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데아는 어째서 주인공으로 서술되었나 : 메데아의 비여성성과 이중성을 중심으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메데아는 어째서 주인공으로 서술되었나 : 메데아의 비여성성과 이중성을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메데이아가 지닌 이중적 면모
2-1. 메데이아가 지닌 여성성
2-2. 메데이아가 지닌 반여성성

3. 메데이아가 지닌 이중성이 각각 부각되는 양상과 그 이유

4. 어째서 여성인 메데이아가 주인공으로 내세워지는가
4-1. <메데이아> 이야기는 페미니즘의 관점에서 쓰였는가?
4-2. 메데이아에게 부여된 비여성적 인식

5. 결론

본문내용

식했기에 생겨난 것은 아닌가?
일련의 사항을 검토해볼 때 우리는 에우리피데스나 오비디우스가 처음부터 메데이아를 당시 그리스의 보통 여성과는 다른 존재로 전제했다는 결론을 내리게 된다. 헤카테 신전의 신관이며, 신의 영역이나 다름없는 마법의 힘을 사용하고 이후에 메도스를 건국한 것은 보통의 그리스 여성이 할 만한 성질의 것이 아니다. 암담한 상황에서도 치밀한 간계를 꾸미는 것이나 잔인한 짓을 서슴지 않는 것 역시 인간 처녀로서의 속성과는 거리가 멀다고 할 수 있다. 물론 <바카이>에서 바쿠스의 여신도들 역시 끔찍한 일을 저지르기는 하지만 그 행위가 바쿠스의 힘에 매료되어 제정신이 아닌 상태에서 일어난 것임과는 달리 메데이아가 저지른 행위는 모두 이성적인 상태에서 행해진 것이다. 그녀는 이아손에게 버림받았을 때도 <헤로이데스>의 디도나 브리세이스 등 다른 여인들처럼 목숨을 끊거나 눈물로 애원하지 않고, 잔혹한 복수를 계획하며 후회하게 될 것이라 단언한다. 메데이아의 행위는 인간 여성의 행위보다는 변신이야기 등에서 여신들이 사랑의 라이벌이나 마음에 들지 않는 인간에게 잔혹한 벌을 내리는 것에 가깝다.
이아손이 메데이아에게 도움을 구할 때 사랑을 약속하기에 앞서 남성 전사들을 대하듯 큰 명성을 약속한 것 역시 이러한 추론을 뒷받침한다. <아르고 호 이야기>에서 이아손이 메데이아에게 “우리에게 손을 뻗어준다면 그대의 이름과 명성을 아름다이 만들며, 다른 영웅들도 또한 헬라스로 돌아가면 그대를 높일 것이며, 영웅들의 아내들과 어머니들도 그럴 겁니다.” 아르고 호 이야기, 991행-993행
라 말하는 것이나 에우리피데스의 비극에서 “그대가 나를 구해준 대가로 전 헬라스인들이 그대가 영리하다는 것을 알고 있고, 그래서 그대는 명성을 얻었소.” 에우리피데스, <메데이아>, 534행
라 말한 것이 그것이다. 또한 메데이아가 복수를 도모할 때 여성으로서의 사랑이 아니라 명예를 운운한 시점에서 이미 그녀는 여자가 아니라, 다른 영웅들과 비슷한 위치에서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5. 결론
정리해볼 때 메데이아가 지닌 이중성은 이방인인 그녀가 지닌 야만에서 기인하며, 그녀의 복수는 그리스 문화에 배신당한 반작용으로 야만의 속성을 거침없이 드러낸 것이라고 볼 수 있겠다. 그리스 문화를 받아들였던 메데이아가 그리스적 여성성을 버리고 다시금 야만의 속성이 드러내기 시작하는 것은 이아손에게 배신당한 뒤, <헤로이데스>에서 편지가 쓰이는 시점부터라 할 수 있다. <헤로이데스>에서 복수에 대한 예고와 함께 이아손에게 미련을 가지며 애원하는 모습을 보이던 그녀는 결국 비극 <메데이아>에 들어와서 완전히 미련을 버리고 냉혹한 복수자로 돌변하는 것이다.
작품 전체에서 두드러지는 메데이아의 주도적 성격과 복수 과정에서 보여주는 그녀의 주도면밀함, 그리고 그녀가 지닌 마법의 힘과 치밀한 간계, 메도스를 건국했다는 일설 등은 보통의 인간 여자가 한 일로는 볼 수 없다. 메데이아의 행위는 당시의 남성우월적인 사회 분위기나 작품들의 경향을 보았을 때 납득하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그녀의 행위는 인간 여성의 행위라기보다는 영웅이나 여신의 행위에 가까운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에우리피데스나 오비디우스 등이 메데이아에게 여성의 속성보다는 영웅적 속성을 강하게 부여했음과 동시에 그녀에게 어느 정도 신성성을 부여했다고 결론지을 수 있다.
마법의 힘을 사용하여 거의 전지전능에 가까운 술수를 부리는 그녀의 존재는 이미 신성을 대신하고 있다. <일리아드>나 <오뒷세이아> 등과는 달리 메데이아와 관련된 작품들에 신의 개입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도 이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오비디우스와 아폴로니오스, 에우리피데스 등은 그녀를 반쯤 여신에 가까운 존재로 인식했고, 그러한 인식으로 인해 메데이아는 인간 여성인 동시에 영웅성을 지닌 이로서 존재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것이 메데이아가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이야기의 주인공으로서 서사시와 비극 등 각종 예술 작품 속에서 노래된 이유라 할 수 있겠다.
* 참고문헌 *
1. Ovidius, , 메데이아 조 번역.
2. Ovidius, , 천병희 역, 원전으로 읽는 변신이야기, 숲, 2005.
3. Apollonius Rhodius, , 강대진 역, <아르고 호 이야기>, 작은이야기, 2006.
4. Euripides, , 천병희 역, <에우리피데스 비극>(중 메데이아), 단국대학교출판부, 1999.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08.03.31
  • 저작시기2007.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5904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