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평의 장단점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20세기 프랑스 문학

Ⅲ. 신비평
1. 신비평의 개념
2. 신비평의 특징
3. 미국
4. 프랑스어권

Ⅳ. 신비평의 역사적 발달
1. 20세기 초기(모더니즘)의 시대적 배경
2. 1940년대의 신비평의 근원

Ⅴ. 신비평의 장단점
1. 신비평의 장점
2. 신비평의 단점
3. 의도의 오류와 감동의 오류

Ⅵ. 결 론 - 신비평의 장단점 분석을 통한 나의견해


<참고 문헌>

본문내용

복잡다단한 디테일들이 집적되어 빽빽하게 만든 것, 즉 결 자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리처즈가 말하는 취의는 랜섬의 논리적 구조이고 매개어는 결인 셈이다. 나의 연인은 붉디붉은 장미에서 논리구조는 연인, 아가씨이고, 결은 장미(곱다, 빨갛다, 향기, 가시 : 구체적 경험 이룬 결의 덩어리)이다. 결국 랜섬은 시가 단순한 논리적 구조에 복잡다단한 세부적 결이 얽혀 있는 형태라고 보는 것이다.
시를 사상, 감정 전달 수단으로 보는 것은 잘못이라고 말하고 낭만주의 시들이 그런 전달의 시라고 비판한다.
그는 형이상시야말로 내포와 외연이 조화된 텐션의 시라고 말한다. 텐션이란 extention(밖으로 뻗음, 외연)과 intention(안으로 모임, 내포)의 접두사 in과, ex를 잘라버린 것으로 테이트에 의하면 시의 의미는 그것의 긴장이라는 것이다. 내포와 외연이 충만히 조직된 몸이라는 것이다. 테이트는 내포, 외연의 이분법 받아들이면서도 그 긴장관계를 말하고 있는 것이다. 문학 내포적 성격강하지만 외연 분리 불가능하고, 그런 긴장없는 시가 바로 전달의 시라는 것이다.
금이 공기처럼 얄팍이 늘어나듯 이는 텐션이 있는 이미지이다. 보조관념 금은 물질, 유한적이며 따라서 외연이다. 연인들의 영혼은 그 내포에 해당된다. 그것은 비물질적이고, 무한하다. 외연은 문자적 의미 추구하지만, 내포는 비유적 의미를 추구, 작품 내부로 향한다. 결국 안과 밖으로 향하는 두 힘의 긴장, 균형관계가 텐션이다. 이질적인 두 요소가 한 작품 내에 공존하기 위해서는 힘의 균형이 이루어져야 한다. 내부적 긴장이 없으면 목표로 곧장 흘러가 버릴 것이다.
신비평은 프랑스 구조주의, 러시아 형식주의 등과 같이 문학의 언어적 조건을 중심으로 전개되는 형식론, 구조론의 문학이론이다.
이는 실증주의 철학에 영향을 받은 역사·전기적인 문학연구에 대한 비판으로 등장하여 작품을 과학적이며 체계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하여 비평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며 문학을 교실에서 가르칠 수 있는 과목으로 만든 공적이 있다. 특히, 서양의 문학에 대한 마땅한 이론적 도구가 없던 해방 후 우리나라 문학교육에서는 더욱 그 공적이 크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신비평적 개념이 곧 문학의 본질 마냥 자리를 잡게 됨으로써 교사 위주의 주입식 교육으로 학습자를 소외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 학습자가 문학 작품을 읽을 때 인지처리 과정이나 의미구성에 대한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제공하지 못하며 텍스트 중심, 지식 편향의 폐쇄회로 안에서 학생들의 문학경험을 단절시켜 문학교육이 학습자와 문학을 괴리시키는 문제점을 가진 이론으로서 비판받고 있다.. 더욱이 그것이 순수문학/보수적 민족문학중심의 '정전(正典)'과 결합하여 "정전'을' 신비평'으로' 가르칠 수 있고 신비평'을' 정전'으로' 가르치는 이중적 결합을 통해 학습자들에게 왜곡된 문학상(文學像)을 심어주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지적되고 있다. 다음 표는 이러한 신비평을 단점을 정리한 것이다.
신비평에 기초한 텍스트 중심의 문학교육의 실제와 비판점
신비평의 주요 신념
중요한 교육 실제
주요 비판 사항
텍스트가 주요 관심사다.
자세히 읽기, 한 줄 한 줄 설명하기
학습자의 의지나 안목이 무시됨.
텍스트는 예술 작품이다.
비유어를 이해하기 위한 텍스트 분석
문학적 기교에 편중하여 문학과 사회, 역사와의 관련성을 놓침.
문학 비평가들이 문학 작품에 대한 객관적이고 보편적인 판단을 한다.
학생들이 문학 작품에 대해 "정확한"해석을 내리도록 훈련시키고, 작품에 대해 비평적으로 쓰는 것을 강조한다.
교사나 권위 있는 비평가에 의한작품에 대한 지식을 일방적으로전달하게 되어 비판적 사고를 약화시키고 배운 지식을 절대화함.
학생들은 문학에 대한 객관적 판단을 내리려고 한다.
텍스트로 인해 독자에게 일어나는 정서에 주목하지 않고, 텍스트 자세히 읽기를 강조한다.
개인들의 다양한 삶을 바탕으로 한 문학 정서 체험을 무시함으로써 문학교육이 문학을 멀어지게 하는 요인이 됨.
이 접근법에서는 설명과 비평적 진술들이 중요하다. 작가의 의도, 역사, 문화적 맥락 등 문학이외의 관심사는 별로 중요하지 않다.
유명한 문학 비평가들이 쓴 것대로 텍스트를 읽고 비평하고, 직접 교수법에 의존한다.
획일화되고 정형화된 문학 감상과 해석을 통한 하나의 정답만을 유도하여 문학교육이 텍스트에 대한 지식을 암기하는 것이 됨.
표에서 보듯 신비평에 의거한문학교육의 특성은 문학 텍스트가 작가나 사회로부터 자율적으로 독립해 있고, 일상 언어와 구별되는 예술언어로 고도로 형식화되어 있는 객관적 실체이다. 따라서 학습자는 전문적인 비평가나 비평가의 관점과 지식을 공유하고 있는 교사의 안내에 따라 텍스트를 꼼꼼하게 '정독'하는 데 있다. 여기서 학습자의 주체성이나 개인적 경험이 텍스트와 연계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볼 수 있다. 더욱이 입시제도와 획일적인 교육과정의 지배를 받고 있는 우리나라의 사정에서는 이러한 신비평적 문학교육은 문학 지식의 생성이라기보다는 고정된 지식을 전달하기에 급급해 왔다고 볼 수 있다. 곧, 텍스트와 텍스트에 대한 공인된 해석을 교사에 의존해 전수받는 것이 문학교육이 되어 왔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이것이 '신비평은 가치 있으나, 교육 제도가 문제이다.'는 식으로 해석되어서는 곤란하다. 신비평 자체가 문학 텍스트에 대해 독자 요인을 경시하고, 예술 지상 주의적 형식론에 갇혀 있음으로써 우리의 지극히 비정상적인 교육제도와 조우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참고 문헌>
브룩스, 이경수 역, 신비평과 형식주의, 고려원미디어, 1991
엘리자베드 프로인드, 신명아 역, 독자로 돌아가기(신비평에서 포스트모던 비평까지), 인간사랑, 2005
김현, 프랑스 비평사, 문학과지성사, 1991
박승희, 시 교육과 문학의 현재성, 새미, 2004
크리스티앙 들라캉파뉴, 조현진 역, 20세기 서양 철학의 흐름, 이제이북스, 2006
조이스 캐롤 오츠, 송경아 역, 작가의 신념, 북폴리오, 2005
이상우,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2002
영미문학의 길잡이, 영미문학연구회, 창작과비평사, 2001
  • 가격4,1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7.10.08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9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