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에미리트연합국(United ArabEmirates)& 두바이 대한 이해와 발전 전략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서론

Ⅱ.아랍에미리트 & 두바이
1.개요
2. 경제개황 및 특징
3..UAE의 시장특성
4.역사
5.두바이
6.두바이 개발사례

Ⅲ.아랍에미리트 & 두바이 발전전략
1.한-UAE 관계
2. 정치 개황
3. 인구구성 및 문화
4.두바이의 당면과제

Ⅳ.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공급이나 병원을 건설과 운영비용 등에 대한 지원금이 지속적으로 증가
`사회복지 보조금 지출의 증가를 억제하면서 동시에 서비스의 수준을 유지해야 함
Ⅳ.결론
두바이는 세계적인 도시경제체계 내에서 중요한 도시가 되고자 하는 계획적 목표하에 건설된 도시로 이미 지역의 중심도시로 성장하였다. 도시의 발전은 두바이의 고유한 역사적·지리적 구조에 내재된 세계적 요인과 지역적 요인간의 상승작용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다른 자본주의 도시와 마찬가지로 두바이의 발전에는 경제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러나 발전을 이룩하는 방법과 경로는 미국의 신자유주의나 아시아의 국가 주도형 기업주의와 다른 특징을 지니고 있다.
각각의 사회는 그 나름의 고유한 발전 경로를 지니는 것은 분명하나, 공통적으로 세계적 기준에 부합하는 경쟁력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대도시들은 이를 1차적 기치로 내세우고 있다.
두바이의 대규모 개발사업들은 이러한 발전방식을 전형적으로 보여주는 사례의 하나가 될 수 있다. 또한 세계화 시대에는 관광역시 주요한 경제성장부문이 될 수 있다. 관광주도형 발전은 도시의 물리적 구조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바, 태양과 모래와 바다라는 3S(sun-sand-sea) 생태환경을 지닌 두바이는 중동의 핵심적 관광지로 성장하고 있다. 호텔과 위락시설 및 상업시설과 더불어 두바이는 무역센터와 국제회의시설, 테마공원 등을 건설하였으며, 이를 통해 주요 레저·관광지로서 이미지를 확보할 수 있었다. 이외에도 세계화에 대처하기 위해서는 공항이나 철도, 도로 등 기반시설의 공급을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오늘날 두바이에서는 이의 확충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대도시가 유사한 세계화의 힘을 경험함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대처방식은 도시마다 다르며, 두바이 역시 그러하다. 두바이의 정치적 이념은 서구나 미국과 다르며, 도시계획과 발전에 있어 고도의 중앙집권식 의사결정이 이루어졌다.
두바이는 외국투자의 유치, 기업활동 규제완화 등과 같은 자본주의 환경내에서 통치자의 계획비전에 의해 도시발전이 결정되었으며, 이러한 점에서 두바이의 도시발전은 정부의 통제와 경제적 자유주의가 결합된 혼성모델(hybrid model)의 하나로 볼 수 있다.
도시발전과정에 대한 국가 주도형 시장경제적 접근은 도시계획을 경제발전 전략 및 이를 위한 기반시설 공급 메카니즘을 지지하는 수단화 하였으며, 이 결과 소득계층에 따른 사회적·공간적 양극화와 사회계층간 갈등유발 가능성을 야기하기도 하였다.
이 경우 많은 도시에서 시민의 저항이나 사회적 갈등이 유발되었으며, 이를 완화하기 위하여 주민참여에 의한 상향식의 도시계획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두바이의 중앙집권적 통치구조로 인하여 시민참여에 의한 도시계획 및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즉, 두바이의 경우 민중의 의사결정에 의한 상향식개발이 아닌 하향식 개발이 도시발전을 추진하는 중요한 방법이었으며, 비록 이러한 방식이 오늘날 서구나 미국에서는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고 할지라도, 적어도 두바이의 경제발전 및 도시발전이 이에 기인하였다는 점은 부정하기 어렵다.
다른 현대적 도시와 마찬가지로 두바이는 세계경제의 틀 내에서 그 위상을 제고하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두바이는 여러 가지 면에서 독특한 상황에 처해 있다. 서구나 과거 공산주의 국가의 다른 산업도시가 도시재생(regeneration)에 일차적 관심을 두고 있음에 비해 두바이는 도시의 새로운 조성(generation)에 주관심을 두고 있다. 또 대부분의 제 3세계 국가 도시들에서 흔히 나타나듯이 두바이는 급속한 도시확장에 부합하기 위한 적절한 기반시설의 공급이라는 문제에 당면하고 있으며, 상대적으로 양호한 경제력을 통해 이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두바이는 넓은 토지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산업화의 부정적 유산이나 자생적인 도시의 확산 등을 경험하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정치적 안정성과 활발한 외국인 직접투자 등의 장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를 통해 21세기의 지역 거점으로 나아가고 있다.
부동산 개발은 두바이 발전의 핵심이 되고 있다. 민간부문 및 정부기관의 투자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소매업이나 정보통신, 멀티미디어, 관광 등 특정 경제활동으로 특화된 도시내 성장중심지의 조성을 통해 도시경제의 성장 및 구조다각화를 도모
Burj al Arab과 같은 상징적 건물의 건축, Palm Jumeirah나 Burj Dubai 등과 같은 세계적 규모의 대규모 개발사업 추진을 통해 도시의 자긍심과 정체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도시의 세계적 위상을 제고함으로서 외국인 투자를 유치하는 등 두바이의 이미지 창출 및 장소 판촉(place marketing)
국제공항이나 도시철도망 등과 같은 도시 기반시설망의 확충, 인구성장의 장려 및 도시 확장의 촉진
석유생산을 통한 경제적 풍요가 두바이를 걸프지역의 조용한 어촌마을에서 번성하는 현대적인 세계도시로 전환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쳤으며, 석유호황기 이후의 개발계획이 이러한 성장을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결과 두바이는 걸프지역의 다른 국가에 비해 높은 1인당 소득을 올리고 있으며, 이는 경향은 더욱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경제적·물질적 성장목표의 달성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자본주의 도시들이 그러하듯이 두바이 역시 부의 분배가 균등하지 않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빈부계층간에 나타나는 생활양식의 차이, 두바이 국민과 저소득층의 외국인 노동자간 사회·공간적 양극화 등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부의 창출뿐만 아니라 부의 분배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으며, 이것이 두바이의 미래를 위한 주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참고문헌
UAE의 외국인투자 유치정책.
대외경제정책연구원 ㆍ 배희연
UAE 경제전망
외교통상부 ㆍ 주아랍에미리트대사관
국내 항만건설사 현황과 전략
한국해사문제연구소 ㆍ 안성종
두바이의 허브전략
중앙일보시사미디어 ㆍ 중앙일보시사미디어
작고 젊은기업이 두바이 재수출 시장 책임진다.
KOTRA
두바이에는 없지만, 아부다비에는 있다
국정홍보처 ㆍ 이준재
두바이 신화는 항구에서 시작됐다
국정홍보처 ㆍ 이준재
  • 가격3,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01.16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74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