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희곡(戱曲), 전통극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본론
1. 희곡의 정의
2. 희곡의 구성
1) 구성의 정의와 중요성
2) 희곡 구성의 삼일치의 원칙
3) 희곡의 구성단위
4) 구성의 유형
3. 희곡의 갈래와 특징
1) 갈래 - 장. 막에 따른 갈래, 내용에 따른 갈래, 창작의도에 다른 갈래
2) 특성
4. 전통극과 희극
1) 전통극의 기원
2) 전통극의 역사적 흐름
(1) 삼국시대, (2) 고려, 조선시대의 전통 극
3) 전승 자료에 나타난 전통극
(1) 탈춤극 - 서울, 경기도의 산대놀이 - 양주별산대놀이, 송파산대놀이
황해도의 탈춤 - 봉산탈춤, 강령탈춤, 은율탈춤
경상남도의 야류와 오광대 - 수영야류, 동래야류, 통영오광대
고성오광대, 가산오광대
경상북도의 하회별신굿탈놀이
강원도의 강릉관노가면극
함경남도의 북청사자놀음
남사당패의 덧뵈기
진주오광대, 마산오광대, 남구오광대, 학산오광대, 서구오광대
(2) 인형극 - 꼭두각시놀음
5. 한국극문학의 현대적 흐름
1) 개화기와 1910년대의 극 문학
2) 1920년대의 극문학
3) 1930~1940년대의 극문학
4) 광복 직후와 전쟁 전후 (~1960)의 극문학
5) 1970년대 이후의 극문학
보충자료. 중국의 희곡소개

Ⅲ. 맺음말

본문내용

관중들이 모두 즐길 수 있는 경극 언어인 '운백 (韻白)'을 창조하게 되었고, 이는 새로운 피황 창법인 '경조 (京調)'로 발전하였다. 뒤이어 경조극은 북경의 궁정과 민간에 회자되는 기타 희곡극 중 진강 (秦腔), 곤곡 (昆曲) 등의 장점을 끊임없이 받아들여 완성도가 높은 예술체계와 공연체계를 이룩함으로써 경극이 탄생되었다. 20세기 초에 경극은 상해 (上海), 천진 (天津), 한구 (漢口), 장사 (長沙)등 일부 대도시에 전파되어 곤곡에 다음가는 전국적인 대극종이 되었다.
경극의 배우는 생(生), 단(旦), 정(淨), 축(丑)의 네 종류가 있으며, 이것을 4대 행당(四大行當)이라고 한다. 여자역을 단이라고 하며, 청의(晴衣), 화단(花旦), 무단(武旦), 도마단(刀馬旦), 노단(老旦) 등으로 나뉜다. 남자역은 생이라고 하며, 노생(老生), 소생(少生), 무생(武生) 등으로 나뉜다. 성격이 익살스럽고 언어가 해학적인 배역의 얼굴에는 흰색 도안을 그려 넣는데 이것이 축이다.
성격이 사납고 간악한 인물은 얼굴에 채색 도안 (瞼譜)을 그려넣는데 이를 정 혹은 화검 (花瞼)이라 한다. 화검은 대화검, 이화검 (二花瞼), 문무화검 (文武花瞼)으로 나뉘고, 노래를 중심으로 하는 것을 동추화검 (銅錘花瞼), 동작을 중심으로 하는 것을 가자화검 (架子花瞼)이라고 한다. 이 밖에도 더 세밀한 분류가 있는데 각 배역은 그 연기의 방법과 운율을 달리한다.
극은 노래와 춤을 동반하는 종합적 연출형식을 가지고 있다. 이것을 '창념작타 (唱念作打)'라고 한다. 창(唱)은 노래 부르기 기교를 가리키며 정확한 발음, 원활한 음율로 서로 다른 형식의 운율을 나타낸다. 염(念)은 대사를 말한다. 매우 까다로운 낭독 기법으로서 정면 인물은 일반적으로 운백(韻白 : 전통적 독법)으로 대사를 읽으며, 축은 경백 (京白 : 북경 구두어)으로 대사를 읽는다. 작(作)은 동작과 기법을 가리킨다. 타(打)는 연출 가운데 무술동작을 가리키며, 중국의 전통 무술을 기초로 한 무술기교의 동작이다.
이 네 가지 수단을 서로 교차 운용하며 연기를 하는데 그 가운데서도 창이 핵심이다. 그러므로 중국의 경극에 익숙한 관중은 경극을 보는 것을 '극을 듣는다' 즉, '노래를 듣는다'고 한다. 경극의 음악은 경쾌하며 타악과 현악을 주로 한다. 북과 징, 박판, 호궁, 월금(月琴), 비파, 삼현금, 쇄납, 횡적 등이 있다. 고수(鼓手)는 악대의 지휘자이다. 경극의 복장은 보통 15세기 명나라 때의 복장으로 한다. 색채가 선명하고 대조가 강하며 수공이 세밀하여 복장만으로도 하나의 아름다운 예술품이다. 경극은 짙은 화장을 하며 여러 가지 검보를 가지고 있다. 경극을 감상하려면 반드시 경극의 미학적 특징을 알아야 한다. 경극은 일종의 종합무대예술이다. 경극은 중국의 전통적인 음악, 노래, 낭독, 춤, 서커스, 무술 등을 교묘하게 융합시킨 것으로서 서양의 노래, 춤, 연극이 각각 분리되어 있는 것과는 완전히 다르다. 따라서 경극 배우는 반드시 전반적인 기능을 연마해야 한다.
경극은 허구적 방법으로 무대의 시간과 공간 문제를 교묘하게 처리한다. 무대 위에서는 대여섯 걸음만으로 천하 어디나 갈 수 있고, 7 ~ 8명이 백만 병사를 대신한다. 배우의 몸짓, 걸음걸이로 문을 나가고 들어오며, 위층으로 올라가고 내려오며, 심지어는 산에 올라가고 물에 들어가는 것까지를 나타낸다. 채찍 하나로 말에 탄 것을 나타내며 삿대 하나로 배 젓는 것을 나타낸다. 관중의 상상과 연상을 통하여 자연 환경과 생활의 세부적인 세트가 보충되는 셈이다.
경극에는 일련의 격식과 규범이 있다. 무대 연출 가운데서 문을 닫거나, 창문을 열거나, 말을 타거나, 배에 오르거나, 층을 올라가는 것 등의 동작은 모두 고정된 격식이 상상을 불러일으키는 출발점인 동시에 새로운 세대의 배우들이 습득하고 재창조하기 위한 기점이 된다.
Ⅲ. 맺음말
위의 본문에서 희곡에 관한 여러 가지들을 알아보았다. 희곡의 정의에서 문학성에 대한 이해, 구성의 단위와 유형들. 또 어떤 갈래들이 있는지, 어떠한 특성들이 있는지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원시시대 때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오랜 역사를 지닌 희곡이라는 사실과 현대적 흐름까지 알아보았다. 한 가지 매우 아쉬운 점은 오랜 역사임에도 불구하고 자료의 미흡함과 손실된 무형문화재라고 할 수 있는 여러 탈춤극과 인형극까지 완성본으로 보존되지 못한 아쉬움을 표한다.
현대문학을 자주 접하는 우리로서는 현대의 희곡만을 단편적으로 보는 경우가 많았다. 나 같은 경우에도 이 글을 쓰기 전까진 희곡의 한쪽 면만을 보아오고 그것이 다 인줄 알았으나 과거의 전통 극부터 오늘날에 이르는 연극의 극본까지 무구한 역사와 문학적 특성들이 숨어있었다. 지금 보아도 놀랄 만한 조상들의 풍자와 해학적 요소까지 그 시대를 나타내는 좋은 문학작품의 하나가 아닐까 한다. 그리고 한 가지 덧붙이자면 현대희곡에 비해 전통희곡은 문자로 기록된 기록문학이 아니라 예전부터 이어저오는 구비문학이라는 점에서 보존의 어려움이 많다. 이러한 문제를 바탕으로 더욱더 연구하고 발전시켜나가는 희곡이 되어야 할 것이다.
희곡을 조사하다가 우연히 이런 글귀를 보았다. “희극은 인간사의 축소판이다” 이 말의 의미를 곰곰이 되새겨보면서 또 다시 한국문학이 갖는 위대함을 느끼는 바이다.
■ 참고문헌
이두현(1973) : 「한국연극사」, 서울, 민중서관
이남복 편저(1967) : 「연국사회학」, 서울 , 현대미학사
사진실(1997) : 「한국연극사 연구」, 서울, 태학사
송석하(1960) : 「한국민속고」, 서울, 일신사.
유민영(1982) : 「한국 극장사」, 서울, 한길사.
정노식(1940) : 「조선 창극사」, 서울, 조선일보사 출판부
김학현 편 (1991) : 「能」, 서울 ,열화당.
김태곤(1985) : 「한국무속의 연구」, 서울 , 집문당
강태경(2000) : 「희곡의 연출적 독서- <밤으로의 긴 여로>를 분석 모델로」, 서울 , 만남
김익두(2003) : 「한국희곡/연극 이론 수립을 위한 제언」, 한국문학언어학회
김익두(2000) : 「한국 고전희곡의 개념, 범위, 양식」 고전희곡연구 제 1집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8.03.20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647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