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포트_농업(고려시대와의 비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IV. 참고문헌

본문내용

으로 생(生)을 다스린다는 생각이 지배적이었다. 신유학적 농정은 하늘이나 신에 대해 제사만 지내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할 수 있는 최선의 노력을 다하면서 하늘의 도움을 바라는 것으로 바뀌고 있었다.
따라서 과학적 농정이 발달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농업생산력의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조선시대 농업생산량 증가의 가장 커다란 의의는 조선 농업사회에 있어서 탈농촌 현상이 발생시키고, 상업의 발달을 가져오고 양반계층의 붕괴를 가져왔다는 데에 있다.
역사는 반복된다고 하였다. 위에서 살펴본 고려시대에서 조선시대로 넘어가는 과정에서의 농업의 비중이 현대사회에서는 무엇에 비견될 것인가? 본인의 생각으로는 과학기술이 조선시대의 그것과 같지 않을까 생각된다.
불과 몇십년 전만 해도 산업화 사회에 있던 우리나라는 고려시대에서와 같이 단순히 대규모의 인력을 필요로 하는 제조 및 생산에 치중하여 산업발전을 이루어왔다. 그러나 최근 현대사회에서 과학기술(조선시대의 농업)의 발전으로 인해 최근에는 IT산업 및 디지털산업(조선시대의 이앙법)의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왔다. 디지털 경제로의 이행과정에서 정보격차가 심화되고, 이에 따라 빈부격차도 심화될 것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점은 조선후기에 부농이 증가하고 소농민이 점차 설 자리를 잃어가는 과정과 다르지 않다. 조선시대 소농민은 농업을 떠나 수공업상업으로 그 자리를 옮겨 갔다. 그렇다면 현대사회의 빈곤층이 옮겨 가게되는 자리는 어떤 것일까? 오늘날처럼 직업이 너무나도 세분화다양화 된 시대에 있어서 아마도 그들이 옮겨갈 수 있는 자리는 없을 것이라는게 본인의 생각이다. 따라서 고려~조선시대의 역사적 흐름과 그 속에서 나타난 사회상의 변화 과정을 꼼꼼히 살펴, 온고지신의 교훈을 되삼아 현대사회의 미래를 올바른 방향으로 이끌어 나갈 수 있어야 할 것이라 생각된다.
IV. 참고문헌
1. 노호영, “조선후기 이앙법의 보급과 농민층의 분화”,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3).
2. 손정선, “한국자본주의 형성과정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3. 서승환, “조선시대 농업생산력 발전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1987).
4. 염정섭, “15~16세기 水田農法의 전개”, 한국사론, Vol.31 No.-, (1994).
5. 이종봉, “고려시기 수전농업의 발달과 이앙법”, 한국문화연구, Vol.6 No.-, (1993).
6. 이태진, “조선시대 수우수차 보급 시도의 농업사적 의의”, 한국사회사연구, (2001).
7. 이태진, “1415세기 農業技術의 발달과 新興士族” 한국사회사연구, (1999).
8. 이태진, “조선초기의 농업기술과 과학적 농정”, 한국사시민강좌 16, 일조각, (1995).
9. 이태진, “세종대의 天文 연구와 農業政策”, 애산학보, (1999).
10. 이태진, “고려시대 사회의 중세적 특질과 한계”, 『의술과 인구, 그리고 농업기술』태학사, (2003).
11. 국사편찬위원회, “156세기의 저평 저습지 개간 동향”, 國史館論叢, (2000).

키워드

  • 가격5,0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8.03.12
  • 저작시기200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497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