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광고의 역사 요약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광고의 역사

본문내용

고비가 급상승하게 되었다.
2) 매체의 변화
언론매체의 폭증은 놀라웠다. 매체수는 급격하게 늘어났다. 전체 정기간행물 수도 1987년에 비해 1995년에는 4배나 늘었다. 변화는 매체 수 뿐만 아니라 내용과 1일 발행면수에도 나타났는데 하루 12면으로 묶여 있던 것이 40면 이상으로 늘었다.
신문사 수입에서 광고수입이 차지하는 비중은 1995년, 1996년에 대부분 70% 이상으로 나타났다. 1989년에 발족한 신문, 잡지 부수공사 기구인 한국 ABC협회는 1996년 6월13일 국내 최초로 동아일보, 동양일보 일요신문 등은 발행부수 공사결과를 발표했다.
1995년 3월 3일부터는 케이블 TV 방송이 실시되어 국내의 방송환경도 멀티채널 시대로 접어들었다.
1996년 7월에는 KBS의 위성방송이 시작되었다.
1997년에는 EBS도 광고를 방영하게 되었다.
1988년 서울올림픽은 옥외광고의 붐을 일으켰는데 전국 주요 고속도로변에는 대행 야립간판이 허가되었고, 이후 1994년부터 본격화되어 옥외 간판이 주요 광고 매체로서 자리를 굳혔다.
2002년 5월 31일 메트로가 지하철 이용객을 대상으로 선보인 이후, 국내에서도 본격적으로 무가지(無價紙)의 발간이 시작되었다.
2003년 인터넷 광고시장은 오프라인과 온라인 광고의 연계가 필요하다는 인식이 확산되었다. 또한 TV와 인터넷, 모바일을 혼용하는 등 다양한 매체간 통합캠페인을 통해 시너지를 제고하려는 기법이 속속 도입되기도 했다.
3) 국내 광고시장 개방 및 한국방송광고공사의 변화
1987년 말 언론기본법 폐기에서 비롯된 언론자유 회복은 1989년 초에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 존폐 논쟁으로 비화했다. 많은 논란이 있었으나 공사 존폐문제는 그 뒤 존속으로 일단락 되었고, 현재까지 개방, 자유화로의 변신을 계속해왔다.
1994년에는 프로그램 광고 시간이 프로그램 시간의 8%에서 10%로 확대됨에 따라 신문사,방송사간 광고효과의 우월성에 대한 논쟁이 불거졌다. 1999년에는 통합방송법이 5년 만에 국회에서 통과되었다.
방송광고심의는 2000년 8월부터 한국광고자율심의기구라는 민간기구로 이관되었다.
또한 방송광고공사는 광고시장 환경 및 국제화 시대에 발맞추어 방송광고 판매시스템을 변경, 탄력요금제와 판매방식의 다양화 판매방식의 다양화- 장기판매, 일상판매, 커머셜 순서 지정판매, ROS 등
를 골자로 하는 글로벌스탠더드(GS) 제도를 도입하였다.
  • 가격1,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8.02.05
  • 저작시기2007.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497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