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후기 민족문학의 꽃, 판소리 연구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판소리의 정의

2. 판소리의 명칭과 기원

3. 판소리의 역사적 전개
(1) 형성발전기 (17~18세기)
(2) 전성기 (19세기)
(3) 쇠퇴기 (20세기)

4. 판소리의 음악적 구성요소
(1) 성음(聲音)
(2) 악조(樂調)
(3) 장단(長短)

5. 판소리 열두마당
- 춘향가, 심청가, 흥보가, 수궁가, 적벽가, 변강쇠타령, 배비장타령
강릉매화타령, 옹고집타령, 장끼타령, 왈자타령, 가짜신선타령

6.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

7. 맺음말

8. 판소리와 경극 비교

※ 참고 문헌

본문내용

리석은 사람이 신선이 되려고 금강산에 들어가서 늙은 선사에게 그 방법을 물어 신선이 된다는 천일주를 받아 마시고 신선이 된 줄 알았으나 결국 속고 말았다는 이야기이다.
(13) 숙영낭자전
숙영장자전은 백선군과 숙영낭자 간의 사랑이야기로 백상서, 백상군가, 백선군가 등으로 불렸다고 한다.
6.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
판소리는 판소리계 소설보다 구비성을 좀 더 강하게 지니고 있다. 판소리는 창자가 각 인물이 처한 상황을 각 인물의 목소리로 모방함에 따라 대화를 이끄는 바탕글이 생략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서술자의 진술에서 말 건넴의 어투가 보여주는 종결어미가 많이 사용되는데 이는 청중과 현장에서 대면하게 된 창자가 현장적 친교를 위해 청중에게 말을 건넨다는 의식이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이다. 판소리와 판소리계 소설의 관계 속에는 둘 사이의 선후문제가 함축되어 있다. 다시 말해 판소리로 불려지다가 그것이 소설로 정착되었는지 아니면 문자화된 소설이 먼저 있었고 그것이 판소리로 불려졌는지의 문제인 것이다. 둘 사이에는 심한 혼용이 이루어졌고 무수한 상호 교섭이 실현되어 있다. 여러 가지를 종합해 볼 때 판소리는 초기에는 설화적 이야기들과 서정장르의 사설들을 가지고 시작되었다가 나중에는 고소설까지 연창의 대상으로 삼게 된 것으로 보인다. 판소리 열두 마당에 속하는 <숙영낭자전><배비장전><장끼전> 등은 모두 고소설로서 존재하다가 판소리에 도입된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7. 맺음말
음악의 사회 문화적 기원과 함께 생각해야 할 것은 문화의 인간형성적 기능이다. 문화는 음악을 만들어내지만, 일단 음악이 만들어지고 나면, 그것은 그 자체가 문화인 까닭에 다시 일정한 인간적 특성을 형성하는 기능을 가지게 된다. 판소리도 마찬가지이다. 판소리는 우리 민족의 사회 문화적 조건 속에서 생겨나, 그 자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용을 겪으면서 우리 문화의 중요한 일부로 성장한 것이며, 그러기 때문에 한국인을 한국인답게 만들어주는 역할 또한 계속 수행해 왔던 것이다. 문화는 인간의 삶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므로 결국 판소리는 한국인의 삶의 결정체, 다시 말하면 수천 년에 걸친 한국인의 삶의 표상이라고 할 수 있다. 탈춤이 무용과 문학을 중심으로 하는 종합예술이라면 판소리는 음악과 문학을 중심으로 하는 종합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판소리는 탈춤과 함께 조선후기 민중문학의 가장 중요한 성과이다. 탈춤이 희곡문학에서 이룬 것을 판소리가 서사문학에서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8. 판소리와 경극 비교
판소리는 창과 아니리를 섞어가며 연행하되, 너름새를 곁들여 표현하는 한국 고유의 연행 예술이다. 판소리에 비해서 중국에도 음악성, 문학성하고 연극성을 가지는 중합예술이 있다. 이것은 바로 북경 오페라라고 하는 경극이다.
경극이란 것은 노래·대사·동작·액션 등으로 구성되는 형식연극으로, 노래가 중시되고 무용에 가까운 동작은 격렬하면서도 아름답고 중국 전통 극 중의 하나이다. 호궁과 징·북을 중심으로 한 반주의 선율과 리듬이 극의 기조를 이룬다. 상연되는 각본은 모두 피황조에 의거한 구성·문체·시형이며, 현존하는 1,000여 종은 대부분이 작자미상이다. 대개는 사전 소설과 전설에서 소재를 따거나 원곡과 전기를 개작한 것으로,《수호전》《삼국지연의》 등의 부분각색이 적지 않다. 대표작으로 《손오공》《백사전》《장상화》《삼차구》《패왕별희》《귀비취주》《안탕산》 등이 있다. 경극은 모두 1시간 내외의 짧은 연극으로 연출과 연기 모두 지극히 서사적인 표현양식을 쓰고, 장치도 없이 상징적인 연기형식에 의하여 상황이나 행동을 나타낸다. 의상은 명(明)나라 때의 복장을 기초로 한 초시대적인 전통 극 고유의 것이며, 색과 무늬에 따라 인물의 신분과 직업 등을 알 수 있다. 배역은 크게 생(주역), 단(여자 역), 정(호걸·악한), 축(어릿광대), 말(단역)로 나뉘고, 각기 문무의 2계통 이외에 다시 세분화된다. 정과 축은 배우의 얼굴에 물감으로 선을 그리는데, 역사상 유명한 얼굴의 선을 그리는 형식은 정해져 있다.
판소리와 경극은 둘 다 음악성, 문학성하고 연극성을 가지는 자기나라를 가장 대표할 수 있는 종합예술이란 공통점을 갖고 있다. 또한 판소리랑 경극을 비교하면 차이점이 나타난다. 판소리는 하나의 이야기를 한명의 창자와 한명의 고수가 풀어나가는 것입니다. 특별히 막이 정해진 것도 아니고, 듣는 사람들은 "추임새"라는 것으로 이야기에 같이 들어가기도 한다. 특별한 의상은 필요 없고 부채하나만 있으면 그것으로 모든 것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약간 쉰 듯한 목소리를 내는 것이 창법의 특징이다. 그리고 경극은 하나의 이야기는 여러 명의 창자들이 연극을 하는 것이다. 무대 밖에서 악기 연주자들이 노래의 반주를 한다거나, 배우들의 움직임에 따라 효과음을 넣는다. 고음의 얇고 가느다란 특유의 창법으로 노래를 하고 보통 하나의 극은 여러 장면들로 나뉘어져있고, 극 자체에는 서커스적인 요소도 많이 들어가 있다. 경극 배우들은 단순히 노래만 하는 게 아니라 여러 가지 기예를 익혀야 한다.
저는 판소리를 들은 적이 있습니다. 그 중에 교훈적인 의미를 가진 내용이 저한테 깊은 인상을 남겼습니다. <춘향가>는 남녀간의 변함없는 사랑, <심청가>는 부모에 대한 효도, <흥보가>는 형제간의 우애, <수궁가>는 충성, <적벽가>는 친구간의 의리를 권장하기 위해서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판소리가 다섯 바탕(마당)인데 유교의 윤리 오륜과 일치합니다. 특히 이런 유교 윤리적 교훈을 가미시킨 것은 양반이나 중인층이 판소리에 관여하면서 나타난 현상이랍니다. 시대는 발전하면서 젊은이들은 판소리랑 경극에 관심이 점점 적어졌습니다. 근데 판소리랑 경극은 한국랑 중국에게 고유한 문화의 정화로서 변함없는 가치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는 중한양국의 문화예술의 보물을 이어받고 발양시키기를 바랍니다.
<참고 문헌>
- 김광순 외,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
- 이헌홍, 「판소리론」, 김승찬 외, 『한국 구비문학론』, 새문사, 2003.
- 곽정식, 『한국 구비문학의 이해』, 신지서원, 2005.
- 정병헌, 『판소리와 한국 문화』, 역락, 2002.
  • 가격1,300
  • 페이지수12페이지
  • 등록일2008.03.20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647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