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크로드(Silk Road)와 동서 문화교류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실크로드(Silk Road)와 동서 문화교류
◎ 목 차 ◎
1.소개글

2.실크로드
Ⅰ.실크로드란 무엇인가?
Ⅱ.실크로드의 실태

3.고대의 동서 문화교류
Ⅰ.스키타이족의 활약
Ⅱ.알렉산더대왕의 동방원정
Ⅲ.헬레니즘의 탄생

4.서역개통
Ⅰ.장건의 서역대장정
Ⅱ.서역개통의 의의
Ⅲ.서역문물의 동점
Ⅳ.서역제국과 불교의 전래

5.당대의 동서 문화교류
Ⅰ.당대의 서역경영
Ⅱ.당대의 외래종교
Ⅲ.아랍세력의 중앙아시아 진출과 실크로드
Ⅳ.당대의 문화

6.10~12세기의 동서 문화교류
Ⅰ.10-12세기의 동아시아 정세
Ⅱ.10-12세기의 실크로드1
Ⅲ.10-12세기의 실크로드2
Ⅳ.팍스 몽골리카

7.몽골제국과 동서 문화교류
Ⅰ.몽골제국기의 실크로드1
Ⅱ.몽골제국기의 실크로드2
Ⅲ.몽골제국기의 동서 문화교류

8.티무르제국의 영광
Ⅰ.티무르제국기의 동서 문화교류1
Ⅱ.티무르제국기의 동서 문화교류2

9.명 청대의 동서 문화교류
Ⅰ.해양로의 발전과 유럽의 중국진출
Ⅱ.실크로드의 변모

10.신라와 서역간의 문물교류
Ⅰ.신라와 서역간의 교역
Ⅱ.신라에 전래된 서역문물1
Ⅲ.신라에 전래된 서역문물2
Ⅳ.신라와 서역간의 인물교류

11.결론

12.참고자료 및 참고사진

본문내용

동서 문화 교류에서 개척자적 및 선구자적 역할을 수행하였다. 한문화와 이슬람문화와의 교류는 곧 세계적 범위에서 동서 문화교류를 뜻하며 접촉이나 이해 증진은 곧바로 동서 문화교류의 촉진에로 이어졌다.
또한 혜초는 8세기 무렵의 인도와 중앙아시아, 페르시아와 아라비아에 관한 생동하고도 정확한 기술을 남겨 놓음으로써 중세 세계사 연구에 귀중한 자료를 남겼다. 그는 인도뿐만 아니라 중앙아시아와 서부아시아의 여러 나라들을 역방하면서 견문이나 전문에 의거해 비록 간략하기는 하지만 각국의 역사, 문화, 정치, 풍속, 물산, 종교 등을 사실적으로 기술하였다. 그리하여 그의 왕오천축국전은 8세기의 이 지역 관련서적으로는 그 내용의 다방면성과 정확도에서 단연 으뜸가는 명저로 평가받고 있다.
②사마르칸드 사행
소련 우즈베키스탄의 사마르칸드시 북부교외에 있는 아프라시압도 성(Afrasiab)의 제23호발굴지점 1호실에서 7세기 후반의 사마르칸드 왕인 왈프만의 궁전에서 각국 사절단이 입조하는 정밀하고 찬연한 채색을 갖춘 벽화가 발견되었는데, 그 사절단에 그려진 인물 중에 한국의 사절이 있고 이것이 한국과 서역간의 교류가 있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 사절들은 인종적으로 검은 머리칼과 밝은 갈색 안면의 소유자라는 점 그리고 착용한 의상이 당시 한국인들과 유사하다는 점에서 한국 사절이라는데 견해가 일치한다. 다만 한국의 어느 나라 사신인가에는 상이성을 보이고 있다. 일부학자들은 고구려사신으로 보고 또 일부학자들은 통일신라의 사신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이 시대상 고구려가 돌궐과 친밀한 관계를 가지고 수의 양제를 견제하려 하던 시기였고 그 뒤를 이은 당 역시 고구려를 침입할 의사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고구려는 돌궐과의 친밀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필요했을 것이고 그 때의 사신이 사절도에 그려질 가능성이 많다고 본다.
끝으로 사신의 파견 연대문제인데 고구려는 연개소문시대에 와서 당에 대해 강경태도를 취함으로써 고구려와 당 관계는 긴장상태에 있었다. 일찍이 돌궐과 연합해 수에 대항하려던 고구려는 연개소문고구려 말기 재상·장군. 일명 천개소문(泉蓋蘇文). 15세에 동부대인(東部大人)이었던 부친의 직책을 이어받아 642년(영류왕 25)에 동부대인이 되어 북쪽 1000리에 이르는 장성(長城)을 축조, 당나라 침입에 대비했다. 그해 영류왕을 시해(弑害), 보장왕을 세우고 스스로 대막리지(大莫離支)가 되어 정권을 잡았다. 644년(보장왕 3) 신라와 화해를 권고하는 당나라 태종(太宗)의 요구를 거부하자 이에 격노한 태종이 시군학민(弑君虐民)의 죄를 묻는 구실로, 645년 17만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를 침입하였다. 안시성(安市城) 싸움에서 60여 일 간의 공방전 끝에 당나라 군사를 격퇴한 뒤에도 4차례나 당나라의 침입을 받았으나 그때마다 이를 막아냈다.
시대에 와서 다시 서역제국과 제휴하여 공동으로 대당작전을 펴기 위해 사마르칸드 지방에 사신을 파견할 가능성을 추정해도 무리가 아닐 것이다. 따라서 고구려의 사신파견은 연개소문의 발상으로 보고 그 연대의 상한을 그의 사망 년인 666년으로 추산하면 대체로 알리바움이 제시한 7세기 후반과 일치한다. 이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의 한국인 사절도가 갖는 의의는 7세기 후반(그 이전에도 가능)부터 한반도와 서역 간에는 사신 파견으로 대표되는 공식적인 관계가 이루어지고 있었음을 시사해 주는 데 있다.
11.결론
이상 실크로드를 중심으로 동서간의 교역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실크로드 이전부터 동양과 서양에서는 서로에 대해서 알고자 하였으며, 이것은 실크로드의 탄생 이후 활발히 지속되었다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각 국가 간의 교역에서 중계무역을 통한 나라들도 있었으며 이 중계무역 국가들이 아닌 직접적인 교역을 하고자 하는 바람들이 이후에 외교와 무역에 조금 더 신경을 쓰게 된 것이고 그것이 바로 현재의 세계를 만든 것은 아닌가 생각이 든다. 이러한 움직임은 곧 나라의 발전을 가져오게 된다. 물론 중국과 로마의 경우 비단을 너무도 요구했던 로마가 후에 은의 심각한 유출로 재정난을 잠시 겪었다는 것과 같이 무리한 수입이 아닌 이상 말이다. 우리나라의 경우도 마찬가지였다. 특히 신라시대에서는 대규모 상단의 조직과 상단의 규모와 더불어 무역에 대한 법이 만들어진 것을 보면 그 크기를 짐작할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무역에 힘을 쓰던 우리나라가 왜 조선 시대에서는 쇄국의 정책을 감행할 수밖에 없었는가. 이것은 당시 조선에 깊이 뿌리 박혀버린 유교주의적인 사상들의 영향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신라나 이전 고려시대 까지만 하더라도 사회전반에 유교주의 적인 사상이 적었던 것을 보면 알 수 가 있다. 이른바 이러한 유교주의는 억상정책으로 나타나 경제의 발달을 저해했던 한 요인이라고 생각된다. 아무튼 동서의 교역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동양과 서양 모두의 발전을 가져온 그리고 호기심을 해소시켜준 중요한 것이었음을 알 수 있었다.
▶참고문헌◀
글사랑편집부『삼국지 시대와 실크로드 - 중국과 동서 교류 세계의 역사 4』,글사랑, 1990
헨리율, 앙리꼬르디에 저『중국으로 가는 길』,사계절, 2002
후자오량 저『차이나프로젝트』,휴머니스트, 2003
조주청,김남석 저『실크로드 모래우는소리가 들리니』,주니어 김영사(주),2004
요시미즈츠네오 저『로마문화왕국신라』,씨앗을 뿌리는 사람,2002
김혜주 저『동서미술비교론』,눈빛,2000
클라우스리히터,브루노바우만,베른트리프너 저 ,『크로드 견문록』다른우리(도),2002
이광주 저,『동과서의차이야기』,한길사(도),2002
강은경 저,「문명 견문기 : 실크로드를 따라서」한국문명학회, 문명연지, 3권, 3호, 2002
최재수 저,「고대중국의 해상활동과 해상실크로드 - 고대로부터 당송시대까지」,
한국해운물류학회 (구 한국해운학회),1996년
남석환 저,「동양문화의 교류 - 실크로드의 길손」한국문화사학회, 문화사학 1권,1994년
편집부 저,「이붕수상의 실크로드 여행」,
한국해사문제연구소, 해양한국 (월간해양한국), 252권, 단일호,1994년 발행
http://my.dreamwiz.com/camel5/(실크로드의 실제 여행자의 사이트)
▶참고 사진◀
  • 가격2,000
  • 페이지수20페이지
  • 등록일2007.12.30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42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