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문운동 완전정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고문운동의 정의

2. 변체문의 특징

3. 고문운동의 성립

4. 한유와 유종원의 고문운동

5. 고문운동의 발생원인

6. 고문운동의 발전

7. 고문운동의 의의

8. 고문운동의 단점

9. 고문운동과 중국 르네상스

10. 참고자료

본문내용

의 6大家에게 전승되었으며, 宋代에는 산문뿐만 아니라 詩歌에 이르기까지 평이하고 평범한 문장으로 바뀌게 되었다.
1) 평이·질박한 산문을 제창하여 공허화미(空虛華美)하기만 하던 騈文의 일소와 함께 극단적인 개인주의와 유미주의 또한 함께 일소시킴.
2) 문체, 문풍의 혁신을 이루어 산문의 지위 향상시킴.- 기존의 격식에 새로운 요소를 가미해서 창조해내어 문학성을 가진 문학작품으로 완성시켜 인정받음. 다양한 장르에 있어 새로운 문풍, 문체의 혁신을 이룸. 예) 雜文, 游記 등. 韓愈의 경우 <答客難>이나 <解嘲>를 모방해서 <進學解>를 썼는데 새로운 체제로 계승하였다는 인정을 받음.
3) 문학과 儒道의 합일을 주장하여 敎化實用이 문학의 최고 목적임을 인정하고 儒家의 문학이론을 완성함.
4) 산문창작에 전념하여 우수한 산문들이 나오고 '唐宋8代家'가 등장하게 됨.
5) 산문의 문학사적 지위를 상승시켰다. 기존의 실용문(公文)에 문학성을 가미하여 문학의 괘도에 올리는 성과.
8. 고문운동의 단점
1) 復古說이 문학의 진화원리를 홀시하였기 때문에 후대의 貴古賤今의 완고한 관념을 조성.
2) 載道·明道를 중시하여 문학을 공리적(교훈적)인 수단으로 보았다.
(그러나 수용한 사상은 달랐다. 韓愈-儒家, 柳宗元-佛家,老莊도 함께 수용)
3) 古文을 중시하여 이로 말미암아 경사철학은 모두 문학의 정통이 되고, 순문학의 시가·소설·희곡은 모두 말류로 떨어짐으로써 문학과 학술의 관념이 문란해졌다.
고문운동은 六朝시대의 변문을 배척했고, 산문의 지위를 향상시켰으며, 전대의 유미사조를 뒤엎음으로써 문학과 유도(儒道)의 합일을 주장하여 교화실용(敎化實用)이 문학의 최고 목적임을 확정했으며, 유가(儒家)의 문학이론을 완성함으로써 후대의 문장 논단에서 권위가 되었다.
9. 고문운동과 중국 르네상스
지루한 삼국시대가 끝난 뒤에 드러나 동아시아의 국제정세는 중국 한족의 확고한 강세와 기마종족의 급격한 침체로 특정 지을 수 있다. 비록 대진이란 이름으로 기마종족 연합국가를 다시 세웠다지만, 이런 세력변화를 뒤바꾸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대진이 멸망한 뒤에는 거란족 중심의 기마종족 연합국가인 요나라가 세워져 그 자리를 대신했으나, 그 또한 '백일몽'에 그치고 말았다.
그러나 기마종족의 탁월한 문명사적 업적들은 결코 역사의 뒷전으로 사라지지 않았다. 그 업적은 기마종족들 특히 고조선과 고구려 및 대진의 중심세력이었던 조선족(고려 이후의 우리 겨레)에 의해 부분적으로 계승되었다. 물론 동아시아의 새로운 강자로 확고하게 자리잡은 중국 한족도 그런 업적과 전통을 수입하고 발전시킴으로써 자신들의 문화적 기반을 드넓히려 하였다. 고구려의 멸망과 함께 기마종족들의 위대한 문명사적 업적들이 중국으로 흘러들었고, 남조신라와의 교류에 의해서도 많은 문화적 업적이 중국으로 흘러 들어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왕성한 문화적 의욕을 가진 중국 한족은 여전히 문헌부족을 호소하고 있었다. 대각국사 의천이 중국으로 유학을 갔을 때, 중국의 지식인들이 그에게 부족한 문헌들을 고구려부터 구해달라고 요청한 데서도 이런 사정이 잘 드러난다. 사실 중국이 가지고 있던 문헌들은 결코 적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문헌이 부족하다고 호소했다. 왜냐하면 그들은 옛 문헌들로부터 새로운 이념을 만들어가고 있었고, 이에 따라 참고가 될 만한 더욱 많은 문헌들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유럽의 역사에서 르네상스 시대가 근세의 출발점을 상징하듯 이 시기의 한족도 근세를 향한 시대병을 앓고 있었는데, 한유가 제창한 '고문운동'도 그런 배경에서 나온 것이었다. 물론 한유의 고문운동은 당시 유행하던 문체인 사륙변려문을 반대하고 그 이전 시대에 많이 쓰였던 산문체의 고문을 사용하자는 것이었다. 그러나 그것은 이 운동의 외형이지 본질은 아니었다. 한유의 고문운동은 얼핏 문체의 복고를 통해 당시 유행하던 형식주의에서 벗어나자는 것이었지만, 본질적으로는 과거와 현재를 결합하여 새로운 사상적 방향성을 창조해내자는 것이었다. 실제로 고문운동을 통해 문체가 훨씬 자유로워짐으로써 사상적인 면에서도 새로운 기운들이 자라나기 시작했다. 한유는 그의 수필집인 "창려집"에서 새로운 사상의 필요성을 설파했다. 그의 유명한 수필 '스승에 대하여'는 일정한 편견에 얽매이지 않는 폭 넓은 배움의 자세를 강조함으로써, 중국 르네상스 시기의 개방적 자세를 잘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고문운동 시기의 중국 문화는 다양성을 가지고 있었다. 예컨대 유종원이나 유우석도 고문운동의 지지자였지만, 그들이 모두 한유와 같은 사상을 가진 것은 아니었다. 다만 한유는 유종원 등과 달리 사상통합이라는 시대적 요구를 정확하게 반영했다. 그래서 한유의 사상은 그의 동료나 후계자들에 의해 하나의 학파로 발전하게 되면서 강력한 영향력을 가지게 되었다. 성리학파 또는 주자학파가 바로 그것이다. 고문운동과 함께 시작된 중국 르네상스는 먼저 유교라는 테두리를 넓히려고 애썼다. 그들은 불교의 문헌과 도가의 문헌 및 기마종족계의 문헌을 소화해냄으로써 그것을 유교 재무장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그 가운데서 가장 중심적으로 이용한 것이 바로 기마종족계의 문화유산이었다. 원시 유교 그 자체가 기마종족적인 전통을 중국화한 것이었기 때문에, 유교를 중심사상으로 설정한 이상 그것과 호흡이 가장 잘 맞는 것은 기마종족의 사고방식이었다.
실제로 고구려와의 전쟁 및 고구려의 멸망과 함께 당나라로 흘러든 문헌들은 이런 과정에서 결정적 기여를 했다. 먼저 성리학자들은 일원론적인 음양오행설을 수용했는데, 주돈이의 '태극도설'은 그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태극도설'은 일원론적인 음양오행설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것으로서, 정호, 정이 형제를 거쳐 주희에 의해 방대한 사상적 체계로 발전했다. 당나라 후반기에 출발한 중국 르네상스가 송나라 말기에 이르러 비로소 완성된 것이다. 요컨대 당나라 말기에서 송나라 후기에 이르는 350여 년의 시기는 중국 역사에서 르네상스 시기였던 셈이다.
10. 참고자료
정범진, 중국문학사, 학연사
임종욱, 중국의 문예인식-그 이념의 역사적 전개, 이회문화사
허용구, 중국역사와 문학
김학주, 중국문학의 이해, 신아사
  • 가격1,6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1.23
  • 저작시기200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82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