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 시각에서 본 트루먼 쇼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들어가는 글

2. 본론
1) 포스트모더니즘 영화
-포스트모더니즘 영화의 개념과 특징들
2) 트루먼 쇼의 줄거리
3) 트루먼 쇼를 선정한 이유
4) 포스트 모더니즘적 시각으로 바라본 영화 (트루먼 쇼)
(1) 매체에 대한 자기 반영성, 미디어
(2) 할리우드에 대한 자기 반영성과 장르적 관습
(3) 해체, 절대적 기준의 상실, 다원주의
(4) 포스트모더니즘과 대중문화

3. 맺는글

본문내용

절대적 진리가 한 순간 의심으로 깨어질 정도로 가벼운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는 여러 가지 실험을 해본다.
결국 트루먼은 알게 되었다. 트루먼은 태어날 때부터 성년이 된 그 때까지 전 세계의 시청자들이 지켜보는 인기 쇼 프로그램의 주인공이었다. 날마다 만나는 직장 동료들, 애인, 마을 사람들, 친구들이 다 배우들이었다. 그가 살고 있는 섬, 하늘, 심지어 달마저 모두 다 거대한 촬영세트였다.
이러한 현실을 깨달은 트루먼은 감시를 벗어나기 위해 모종의 계획을 세운다. 감시 카메라를 따돌린다. 그리고 두려워 나가지 못했던 바다(아니 호수)로 배를 타고 나간다. 세트 장 밖으로 나가려는 것이다. 자기를 감싸고 있던 인식의 껍질의 끝 부분인 세트장 끝에 도착하자 검문소의 헌병처럼 PD가 있다. 그를 만나게 되는데, 트루먼 주연의 인기 만점 프로그램을 기획 제작한 그는 자신이 창조주인 것처럼 트루먼을 회유한다. 그 세트장 안에서 누릴 것은 다 누릴 수 있고 진정한 자아를 발견할 수 있노라고, 또 그 세트장 안이 결국 절대적 진리라고 강변한다.
그러나 트루먼은 과감하게 문을 열고 세트장 바깥으로 떠난다. 그럼으로써 자신이 주인이 되는 삶, 새로운 자유를 확보한다. 결국 트루먼은 절대적 진리의 껍질을 벗어나 상대주의, 개인주의가 특징인 다원주의의 세계로 나간 것이다. 트루먼이 믿었던 생활은 거짓과 허위로 가득 찬 삶이었다. 그의 이름 Truman이 사실은 거짓 삶을 사는 인간, Untruman의 역설적 상징이었던 것이다.
이 영화는 우리가 어떤 명제에 대하여 옳고 그름을 판단할 때에 누구나 긍정할 수 있고 받아들일 수 있는 절대적 기준의 상실(Loss of adsolute, and authorized things)을 보여주고 있다. 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것에는 '당신이 살고 있는 현실을 현실이라고 어떻게 보장할 수 있는가'라는 테마로서 포스트모던적 시각의 한 조각을 보여주는 것이다. 유명한 철학자 데카르트의 코기토철학(나는 사고한다 고로 존재한다)과 그의 특유의 회의적 방법론의 현대판이라고 할 수 있다.
합리적이고 이성적인 것에 절대가치를 부여하면서 흑과 백의 이분법적 논리로 무장하던 시대는 사라진지 오래다. 우리는 감성적이고 다원화된 사고를 바탕으로 상대적인 진리를 탐구하는 것에 대한 다양한 담론이 펼쳐지는 시대를 살고 있다. 포스트모더니즘은 선과 악의 경계해체, 진짜와 가짜의 모호한 경계위에 인간을 올려놓았다. 이제껏 진실이라 믿었던 것, 당연히 옳다고 생각했던 것들이 의심이라는 종이위에 꽃잎처럼 흩날리는 시대인 것이다.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의 모습을 영화 트루먼쇼는 진실과 허구, 허구와 진실을 교차 시켜놓음으로써 보여주고 있다.
(4) 포스트모더니즘과 대중문화
레슬리 피들러는 포스트모더니즘을 대중 문화의 관점에서 처음으로 논의한 가장 대표적인 이론가 중의 한 사람이다. <새로운 돌연 변종>(1965) 와 같은 논문들을 통하여 그는 대중 문화에 대한 관심을 포스트 모더니즘을 특징 짓는 가장 중요한 요소로 파악하였다. 그는 ‘반예술적’이고 ‘진지성에 반대하는’ 대중 예술의 출현을 열렬이 환영한 바 있다. 김욱동,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현암사, 1997, p226
그러나 포스트모더니즘 대중문화는 모더니즘 문화처럼 고답적인 엘리트주의를 표방하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저급한 대중문화에 쉽게 굴복하지도 않는다. 대중문화는 서로 대립적인 입장을 취하는 두 문화 사이 어딘가에 자리 잡고 있다. 한마디로 포스트모더니즘 대중문화는 드와이트 맥도널드가 말하는 ‘미드컬트’의 개념에 가장 가깝다. 모든 수단과 방법을 동원하여 어떻게든지 일반 대중을 즐겁게 해주는 ‘매스컬트’와는 달리, 이 미드컬트는 마치 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야누스처럼 늘 두 방향으로 얼굴을 향하고 있다. 한편으로는 고급문화에 적잖이 매력을 느끼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대중문화의 수준을 한 단계 끌어올리려고 노력을 아끼지 않는 것이다.
트루먼 쇼가 몰래카메라라는 사람들이 흥미를 가질만한 독특한 발상과 기발한 상상으로 또 유명 배우를 내세운 상업성과 오락성을 갖췄다하더라도 단순히 쾌락적인 추구만이 아닌 우리 문화의 지배적인 <대서사>,즉 가부장 제도나 자본주의 더 나아가서 우리가 논리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여겨왔던 것에 대한 재고를 탐구하며 포스트모더니즘 시대를 살고 있는 대중들로 하여금 다시한번 허구와 진실의 경계, 미디어의 권력과 같은 심도 있는 문제에 대해 생각할 기회를 주며 메시지의 교훈적인 면을 강조하기도 한다.
3.맺는 글
이로써 포스트모더니즘의 개념과 특징, 그리고 이것이 트루먼 쇼에서 어떻게 드러나는가를 살펴보았다.
대중문화에 대한 포스트모더니즘의 관심에서 볼 수 있듯이, 포스트모더니즘은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와 동떨어진 개념이 아니다. 우리는 현재 포스트모더니즘 시대에 살고 있고, 이 시대는 절대적 진리에 대한 끊임없는 물음과 다원적인 사고를 요구하고 설득하고 있다.
우리는 모두 지금 이대로가 편하기 때문에 변화를 두려워한다. 자기가 알고 있는 세상 밖으로 나가는 것은 두렵고도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안락한 현재의 상황은 진정한 삶을 얻기 위해서는 버려야만 하는 허위와 조작인지도 모른다. 영화 속 트루먼은 과감히 세트 장 밖으로 나감으로써 진정한 자유를 선택함으로써 관객들에게 허구일지도 모르는 절대적이라고 믿어왔던 진리의 틀을 깨라고 강변한다.
마지막으로 엔딩 부분에서 트루먼이 거짓된 자아를 벗어버리는 장면은 자유로부터의 해방되었지만 무엇인가 결정 된 것은 아무것도 없고 불확실하며, 이로써 이야기가 끝나는 것이 아니라 앞으로 새로이 펼쳐질 이야기가 더 많을 것 같은 비 종결성 등,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과 매우 닮아 있었다.
■ 참고문헌
김욱동.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현암사. 1997
김성곤. 김성곤의 영화기행. 효형출판. 2002
그레고리 배트코크. 채장석 역. 포스트모더니즘과 비디오예술. 1996
나병철.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을 넘어서. 소명출판. 1999
네이버 블로그
네이버 영화 http://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9099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7.12.26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47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