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위생학]감염의 주요 원인이 되는 병원미생물의 종류별 기능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 론

Ⅱ. 본 론
1. 병원성 박테리아와 면역
A) 비특이적 면역
B) 박테리아 감염에 대한 특이적 면역반응
C) 외독소를 생성하는 박테리아에 대한 면역
D) 전신감염에 대한 면역
E) 면역반응에 의한 박테리아 감염질환의 변형
F) 면역 반응으로 부터의 도피기전
2. 바이러스 감염과 면역
A) 비특이적 면역
B) 특이적 면역
1) 항체에 의한 바이러스 사멸
2) 바이러스 감염세포에 대한 세포성 면역
C) 면역반응에 의한 바이러스 질환의 변형
D) 바이러스의 면역반응 도피기전
3. 진균류 감염과 면역
4. 원충 및 연충에 대한 면역
A) 비특이적 면역 반응
B) 특이적 면역 반응
C) 면역반응으로 부터의 도피기전

Ⅲ.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직으로 침입한 기생충은 숙주의 자연방어에 저항성을 갖도록 잘 적응되어있기 때문에 때로는 생존할 수 있다. 무척추동물을 중간 숙주로 하는 기생충은 보체의 교체경로를 활성화하며, 척추동물을 중간 숙주로 하는 기생충은 보체의 용해작용에 의하여 용해되나 저항성을 갖고 있다.
이러한 원인은 보체에 결합하는 표면분자의 상실 또는 붕괴촉진인자 (DAF: decay accelerating factor)와 같은 숙주 조절 단백질의 획득 때문이다.
대식세포는 원충을 탐색할 수 있으나, 많은 병원 미생물은 탐식작용에 저항하거나 대식세포 내에서 성장하기조차 한다. 또한 연충의 피개(tegument)는 호중구와 대식세포의 세포사멸 작용에 대해 저항하는 능력을 갖고 있다.
B) 특이적 면역 반응
원충과 연충의 구조적, 생화학적 특성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기생충 감염은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감염에 대한 면역 반응과는 다른 독특한 특이적 면역 반응을 유도한다. 연충감염은 호산구 증가와 고농도 IgE 생산을 유도하는데 이는 IL-4 와 IL-5를 분비하는 CD4+ 조력 T 세포의 자극 때문이다. 기생충의 만성감염은 T 세포를 기능면에서 다른 Th1 와 Th2 세포로 분화를 유도한다. Schistosoma mansoni에 감염된 생쥐에서 IL-4 항체를 투여하면 IgE 농도의 증가가 억제되며 IL-5 항체에 의해 호산구 증가도 억제된다. 호산구에 의해 매개되는 IgE 항체 의존 세포독성은 연충감염에 효과적인데 이는 호중구와 대식세포에서 생성되는 반응성 산소와 단백질 분해효소 보다 호산구 과립의 주요단백질이 더 독성이 강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IgE 항체는 연충에 결합하고, 호산구는 IgE 항체에 특이적인 Fc 수용체에 의해 옵소닌화된 기생충에 부착되어 호산구를 활성화시켜 과립내용물을 분비하여 기생충을 사멸한다. 또한 다른 항체와 효과세포도 기생충감염 면역반응에 관여하는데,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직접 NO 와 TNF 작용으로 유충을 살해한다. 간에 축적된 S. mansoni 충란은 CD4+ T세포를 자극한 다음 지연형 과민반응으로서 대식세포를 활성하여 충란주위에 육아종을 형성한다.
육아종은 Schistosome 충란을 함유하는데 도움을 주나 만성적인 세포매개성 면역반응과 연관되어 있는 섬유증은 간에서 혈액의 흐름을 방해하고 고혈압과 경화증을 유발한다.
CD4+ 조력 T 세포와 사이토카인은 일부 기생충 감염의 방지와 악화에 관여한다. 예를 들면 Leishmania major 감염에 대한 저항성은 CD4+ T 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TNF 와 TNF-γ와 관련이 있으며, 반면에 조직 병변의 악화는 고농도의 IL-4 생성과 연관성이 있다. Leishmania에 감염되기 쉬운 생쥐는 내성을 갖고 있는 생쥐보다 더 많은 IL-4를 생성하고, IL-4 항체의 투여는 감염되기 쉬운 생쥐에서 감염에 대한 저항성을 유도한다.
반면에 내성 생쥐는 많은 양의 IFN-γ와 TNF를 생성하고, 이들 사이토카인에 대한 항체의 투여를 통해 작용을 억제하면 이들 동물은 감염이 쉽게 된다. 아마도 IFN-γ와 TNF는 대식세포를 활성화 시키고, 원충의 세포내 살해 능력을 증강시키는 것 같다. 고농도의 IL-4는 TNF 와 IFN-γ에 의한 대식세포 활성화를 억제하며 이들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방해하는 듯하다. 또한 세포내에서 복제하는 원생동물은 특이적 세포독성 T 세포를 자극하는 듯하다. 말라리아에 대한 세포독성 T 세포 반응은 원충류의 전파를 억제하는 중요한 방어기전이다.
C) 면역반응으로 부터의 도피기전
기생충의 대부분은 숙주의 면역반응이 일어나기 어려운 곳으로 피하여 기생한다. 세포내 성장 단계에 있는 말라리아 원충은 숙주의 세포내에 존재하여 항체의 작용을 받지 않으며, 선모충및 적리아메바 등은 피낭유충 또는 낭포를 형성하여 숙주의 공격을 피할 수 있다.
일부 기생충은 세포호흡 활성화의 영향을 피하거나, 산소대사 산물을 분해할 수 있다. 항체에 노출되었을 경우 기생충은 항체작용으로 부터 도피할 수 있도록 진화되어 왔다. 수면병을 일으키는 Trypanosoma는 항원변이를 일으켜 체표면의 항원성을 변화시킨다. 변이 기생충은 체표면에 여러 항원성이 다른 당단백을 함유하고 있으며, 또한 일부원충들은 숙주항원을 획득함으로써 면역세포가 숙주와 원충을 구별하지 못하도록 한다.
기생충은 림프구나 조직을 직접 붕괴시켜 면역반응을 억제하기도 한다. 선모충 신생자충은 가용성 림프구 상해인자를 방출하며 주혈흡충은 IgG 분자를 펩타이드로 분해한다.
면역억제의 대부분은 과량의 항원에 의해 대식세포의 기능을 방해한다. 예를 들면 Trypanosoma에 감염된 생쥐는 IL-1 생산과 항원제공능력의 감소가 일어나며, 대식세포는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프로스타글란딘을 분비한다. 이밖에도 T 세포와 B 세포의 면역관용(tolerance)을 유도하여 면역반응을 억제한다
Ⅲ. 결 론
지역사회에서 발생된 감염의 경우처럼 병원감염은 현재 우리의 지식과 기술로는 예방할 수 없는 것이 많다. 병원감염중에서 현재까지도 문제가 되고있는 것은 거의 모든 항생제에 내성을 가진 병원포도상구균(Hospital staphylococci)이다. 수술창상 감염뿐만 아니라 쇠약한 사람들에게 치명적인 폐렴이나 패혈증을 일으킨다. 이병원포도상구균은 신생아에게도 위험하다. 어떤 산과병원에서는 배꼽자른 부위, 피부, 또는 눈등 신생아의 포도상구균 감염이 드물지 않게 있을 수 있으며 모성에게 전파되어 유종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러한 심각한 병원감염을 일으키는 요인으로 가장 주목 받고 있는 것이 의료인의 손이다.
아직 병원감염관리정책이 확립되지 않은 우리나라는 예방가능한 병원감염예가 더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 않을까 추측된다. 따라서 병원감염관리사업은 법적인 문제나 편익계산에 앞서 의료인 또는 의료기관의 기본적 목표인 `환자의 이익'을 위해 시급히 확립돼야 할 과제이다.
참고문헌
병원미생물학, 저자: 김계엽외 8명, 출판사: 현문사
진단병원미생물학, 저자: 이건섭외 6명, 출판사: 고려의학
현대미생물학, 저자: 이연태
진단병원미생물학, 저자: 이건섭외 6명, 출판사: 고려의학
  • 가격2,8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10.04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3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