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아장커 감독의 작품세계와 현실반영의식에 대한 고찰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지아장커와 제6세대 감독
1-1. 지아장커 영화의 시작과 초기작
2.《소무小武》- 지아장커 영화의 시작
3. 《플랫폼 站台》,《임소요 任逍遙》
3-1.《플랫폼 站台》
3-2. 《임소요 任逍遙》
4. 《세계 世界》
5. 《스틸라이프 山峡好人》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매개로써 이른바 '샤오덩(小)신드롬'을 일으키게 된다.
 《플랫폼》에서 라디오를 들고 와서 디스코 파티를 벌이는 장면에서 삽입된 노래도, 아무도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트럭 위에서 춤을 추는 장면에서 삽입된 노래도 번안곡이다. 번안곡 역시 위의 요소들과 같은 선상에서, 자본화와 근대화속의 부적응과 혼란을 드러내고 있으며 동시에 전등아래의 그림자와 같은 소외의 정서를 그리고 있다.
   한편 지아장커는 예술 영화감독으로 점차 인지도를 얻어가고 있으나, 국제 영화제를 의식한다는 비판적인 의견도 제기되고 있다. 그가 비판하는 제5세대 감독 장이모와는 또 다른 색깔의 오리엔탈리즘을 이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아장커는 장이모처럼 웅장한 중국, 서양인들이 매력을 느낄만한 동양적 색채를 그려내는 데에는 관심이 없다. 그는 영화제를 의식한다는 의견에 대해 극구 부인한다. 하지만 고의의 여부와는 무관하게 그가 다루는 아름답지 못한 중국의 현실, 변화를 맞닥뜨린 평범하고 사실적인 개인의 모습은 서구인들의 흥미를 끌 수 있는 또 다른 면의 모티프인 것이 사실이다. 최근 노벨문학상 수여의 경향도 그렇고, 아시아나 제 3세계에서 변화 속에 사라져가는 전근대적인 것들은 서구인에게 낯설게 다가가 호기심을 발동시킨다. 장이모처럼 직접적이고 표면적으로 오리엔탈리즘을 이용하는 것도 동양인인 우리가 보기에는 다소 불편하지만, 원주민이나 소수민족, 기타 다양한 각도에서의 소수자와 약자들에 가까이 다가가 은근히 감정을 건드리는 것은 비판적인 시각에서 볼 때는 더욱 가증스러운 기만일 수도 있다. 이렇게 그에 대한 비판의 소리도 없지 않은 것이 사실이나, 이것은 한편 지아장커의 입지와 영향력의 변화를 증명하는 것이기도 하다. 실제로 그는 2006년 베니스 영화제에서 최고상을 받았고 왕가위, 후샤오시엔 등 쟁쟁한 선배들에게서도 주목할 만한 감독으로 손꼽힘은 물론 일본의 기타노 다케시의 지원을 받고, 우리나라에서는 영화평론가 정성일의 아낌없는 지지를 받고 있다.
그는 2006년 북경대에서 《스틸라이프 山好人》에 대한 강연회를 가지기도 했는데, 중국현실에 대한 설명도중 눈물을 흘려 이슈가 되기도 했다. 이 강연회는 지아장커에게 있어 적지 않은 의미를 갖는 자리였다. 그의 첫 단편 《샤오산의 귀가 小山回家》는 북경전영학원 학생 기숙사 618호 좁은 방에서 첫 상영되었던 바 있다. 영화가 끝난 후 사람들은 별다른 말이 없었다. 그들은 이렇게 거칠고 다듬어지지 않은 영화를 받아들일 수 없었다. 괜찮았다 혹은 형편없었다는 반응도 없이, 그저 냉담하기만 했다. 같은 작품의 첫 외부 상영이 바로 북경대에서 있었다. 상영이 끝난 후 학생들은 찬반 양측으로 나뉘어 격렬하게 토론을 벌였다. 어떤 사람은 아주 좋아했고 어떤 사람은 아주 싫어했다. 첫 작품을 완성한 감독에게 있어 북경대에서의 그 상영은 반응이 있었다는 것만으로도 충분했다. 이로부터 10년 후 자신의 다섯 번째 장편을 들고 북경대를 다시 찾게 된 것이다.
올해 들어 제6세대 감독들의 블록버스터 제작 움직임이 보이고 있다. 그동안 소액의 제작비로 영화를 찍어온 제6세대 감독들이 과연 수백 억 원대의 블록버스터를 감당할 능력이 있는지, 혹은 참담한 흥행 기록을 내거나 아예 국내 관객과 만나보지도 못한 그들이 과연 어떻게 관객을 불러 모을 것인지에 대한 질문과 의심은 영화제작자의 숙제이다. 경제적인 지원이 영화적 표현 영역을 확대해 준다는 점은 긍정적이나 제6세대만이 가진, 격변하는 중국사회의 현실에 거침없이 렌즈를 들이대는 용기가 사라질까 걱정이다. 중국정부가 원하는 오리엔탈리즘적인 웅장한 영상미와 탐미주의적 이미지는 이미 중국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제6세대는 알고 있을 것이다.
과거 노신이 그랬듯이 엄중한 정부의 통제 속에서도 지아장커는 자신만의 감독관을 유지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욱 진일보한 감독이 되리라 생각한다. 중국의 현실을 생각하며 뜨거운 눈물을 흘릴 수 있다는 것만으로도 그는 중국 영화의 ‘현재’이다.
Ⅳ. 참고자료
1. 참고문헌
슈테판 크라머, 『중국영화사』(서울 : 이산, 2000)
이종희, 『중국 영화의 어제, 오늘, 내일』(서울 : 책세상, 2000)
루홍스, 슈샤오밍,『차이나 시네마』(서울 : 동인, 2002)
장기철(기획), 이병원(편집), 『지아장커, 중국 영화의 미래』(서울 : 현실문화연구, 2002)
임대근,『중국영화 이야기』(서울 : 살림, 2004)
최환,『중국영화의 이해와 감상』(영남대학교 출판부, 2005)
청차오저, 『중국 경제성장의 비밀』(서울 : 지상사, 2005)
“플랫폼에서 자유를 기다리다”, 중국 정부 블랙리스트 지아장케의 《플랫폼》『씨네21』(2000.09.19)
“돈과 상관없이 정신은 풍족할 수 있다”, 유릭와이(余力) 인터뷰,『씨네21』(2003.10.6)
“지아장커의 《스틸라이프》”, 영화 평론가 정성일과 지아장커의 인터뷰,『씨네21』(2006.11.03)
“정중동으로 흐르는 삶. 지아장커의 《스틸라이프》” 김영진 편집 위원『FILM 2.0』(2007.06.18)
2. 웹자료
김소영, 한겨레 영화세상 http://hanimovie.cine21.com/Movie/movie_view.php?movie_id=2527
『임소요에 대한 모든 단상』http://blog.naver.com/gs0135?Redirect=Log&logNo=80009138238
《세계》, http://www.hbol.net/world/world.jsp?arg=index(중문웹)
지아장커, http://ent.sina.com.cn/f/jiazhangke/index.shtml(중문웹)
《三好人》 北大点映 樟柯度落 http://ent.sina.com.cn/m/2006-12-04/ba1356175.shtml (중문웹)
*목 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지아장커와 제6세대 감독
1-1. 지아장커 영화의 시작과 초기작
2.《소무小武》- 지아장커 영화의 시작
3. 《플랫폼 站台》,《임소요 任逍遙》
3-1.《플랫폼 站台》
3-2. 《임소요 任逍遙》
4. 《세계 世界》
5. 《스틸라이프 山好人》
Ⅲ. 결론
Ⅳ. 참고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07.10.18
  • 저작시기2007.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24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