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드민턴의 모든것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배드민턴의 모든것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유래와 역사

2. 장비

3. 규칙

4. 기본 예절

5. 기초 기술
(1) 그립 쥐는 법
(2) 준비 자세
(3) 풋워크
(4) 서비스
(5) 서비스 리시브 요령
(6) 스트록(stroke)

6. 응용 기술
(1) 단일형
(2) 복합형
(3) 삼각 시스템
(4) 복식하는 방법

본문내용

틀콕 의 비행 시간이 긴 만큼 어느 정도 대처할 수 있는 여유가 있다. 의식적으로 앞쪽에 비중을 둔 동작을 취하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포핸드쪽 구석에서 스 트레이트로 스매시를 했다고 하자. 이 경우 자신의 백 사이드(백핸드쪽 뒤)에 빈 공간이 만들어진다. 상대는 그곳을 노리고 크로스로 반격할 확률이 높기 때 문에 크로스에 대비해서 자세를 취하는 것이 원칙적이다. 즉 홈 포지션 부근으 로 되돌아오는 것이 기본이라고 할 수 있다. 스매시 후 홈 포지션으로 되돌아 오는 동작은 비교적 쉽다. 스매시를 한 후에는 그 자리에서 멈추지 말고 타구 를 친 기세를 이용해서 홈 포지션으로 되돌리는 것이 원칙이다.
. 커트가 들어 온 경우
이 경우는 셔틀콕을 보기보다는 상대의 라켓 면이나 동작의 균형을 봐야 한 다. 커트는 치기 전까지 스매시나 클리어와 거의 같은 자세이고, 치는 순간에 타점이나 손목 회전이 다른 정도이다. 클리어로 예상한 순간에 빠른 스매시 타 구가 들어오면 이미 때는 늦는다. 상대의 자세를 보고 어떤 타구가 들어올지 판단 할 수 있다면 순간적으로 더 빨리 움직일 수 있다. 커트의 경우 셔틀콕은 네트를 넘어서면 급격히 감속하여 떨어진다. 역시 앞쪽에 신경을 쓰는 것이 좋 다. 뒤쪽으로 오는 타구는 아직 쫓을 여유가 있기 때문이다.
. 앞을 예상했는데 뒤로 반격 당한 경우
헤어핀으로 공격했을 때 상대도 역시 헤어핀으로 응수해 올 것이라 예상과 달리 로브로 들어오거나, 앞으로 딛었던 스텝을 뒤로 급히 빼야 할 경우가 이 에 속한다. 이럴 경우에는 리 액션 스텝을 사용하여 반대 방향으로 딛은 스텝 의 반동을 이용하여 타구를 향해 이동하는 것이다. 또한 네트 가까이에 섰을 때라도 어느 정도는 뒤쪽에 신경을 써야 한다.
. 서비스 리턴이 포핸드 쪽으로 왔을 때
복식에서 숏 서브를 친 경우를 생각해 보자. ⓐ가 서브를 치고, ⓑ가 친 리턴 이 A로 왔다면 ⓐ는 손을 내밀기 위해갈 것이다. 치기 쉬운 타구라면 상관없겠 지만, 정확하게 A로 낮게 들어오면 파트너인 ⓒ에게 맡기는 것이 다음동작에 유리하다. B로 들어온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 역할 분담이 정확히 구분되지 않 으면 리턴A, B에 대한 반응이 늦어지게 된다. ⓐ가 대처하는 리턴은 색을 칠 한 부분, 나머지 부분이 ⓒ의 타구 등으로 미리 정해 놓으면 재빨리 대응할 수 있다. 위에서 예로 든 경우에 모두 해당하는 것으로, 재빠른 반응을 위해서는 첫 스텝이 가장 중요하다. 이 첫 스텝을 빨리 딛기 위해서 빠른 스텝 즉, 퀵스 텝을 반드시 시도해보자. 이것은 타구 방향으로 내딛기 전에 그 자리에서 양발 로 조금씩 작고 재빠르게 예비 스텝을 딛은 후, 첫 스텝에서 속도를 내는 것이 다. 이는 몸에 리듬을 살려주는, 본격적인 풋워크를 위한 도움닫기라도 할 수 있다. 리 액션 스텝과 달리 타구 반대 방향으로 내딛는 것이 아니므로 더 빨리 움직일 수 있다.
6) 한 명이 계속 공격당할 경우
체력이 많이 떨어지거나 리시브가 약한 파트너가 집중적으로 공격당하는 경우 는 흔히 있는 일이다. 이때 상대편은 상대적으로 약한 파트너를 좌우로 달리게 하거나 페인트로 속이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공격을 가하기 마련이다. 이에 대응 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가 의도적으로 포지션을 바꾸는 것이다. 예를 들어 후위 에서 계속 움직이다 체력이 떨어졌을 때는 상대의 네트 앞에 떨어뜨린다. 이후 자신이 앞으로 나오면 파트너가 후위로 빠질 것이다. 리시브에 약한 백핸드 쪽만 공격당할 때는 오른쪽 사이드로 돌고, 백핸드 쪽은 파트너의 도움을 빌리면 된다. 복식에서는 파트너의 기량이나 체력, 동작 전환 등 상황에 따라 서로를 도와주는 공동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
7) 파트너가 지치거나 실수했을 때
톱 앤 백의 경우 이동 거리가 길고 스매시 등의 풀 샷이 많기 때문에 전위보다 후위 쪽이 훨씬 힘들다. 따라서 파트너가 지친 것 같으면 수시로 포지션을 바꿔 주는 배려가 필요하다. 예를 들면 타임을 걸어 약간의 휴식시간을 갖도록 하는 것도 좋다. 이러한 경우는 상대의 리듬을 무너뜨릴 수도 있는 것이다. 파트너와는 몸과 마음이 일치해야 한다. 아무리 파트너가 실수를 해도 그것은 자신의 책임이 기도 하다. 나무라거나 책망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그보다는 의기 소침해 있 는 파트너를 격려하면서 다음 기회에 만회하자고 기운을 북돋아 주는 것이 중요하다.
8)파트너의 특징에 따라 주의할 점
. 키가 큰 파트너일 경우
키가 큰 선수가 앞에 있는 것이 유리하다. 일반적으로 키가 보통인 경우는 톱 앤 백의 후위에서는 것이 원칙이다. 후위에서 하는 스매시의 위력은 키와는 관계가 없으며, 그보다는 키가 큰 선수가 앞에 있는 것이 상대에게 위압감을 줄 수 있다. 조금만 쉬운 타구를 치면 바로 반격당하지 않을까 하는 심리적인 압박감도 크다. 심리적 뿐만 아니라 키가 큰 사람 쪽이 찬스 볼의 영역이 넓은 것이 사실이다. 또한 팔과 다리의 길이가 조금이라도 긴 선수는 그것만으로도 수비 범위가 넓어진다. 물론 기술이 없으면 안 된다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파트너가 키가 큰 선수라면 전위에 세워 보자.
. 공격형과 수비형일 때
특별히 구분 할 필요는 없다. 일반적으로 끈질기게 받아치는 선수를 수비형, 파괴력 있는 선수를 공격형이라 한다. 배드민턴은 공격과 수비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는 경기이다. 따라서 수비형 선수라도 강타를 날리지 못하면 상대의 실수를 유도 할 수 없고, 공격형 선수라도 리시브가 약하면 공격 기회조차 만 들 수 없다. 공격력, 수비력 중 어느 한쪽만 잘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리시브에 강한 쪽을 수비형, 강타를 잘 치는 쪽을 공격형이라고 한다면 수비형 은 파트너가 치기 쉬운 타구가 되돌아오도록 구종에 신경을 써준다. 네트 쪽으 로 떨어뜨려 상대편이 로브로 치게 하는 등 여러 가지로 파트너를 도와줄 필요 가 있다. 이에 반해 공격형은 힘으로만 치지 말고 완급을 잘 조절하는 것이 필 요하다. 지치지 않도록 힘을 잘 배분하여 리시브할 여력도 남기도록 하자.
※ 참고 사이트
- 대한 배드민턴 협회
- 국제 배드민턴 연맹
- 디셉션
- 배드민턴 지도자 협회
  • 가격3,000
  • 페이지수34페이지
  • 등록일2007.11.20
  • 저작시기2007.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766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