긴 것이 신화라고 보고 있다. 신화를 제의적으로 해석하는 인류학자들의 이론의 문제점은 신화의 근원이라는 제의들이 왜 발달하게 되었는가하는 제의의 연유 자체를 설명하지 않고 있다는 점이지만 오늘날 단군신화를 비롯한 많은 신화들의 해석에 큰 도움을 주고 있다.
(2) 민속학적 관점
민속학적 관점으로 신화를 해석하는 학자들은 샤머니즘의 현재적 현상의 예로 신화의 내용들의 현재적 잔존을 든다. 그 예는 우리주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두 가지만 나열해 보겠다.
① 삼칠일
우리민족 대대로 내려오는 민간신앙 중 삼칠일에 관련된 풍습을 살펴보자.
- 칠일마다 산신(産神)을 위한다.
- 산전 삼칠일전에 원행했던 가족은 삼칠일이 지나도록 산실출입을 해서는 안된다.
- 산후 삼칠일 안에 닭알을 깨뜨리면 불길하다.
- 삼칠일 안에 산실에는 불행을 쫓기 위해서 아이 머리맡에 목재를 놓는다.
- 금줄은 삼칠일 동안 달아매 둔다.
- 삼칠일에 수수경단을 만들어 먹으면 아이 병에 예방이 된다.
한국인에 있어 오래로부터 내려오는 풍습 중에 삼칠일 동안은 아기를 분만하고 몸조리하는 기간이고, 타인의 접근을 금지하는 기간이다. 일종의 재생, 회복의 기간이자 금기의 기간이다. 또 하나의 예를 보자. 동물들 중에 닭은 알에서 부화하기까지 21일 즉 삼칠일의 시간이 걸린다. 닭은 고대로부터 인간과 함께 살아온 존재라는 점을 감안할 때 고대인들은 삼칠일을 상징은 알을 깨고, 새로운 생명으로 태어나는 것의 상징으로 여겼던 것이다.
이와 같이 삼칠일은 민속에 있어서 금기시하는 기한으로 되어있다. 이것은 웅녀가 삼칠일동안 인내하고 참은 탓에 인간이 되었다는 신화내용의 영향을 받았다고 주장하는 것이 민속학적 관점이다.
② 백일
우선 환웅이 금기토록 명한 100일의 100은 크게 두 가지로 해석해 볼 수 있다. 첫째는 많다는 의미이다. 오늘날 쓰이는 ‘백성’, ‘백과사전’, ‘백약의 처방’, ‘백방’등은 모두 정확한 백번의 횟수를 일컫는 것이 아니라 ‘많다’라는 뜻을 담고 있다. 두 번째로는 완전하다는 의미이다. 백은 고어로 ‘온’이고 온은 전부, 전체, 모두를 뜻하는 말이다. 오늘날도 사용하는 ‘온세상’, ‘온누리’등에도 그 흔적이 남아있다. 그러니 여기에서의 인간이 되기 위한 인고의 기간이 100일이라는 것은 산술적인 일수가 아니라 불확정적인 오랜 기간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보는 것이 타당하고 오늘날까지도 백이라는 숫자는 고유의 횟수뿐만 아니라 많음. 온전함의 의미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 참고자료 >
- 한국 무의 역사와 현상 조흥윤 민족사 1997
- 청동기문화 이건무 대원사 2000
- 신의발명 나카자와 신이치 김옥희역 동아시아 2005
- 동북아시아 샤머니즘과 신화론 김열규 대우학술총서 2003
- 교회속의 샤머니즘 장남혁,집운당 2002
- 열린문화사 편찬 『高句麗史硏究叢書』 열린문화사 2004
- 부여.고구려 건국신화 연구 이복규 저 집문당
- 洲史料. 全文縮微制中心 [編] 全文縮微制中心 2002
- 동이족과 부여의 역사 서병국 지음 한국학술정보 2005
- (한·일사학자 공동집필) 한권으로 읽는 한국사 김양기 외지음 ; 최재성 옮김 휴머니스트 2002
- 한국의 무속문화 김열규...[등저] 전신용 편저 박이정 1998
- (새롭게 쓴)한국고대사 김기흥 지음 역사비평사 1994
- 한국인의 생활 문화. 1 - 2 이규태 지음 신원문화사
- 탈신화 시대의 신화들 송효섭 지음 기파랑 2005
- 韓國代表文學全集. 1 - 12 三中堂 1971
- 종교로 세계 읽기 이찬수 지음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2005
- 한국종교와 기독교 유동식 지음 대한기독교서회 2001
- 韓國宗敎와 基督敎 柳東植 著 大韓基督敎書會 1965
- 단군, 만들어진 신화 송호정 지음 산처럼 2004
- 韓國 民族神話의 再點檢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편] 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997
- 한국종교문화론 趙興胤 지음 東文選 2002
- 베일 벗은 천부경 조하선 지음 물병자리 1998
- 한국사상 閔丙秀...[等]著 우석 2004
- 단군신화와 기독교 허호익 지음 대한기독교서회 2003
- 檀君神話硏究 이은봉 엮음 온누리 1994
- 단군.단군신화.단군신앙 韓國精神文化硏究院 編輯 고려원 1992
- 檀君神話硏究 이은봉 엮음 온누리 1994
- 韓國敎育思想史. 1 : 硏究方法.檀君神話.花郞道의 敎育思想 孫仁銖 著 文音社 1989
*목 차
Ⅰ. 샤머니즘의 개념과 구조
(1) 샤머니즘의 개념
(2) 한국의 샤머니즘
(3) 샤머니즘에 대한 연구
(4) 샤머니즘의 기능
Ⅱ. 샤머니즘과 청동기문화
(1) 동경(거울)
(2) 동령(방울)
(3) 암각화
(4) 풍요를 기원하는 청동기
Ⅲ. 고조선과 부여의 통치이념
(1) 단군신화의 세계
(2) 부여 건국신화의 세계
Ⅳ. 샤머니즘의 현재적 현상
(1) 인류학적 관점
(2) 민속학적 관점
< 참고자료 >
  • 가격1,5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09.10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771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