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 2.0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도서관 개발 - 서울여자대학교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대상.

Ⅱ. 본론
1. 과거의 도서관 서비스
2. 현재 서울여대 도서관의 문제점.
2.1 문제점 파악
2.2 서울여대도서관의 문제점
2.3 웹 2.0 기반에서의 해결방안
2.4. 디지털도서관의 기획 수행을 위한 기술
2.5 프로젝트 수행 시 지향점

Ⅲ. 결론

본문내용

술정보관처럼 학술 온라인 소셜 북마킹 뿐만 아니라 이용자들의 교양 및 취미, 오락을 위한 소셜 북마킹도 도입하면 더욱 좋을 것이다.
(3) Tag(태그) 제공
기존 검색 체제에 태그를 포함시킨다. 태그는 이용자들이 부여한 키워드에 의해 정보를 분류하는 방법이다. 이용자들이 정보에 대한 키워드를 직접 결정함으로써, 자신에게 필요한 정보를 분류 및 검색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이용자가 스스로 직접 가치를 부여한 태그를 통해 보다 이용자에게 의미 있는 검색체제를 지원해야 한다. 이는 집단지성의 적극적인 활용과 이용자 중심의 서비스 제공 모두에 포함될 수 있다.
3.2.4. 다른 기관과의 연계
(1) Open API 활용
Open API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도록 대중에게 공개된 API를 말한다. Open API를 이용하면 자유롭게 새로운 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최근 구글, 네이버, 다음을 비롯한 여러 사이트에서 Open API를 제공함으로써 국내에서도 이를 이용한 새로운 서비스 개발이 가능해졌다. 특히 네이버의 Open API는 검색 서비스와 관련된 많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이에 도서관에서 네이버의 Open API -국어사전, 영어사전, 백과사전 검색, 책 검색, 전문자료 검색, 웹문서 검색 등 - 다양한 검색 서비스를 쉽게 활용한다면 이용자에게 보다 효과적인 검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라고 검색을 하면 영어 원서로 된 컴퓨터 자료들도 많이 검색이 된다. 이때 자료들의 이름에 포함되어 있는 영어 단어를 모른다면 바로 네이버의 영어사전을 활용해서 바로 영어 단어의 뜻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Open API는 이미 다른 이가 만들어 공개한 API를 이용하기 때문에 프로그램이나 서비스 개발에 들어가는 비용이 거의 없다는 장점이 있고, 또 두개 이상의 공개 API를 섞어서 Mash-up 서비스(두가지 이상의 웹 자원을 합쳐서 만든 서비스)를 손쉽게 만들 수 있다. 또한 API를 제공하는 사이트 및 기업 입장에서는 시장 지배력이 확산되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도서관이나 Open API를 제공하는 곳 모두 이익을 얻을 수 있다.
2.4. 디지털도서관의 기획 수행을 위한 기술
웹 2.0을 기반으로 도서관의 변화를 위해서는 기획과 더불어 기술적인 요소도 중요하다. 하지만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시스템적인 요소는 몇 개 되지 않기 때문에 대표적인 기술요소만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Open URL은 개방형 인터넷주소로서 정보 자원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어, 이와 관련된 콘텐츠와 여러 자원을 제공받을 수 있는 확장된 URL이다. URL은 사용자가 요청한 정보 자원만 제공하나 Open URL은 정보 자원에 대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어, Open URL 서버가 이를 해석하여 사용자가 요청한 콘텐츠와 관련된 여러 자원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기반으로 KINS, SFX 등의 업체에서 주로 학술 분야의 정보 자원 연계에 Open URL을 활용한 시스템을 구축하였거나 서비스 중에 있다.
Z39.50은 세계 각국의 디지털 도서관들이 구축하고 있는 상이한 시스템의 단점을 보완해 이기종 컴퓨터나 통신 프로토콜에 상관없이 이용자들이 편리하게 검색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말한다. 즉, 네트워크 상에서 정보검색의 상호 운영성을 지원하는 프로토콜 가운데 도서관 응용 표준을 위한 정보검색 서비스의 정의 및 프로토콜의 설정에 관한 표준이다.
주요 특징으로는 이질적 정보 자원들에 대한 단일적이고 손쉬운 접근과 세션 중심의 안정된 프로토콜이라는 것이다. 또한 클라이언트·서버 모형에 기초한 프로토콜을 통한 이기종 컴퓨터 사이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가능하게 하고, 이용자의 요구에 맞는 다양한 프레젠테이션 구문의 명세화하며 국제적인 합의와 지원 등을 들 수 있다.
주요 기능은 접속 기능, 질의 기능, 정보검색 기능, 결과 세트 삭제 기능, 브라우저 기능, 정렬 기능, 접근 제어 기능, 자원 관리 기능, 설명 기능, 확장 서비스 기능, 해제 기능 등이다.
2.5 프로젝트 수행 시 지향점
도서관 프로젝트는 도서관만이 이룰 수 있는 것이 아니다. 사서와 웹 기획, 웹 디자인, 기술진이 함께 만들어 가는 CFT(Cross Functional Team)이다. 즉, 각 분야의 경계를 초월하여 조직한 특별한 업무를 수행해 만든 프로젝트 팀이다. 이런 팀에서는 자칫 기획 분야가 리더가 되어 프로젝트를 수행할 수 있겠지만 이상적이니 지향점은 사서가 리더(중심)이 되어 프로젝트를 이끌어가도록 해야 한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사서는 도서관과 관련한 전문지식은 물론이고 기술적인 능력과 문제해결능력, 통제 능력, 지속적인 학습, 다른 분야에서의 협력정도,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Ⅲ. 결론
이제까지 웹 2.0을 기반으로 한 디지털도서관의 개발을 서울여자대학교를 중심으로 알아보았다. 앞서 서론에서도 말했지만 웹 2.0과 도서관의 핵심은 이용자라는 측면에서 맥락을 같이 한다. 따라서 웹2.0과 도서관을 접목하여 이용자가 참여하고, 집단지성에 기초한 정보를 공유하며, 기술적으로 발전한 디지털도서관을 기획하였다.
하지만 이런 기획 시에 왜 디지털도서관을 개발하는지 목적을 가지고 해야 한다. 뚜렷한 목적의식이 없으면 결국 흐지부지 돈만 먹는 쓰레기 기획이 될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미래를 내다보고 장기적인 데이터를 대비하고, 새로운 기술은 계속적으로 발전하기 때문에 확장, 호환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두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하나의 버전에 무조건적인 투자는 옳지 않다.
마지막으로 어쨌든 아무리 기술이 발전하더라도 그 기본 의식 속에는 전통적인 도서관의 서비스 정신을 가지고, 이용자가 중심이라는 것을 강조하여 함께 참여하는 도서관&디지털도서관이 되어야 할 것이다.
*목 차
Ⅰ.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대상.
Ⅱ. 본론
1. 과거의 도서관 서비스
2. 현재 서울여대 도서관의 문제점.
2.1 문제점 파악
2.2 서울여대도서관의 문제점
2.3 웹 2.0 기반에서의 해결방안
2.4. 디지털도서관의 기획 수행을 위한 기술
2.5 프로젝트 수행 시 지향점
Ⅲ. 결론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7.10.07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7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