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영향이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사회영향
(1) 동조
① Solomon Asch

(2) Moscovici의 사회영향 이론

(3) 권위에의 복종
① Stanley Milgram
② 실제 상황: Hofling과 그의 동료들

(4) 집단 극화

(5) 집단사고

(6) 사회권력
① Stanford 교도소 실험
② 평가

(7) 군중행동

(8) 몰개인화 이론

본문내용

보여주었다.
부정적- 적개심과 타락에 노출되었던 피험자의 경험은 윤리적 측면에서 심각한 문제를 야기하였다. 그리고 가짜 교도관들은 진짜 교도관처럼 보이기 위해서 공격적인 사람으로 가장하였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가짜 교도관들이 보여준 신체적 폭력과 괴롭힘은 단순히 연기였다고 생각할수 있는 것 이상이었다. 마지막으로 중년의 성인들은 Zimbardo가 이용했던 대학생들보다는 모의 교도소의 영향을 더 적게 받을 지도 모른다.
(7) 군중행동
사람들은 혼자 있거나 친구끼리 소집단으로 있을 때보다 군중 속에 있을 때 다르게 행동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예를 들어, 20세기 초반 미국 남부에서 발생한 린치 폭도로 약 2000명의 사람들(대다수가 흑인이었다)이 살해당하였다. 이 잔학 행위에 관련되었던 사람들이 감정이 고조되어 있었던 군중의 일원이 아니었다면 이와 같이 행동하는 일은 발생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Le Bon은 군중행동에 대한 최초의 이론을 제안하였던 프랑스의 저널리스트였다. 그는 군중의 일원이 된 사람을 "문명에서 멀어진 야만인이다 - 즉, 본능에 의해 움직이는 존재... 군중 속의 개인은 바람에 따라 이리저리 움직이는 모래알 속의 다른 낱알들과 함께 섞여있는 한 개의 낱알이다." 라고 표현하였다.
군중은 때로 분별없는 방식으로 행동하는데, 모두가 도피하려고 몰려가다가 많은 사람들이 죽게 되는 강당이나 공공 건물에서의 화재사고와 같은 경우가 그 예이다. 이것은 분별없고 비이성적인 행동처럼 보일지 모른다. 사람들이 모두 천천히 출구로 걸어나갈 것이라고 믿을 수 잇다면 천천히 출구를 걸어 나오는 것이 모든 개인에게 합리적일 것이다. 그렇지만 일반적으로 이런 믿음이 부재하기 때문에, 가장 이성적인 행동은 다른 모든 사람들처럼 행동하여 다른 사람들보다 먼저 건물을 빠져 나오는 것이다.
① 증거
Le Bon이 군중이 어리석음을 과장하였다는 많은 증거들이 나와있다. 예를 들어, Reicher는 경찰과 흑인 공동체가 관련되었던 영국 브리스톨의 St Pauls 지역에서 발생하였던 시민 불복종 사전에 대해 연구하였다. 많은 사람들이 중상을 입고 수 많은 경찰차가 파괴될 정도로 심각한 폭력이 오고 갔다. 그러나 군중의 행동은 상상했던 것보다 매우 통제적이었다. 군중은 경찰을 향하여 폭력을 행사하였지만 지역의 상점과 주택을 공격하거나 훼손하지 않았다. 더욱이 군중의 행위들은 공동체의 중심부에 있는 작은 지역에서만 한정되었다. 군중의 구성원들이 단순히 폭력적으로 행동하려는 의도였다면 아마도 이 폭력은 주변지역까지 퍼져 나갔을 것이다. 군중이 단순히 분별없는 폭력을 보이지 않는다는 또 다른 증거가 Marsh, Rosser와 Harre에 의해서만 보고되었다. 이들은 축구팬의 행동을 상세히 연구하였다. 경쟁 팬들끼리의 무절제한 싸움은 매우 드물게 발생하였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홈팀을 응원하는 축구팬은 경기가 끝난 뒤 경기장 밖으로 원정팀의 팬들을 쫓아내는 것이 그들의 권리인 것처럼 생각하였지만, 경쟁 팬들은 서로 간의 거리를 유지하였다. 축구팬은 종종 폭력적인 언언를 사용하였고 험악한 못짓을 하였지만 이 행위들이 실제 싸움으로 변하는 일은 드물었다.
(8) 몰개인화 이론
폭도행동과 관련된 한 가지 요인이 몰개인화라고 알려진 것이다. 큰 집단이나 군중에서 때로 발생하는 개인 정체성의 상실을 말한다. Diener에 의하면 몰개인화는 자기 자각의 감소로 일어나고 다음과 같은 결과를 가져온다.
· 자기 행동에 대한 감시가 소홀해 진다.
· 자기 행동의 사회적 승인에 대한 관심이 감소한다.
· 충동적인 행동에 대한 구속력이 감소한다.
· 이성적으로 사고하는 능력이 감소한다.
몰개인화 이론을 지지하는 증거는 Mann, Newton과 Innes에 의해 보고되었다. 피험자들은 논쟁 중인 두 사람을 관찰하면서, 군중소리가 나오도록 되어있는 버튼을 누름으로써 그들이 들은 것에 공격적으로 반응할 수 있었다. 어떤 피험자들은 익명이었는데 누구도 그들이 얼마나 공격적이었는지를 알지 못하였다. 다른 피험자들은 분명히 자신들의 정체성이 드러났다. 몰개인화 이론이 예측하는 대로, 정체성이 드러났던 피험자들보다 익명의 피험자들이 더욱 공격적으로 행동하였다.
Postmes와 Spears는 몰개인화에 대한 연구 결과들을 살펴보고 다음과 같은 결론에 도달하였다. : "60여 개의 연구들에서 몰개인화 조작의 효과는 작았다. 더욱이 이 효과는 매우 쉽게 변화하였다. 즉, 대체로 연구결과들은 확실한 집단과정을 설명하는 이론으로서 몰개인화 이론의 지위를 보장해주지 못하고 있다." 몰개인화 이론에서 부족한 것은 무엇인가? Postmes와 Spears에 의하면, 집단의 구성원들이 몰개인화되며느 집단의 특별한 규범을 추종하려는 성향은 더 커지면서 사회의 일반적인 규범이나 규칙을 따르려는 것은 감소한다. 그래서 현재 집단 또는 사회적 규범에 따라서 몰개인화는 집단 구성원들을 반사회적 행동으로 이끌기도 하고 또는 이끌지 않기도 한다. 이 접근 이론은 사회정체성 모델로 알려져 있다.
몰개인화가 반사회적 행동으로 이끌지 않는다는 실제 세계의 예는 1997년 8월 31일 Diana 공주의 죽음 뒤에 있었던 군중의 행동이었다. 이 비극적인 사건은 매우 많은 군중들을 몰개인화되도록 하였다. 그렇지만 이 사람들은 사회규범에 맞추어 행동하였고 매우 엄숙한 형태로 그들의 슬픔과 상실감을 보여왔다.
사회정체성 모델을 지지하는 증거는 축구팬들이 복잡한 규칙과 규범을 이용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던 Marsh등의 연구에서 왔다. 또 Mann등의 연구에서도 그 증거를 찾을수 있다. 이실험의 피험자들에게 집단 규범이 공격적이거나 또는 비공격적이라는 가짜 정보가 주어졌다. 공격적인 집단규범이 존재할 때 피험자들은 더 공격적이었다.
평가
긍정적- 군중 속에서 개인은 종종 몰개인화를 경험한다. 그리고 사회정체성 모델이 예측하듯이, 몰개인화되는 군중의 구성원들은 집단 규범에 매우 호응적이다. 이것이 긍정적 또는 반사회적 행동을 만들어 낼 수 있다.
부정적- 몰개인화 이론은 집단 속에 몰개인화된 개인은 반사회적으로 행동할 것이라고 예측하고 있다. 그렇지 않은 경우도 종종 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09.22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289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