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비평의 장단점에 대한 개인적인 의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전통 비평
1. 전통 비평의 개념
2. 전통비평의 선행조건

Ⅲ. 전통비평의 종류
1. 역사 및 전기 비평
1) 이론적 배경: Sainte-Beuve와 Taine의 환경론
2) 역사 및 전기 비평의 방법
3) 역사 및 전기적 비평의 여섯 가지 참조 자료
2. 도덕, 철학 비평

Ⅳ. 전통비평의 장단점
1. 장점
2. 단점

Ⅴ. 결 론 - 나의 의견


<참고 문헌>

본문내용

판단할 수 있다.
효용성은 수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기준으로 하여 평가하는 것이다. 텍스트가 수용자에게 주는 영향으로 즐거움과 교훈 등이 있다.
얼마나 텍스트가 수용자에게 독서나 시청의 즐거움을 주는지 그리고 얼마나 교육적인 기능을 담당하는지에 따라서 가치를 평가할 수 있다.
창조성은 주로 작가와의 관계에서 논의되는데, 얼마나 개성적이고 창의적인 표현을 하는가를 의미한다. 창조성은 낭만주의 예술의 평가기준이지만, 문학뿐만 아니라 현대 대중문화에서도 중요한 기준임에 틀림없다.
복합성과 일관성은 텍스트의 수준에서 구성과 기술적 표현이 잘되어 있는가를 의미한다. 우리가 흔히 "구성이 좋다"거나 "잘 짜여져 있다"라고 말할 때, 복합성과 일관성의 기준을 사용해서 평가한 것이다.
비평의 기능 중의 하나가 수용자에게 텍스트에 대한 이해와 설명의 폭을 넓히는 것이라면, 비평이 텍스트에 대한 기술을 넘어서서 수용자로 하여금 무엇인가 성찰하도록 이끄는 것도 중요하다.
좋은 비평은 수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삶, 제도, 사회에 대해 반추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성찰성은 텍스트와 수용자 사이, 그리고 수용자와 사회 사이를 이어주는 중요한 비평의 요소이다.
비평은 사전적 의미로 '구분하다', '식별하다', '권위 있는 의견을 말하다' 등의 뜻을 갖고 있다. 이것은 특정 텍스트를 기술(description)하고, 분석(analysis)하며, 해석(interpretation)하고, 평가(evaluation)한다는 것이다.
비평이란 용어의 일반적 사용은 '결점을 찾는 것'(fault-finding)이었다(Williams, 1976, pp. 84∼86). 따라서 비평은 부정적 판단을 의미하는 경우가 지배적이었다.
'결점 찾기'는 비평의 용어가 폭넓게 사용되기 시작한 17세기 이후부터 현재까지도 받아들여지고 있다.
따라서 우리가 다른 사람이나 대상을 비평한다고 할 때, 비평받는 사람은 불쾌하게 생각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긍정적이거나 건설적인 말보다는 부정적이거나 파괴적인 의미가 지배적이기 때문이다.
전통 비평은 문학작품이 그 자체만으로는 완전하게 탐구할 수 없다는 점을 근본적인 태도로 한다.
즉, 모든 것의 본성은 그 역사적 발전의 관점에서 완전히 이해될 수 있다는 견해로 역사주의는 문학작품과 그것을 생산한 사회적 · 문화적 관계를 다룬다.
역사주의 비평은 시간적 순서로 보면 현대비평이기 보다는 전세기에 성행했던 근대비평에 속한다. 그렇지만 사실 그 속성상 과거는 물론 오늘까지도 가장 많이 통용되고 있는 전통적인 문학비평방법이다.
즉 역사주의 비평은 근대에 해당하는 19세기에 제기되어 성행했던 문학연구 방법이면서 현대에도 널리 활용되고 있는 현대비평의 한 가지인 셈이다.
문학연구에 대한 역사적 방법은 오래 전부터 있어 왔으나 17세기 및 18세기에 드라이든(J. Dryden)이나 존슨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다.
드라이든은 모든 시인이 한 시대에 속한다고 믿고 「극시론」에서 부분적으로나마 역사적 비교적인 원리에 입각하여 논했다.
또 존슨은 "현재를 바르게 판단하기 위해서는 현재와 과거를 대비시켜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이어 18세기 이탈리아의 비코 (G. Vico), 헤르더(J. B. Herder) 가 역사적 비평의 토대가 되는 이론을 전개하였다.
19세기 초엽 헤겔은 일련의 지배적인 관념의 영향 아래 부단히 모습을 바꾸는 커다란 유기체로서, 또한 사회의 표현으로서 국민문학을 논한 바 있다.
이러한 역사적 견해가 19세기 중엽 쌩뜨 뵈브와 떼느에 이르러 구체적인 주장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쌩뜨 뵈브는 1849년 이후 신문에 연재한 기사를 모은 『월요한담 Causeries du lund』(15권, 1851 1862), 『속(續)월요한담』(13권, 1863 1870)에 의하여 19세기 프랑스 문예비평에 부동의 지위를 굳혔다.
그는 "문학의 박물학을 설정하려는 것이 나의 의도" 라고 말하는데, 이 말에서 그의 과학주의적 태도가 엿보인다. 그는 특히 개인의 역사, 즉 전기를 이용하여 문학적 현상을 관찰 · 해석하여 성공을 거두었는데, 그의 전기적 방법은 개인을 지배 결정하는 사회적 환경의 관찰에 주안 하였다.
떼느는 쌩뜨 뵈브의 실증주의적인 면을 발전 · 체계화한 비평가이다.
그는 문서 그 자체는 부산물에 지나지 않고 문서 뒤의 사람을 발견하기 위한 수단의 의미밖에 없다고 말한다. 떼느는 『영문학사』(History of English Literature,1863)에서 '인종'과 '환경'과 '시대'라는 요소가 서로 어울리고 작용한 것에 의하여 역사나 문학이 결정된다는 결정론을 편다.
떼느와 쌩뜨 뵈브의 이론들은 유럽 대륙에 큰 영향을 주었으나 30년대에는 형식주의자들의 공격이 극에 달하고 마르크스주의 비평가들에 의해 공격을 받아 40년대에는 퇴조하였다. 그러나 50년대에 이르러 다시 소생하여 오늘에 이르러서는 목적과 전략을 새로 수정하여 과거의 명성을 회복하고자 하고 있다.
전통비평은 문학을 예술작품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는 많은 문제점이 지적될 수 있다. 문학작품의 출처에 대한 지나친 예비적 조사는 수단인 동시에 목적이 되기 쉬웠고, 따라서 원천과 가치가 혼돈되는 잘못을 저지를 위험마저 있다는 것이다.
또 문학작품 위에 너무 많은 자료를 쌓아 놓음으로 해서, 작품의 형식·구조·균형 등의 미적 의미가 흐려졌고, 작품의 과거성에 관심을 집중하기 때문에 그 현재성에 대한 감상이 소홀하다는 비난도 있었다.
그러나 전통비평이 지식의 단편적 축적에 자족하지 않고, 참신한 통찰력과 세련된 분석의 기술을 더욱 심화시킨다면, 작품분석과 가치평가에 대한 이 비평방법의 기여도는 더 한층 높아지리라고 생각된다.
<참고 문헌>
이상우, 문학비평의 이론과 실제, 집문당, 2002
김혜니, 비평문학의 이해, 푸른사상, 2003
머레이 크리거, 윤호병 역, 비평의 이론, 현대미학사, 2005
김혜니, 외재적 비평문학의 이론과 실제, 푸른사상, 2005
한용환, 서사 이론과 그 쟁점들, 문예출판사, 2002
김영건, 철학과 문학비평, 그 비판적 대화, 책세상, 2000
  • 가격3,0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7.10.08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09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