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대 대선과 지역주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한국 사회에서의 지역주의

Ⅲ. 지역주의가 영향을 미친 한국 선거 - 1997년 15대 대통령 선거까지

Ⅳ. 16대 대선의 분석

Ⅴ. 조사를 마치며

본문내용

지 않을수록 세대 간 투표경향이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16대 대선에서의 세대 간 격차 극화는 이러한 논리로 설명이 가능해질 것이다. 강원택 교수는 앞의 책 제 10장에서 세대 간 투표 성향의 차이의 중심에 이념성향의차이가 존재함을 지적하였다. 80년대 민주화 항쟁을 겪은 30대를 중심으로 진보적인 이념이 주변 세대에 확산되면서 젊은 세대들이 87년 민주화 이후 청산되지 못한 냉전 이데올로기들을 거부하게 되었다고 주장하면서 민주당의 국민경선 이전과 이후 노무현 후보의 지지율 변화 양상을 들어 설명하였다. 하지만 김민정 서울시립대학교 교수의 논문 ‘20-30대 유권자의 신념체계, 정치심리 및 정치행위’에서 2-30대 전체를 한 집단으로 뭉뚱그려 보기에는 세대 내에서 여러 변수들로 인하여 다양한 이념적 성향을 내포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 이러한 다양한 성향이 선거 정치에 반영되었다고 보기에 힘든 점이 젊은 세대의 저조한 투표율 때문이다 - 게다가 20-30대는 진보보다 중도적인 성향이 전체적으로 강한 집단이며(<표 19> 참조) 이념성향이 일관되게 존재하지 않음을 밝히는데, 이러한 증거들을 통해서 강원택 교수의 주장이 설득력이 결여됨을 설명할 수 있다.
Ⅴ. 조사를 마치며
조사를 시작하기 전에는 16대 대선에서 진보적인 젊은 세대가 지역주의를 변화시키는 원동력으로 등장했다는 생각이었지만 15대 대선결과와의 비교를 통해서 세대 간 이념의 격차가 지역주의의 약화를 가져왔다고 하기보다 지역주의에 영향을 미쳤던 인물중심의 정치행태가 변화한 결과로서 세대의 차이가 벌어지는 결과를 불러 일으켰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앞에서 언급했던 유권자들의 지역출신인 특정 개인에게 일체감을 보이는 한국 지역주의의 특징이 변화하고 있다는 것으로서 한국 선거정치에서 의미가 깊은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섣부른 진단을 통해 세대의 차이가 지역주의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논리로 한국 선거정치의 문제점을 한 번에 제거하려는 성급함은 지양해야 할 것이다. 30대는 80년대 민주화항쟁을 거치면서 일관된 이념을 취하고 있다고 하지만 20대는 여러 가지 이슈에 민감한 세대이기에 성급히 세대적인 문제로 접근하려다가 자칫 잘못하면 불필요한 세대 간 갈등만 극화될 수 있다. 따라서 선거정치에서 드러난 지역주의의 등장이 정당성을 결여한 정권창출에 있었듯이, 국민으로부터 정당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 정권만이 지역주의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7.12.25
  • 저작시기200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45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