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던사회의 종교의 변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문제제기

Ⅱ. 포스트모더니즘과 다원주의

Ⅲ. 새로운 종교의 등장
1. 미국의 뉴에이지운동
2. 일본의 신영성운동

Ⅳ. 기독교의 인식과 포스트모던종교의 한계와 전망
1.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에 대한 양면적 인식
2. '대체종교'로서의 역할과 한계
3. 대중문화 활동으로서의 확산과 전망

Ⅴ. 결론

본문내용

'은 공식적으로 4백 50만 명이 관람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뉴에이지 사상은 만화 프로그램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이는 만화 프로그램에 뉴에이지의 상징물이 많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귀여운 파란색 동물들의 이야기인 '스머프 가족'이라는 만화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는 사탄의 5각형 별이 종종 등장해 마력을 일으킨다든가 파파 스 머프가 악을 막기 위해 주문을 외우는 장면이 나온다. ‘우주정복자 히맨’이라는 만화에서의 히맨은 초자연적인 남자 신으로 설정되며, 피라미드, 뱀 해골인간, 마법사, 동물인간, 반인반조(半人半鳥) 등이 등장한다.
이와 같이 뉴에이지가 대체종교로서보다는 대중문화 활동으로 그 세력을 확산시키고 있다는 점은 주목할만하다. 이는 집단적이고 의례가 중시되며 교계제도를 가진 기성종교와는 본질적으로 상반된 특성의 포스트모던종교가 종교활동으로서 갖는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지만, 이것이 오히려 사회문화적 기능을 강화시키면서 여전히 거대 기성종교들 틈새에서 그 자리를 확보하고 있는 것이다. 더욱 전술한 바와 같이 상당수의 기독교 신자들이 별 거리낌 없이 뉴에이지 문화에 접하면서 즐기고 있으나, 이들은 대부분 뉴에이지를 자신들의 기독교 신앙과 별개의 것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있다. 기독교에서 뉴에이지를 '사탄', '악마', '이단'으로 표현할 정도로 부정적인 차원을 넘어서 매우 위협적인 존재로 보고 있는 것도 이와 같은 이유에서이다.
Ⅴ. 결론
종교의 측면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은 반드시 부정적으로 받아들여진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어쩔 수 없이 무시할 수는 없는 시대정신이라는 시각이 드러난다. 정보화 사회로 진입하면서 '모임'과 '예배'를 전제로 하는 기독교가 이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드러난 것과 유사하게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도 의식이나 절차, 선교 방식 면에서 받아들이면서 종교의 속성이나 본질 자체의 훼손은 타협될 수 없다는 관점이 보인다. 그러나 보다 적극적으로 종교다원주의가 확산되는 것에 대한 반작용으로 그리스도교의 '근본주의'와 이슬람교의 '원리주의'가 전세계적으로 그 세력을 넓혀가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또한 동양종교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은 분명하지만 이로 인해 그리스도교의 신자수가 감소하고 있다는 뚜렷한 증거도 찾을 수 없다는 점도 포스트모더니즘이 보여준 위세의 이면을 다시 생각하게 한다.
이와 함께 포스트모더니즘의 이론이 잘못 받아들여지거나 오해되는 측면도 적지 않다. 전술한 바와 같이 포스트모던의 세계에서는 참과 거짓, 진실과 허위, 실재와 허구의 구별을 무너뜨리고 허구가 실재의 자리를 차지하게 되는데, 그 대표적인 예가 바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이다. 가상현실 문화의 가장 큰 문제점은 가상현실의 세계와 실제현실의 세계가 거의 구별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일부 학자들은 사람들이 가상과 현실간의 큰 혼란에 빠지게 되면 폭력을 유발시킬 위험성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오옴진리교 사건을 그 대표적인 예로 들고 있다. 1970, 80년대의 일본은 허구의 시대=거대소비사회=탈산업사회=첨단정보사회로 표상되는데, 이때는 일본사회에서 보드리야르(Jean Baudrillard)의 소비사회론이 유행했다. 현대는 가상(허구)이 현실을 압도하며, 오리지널과 복제물 사이의 대립이 더 이상 의미를 가지지 못하는 시대이므로, 거기서는 현실도 하나의 복제물에 불과한 것이 된다. 오옴진리교 사건은 이런 '허구의 시대'의 극한에서 발생한 것으로, 그래서 사람들은 오옴진리교를 가상현실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이에 관해서는 다음을 참조할 것. 박규태, 「현대 정보화사회에서의 종교와 폭력: 오옴진리교와 가상의 현실화」, 『종교와 문화』6(2000) ; 島 進, 『現代宗敎の可能性 : オウム眞理敎と暴力』 (東京: 岩波書店, 1997)
포스트모더니즘 역시 어느 특정 시기의 사상이고, 새로운 시대가 도래하면서 이를 극복하거나 비판 또는 보완하는 새로운 사상이 등장하게 될 것이다. 포스트모더니즘이 영존하리라는 사고 자체가 반포스트모더니즘적인 것이다. 그러나 새로운 사상으로 대체된 후에도 포스트모더니즘이 함축한 진정한 의미를 혼동하지만 않는다면, 종교의 다원성, 이분법적 사유의 해체 같이 서로간의 동류성을 추구하는 포스트모더니즘의 사상은 기존종교와 신종교 모두에게 긍정적인 방향으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문헌
김성기, 『포스트모더니즘의 사회이론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 논문(서울대학교 대 학원, 1993).
김영한, 「21세기, 포스트모더니즘과 기독교」, 『한국기독교 연구논총』14(1996).
길희성, 『포스트모던 사회와 열린 종교』 (서울: 민음사, 1994).
노길명, 「신영성 운동의 전개와 성격」, 『누리와 말씀』12(2002).
박규태, 「현대 정보화사회에서의 종교와 폭력: 오옴진리교와 가상의 현실화」,
『종교와 문화』6(2000).
서광선, 「포스트모더니즘과 신학운동」, 『기독교사상』(1993년 4월호).
신상언, 「뉴 에이지 운동은 과연 교회에 영적 위기를 줄만한 정도인가?」,
『활천』(1992년 10월호).
심상욱, 『포스트모더니즘의 이해』개정 증보 (전주대학교 출판부, 2001).
유문무, 「포스트모더니즘의 문화적 파장」, 박길성 외, 『현대사회의 구조와 변동』 (서울: 사회비평사, 1996).
이정현, 「포스트모더니즘과 선교신학적 접근에 대한 논평」, 『한국개혁신학』 2(1997).
이준학, 「포스트모더니즘과 종교」, 『문학과 종교』5(2)(2000).
전명수, 「포스트모던사회의 종교문화에 대한 성찰」『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34(2004).
전명수, 「신영성운동에 대한 종교사회학적 고찰」『고려대학교 종교연구소』(2005)
최병학, 『영상시대의 종교와 윤리』 (부천: 인간사랑, 2002).
島 進, 『精神世界のゆくえ: 現代世界と新靈性運動』 (東京堂出版, 1996).
島 進, 「新靈性運動ニュエイジ精神世界」, 米山義男 外 3人 共著,
『新宗敎時代⑤』 (東京: 大藏出版, 1996).
島 進, 『現代宗敎の可能性: オウム眞理敎と暴力』 (東京: 岩波書店, 1997).
島 進, 『ポストモダンの新宗敎』 (東京堂出版, 2001).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8.02.12
  • 저작시기2008.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05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